[[분류:광양시의 시내버스]] [include(틀:광양시 시내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G_848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G_7325.jpg|width=100%]]}}} || || 990번 || 991번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광양시 CI_White.svg|width=18]] {{{#ffffff 광양시 시내버스 990번}}} || ||<-2> 기점 || 전라남도 광양시 중동(중마터미널) ||<-2> 종점 || 전라남도 광양시 광양읍 용강리(송보7차) || ||<|2> 종점[br]행 || 첫차 || 06:00 ||<|2> 기점[br]행 || 첫차 || - || || 막차 || 21:00 || 막차 || - || ||<-2> 배차간격 ||<-4> 출근 15분 / 평시 20분 / 야간 30분 (1일 47회) || ||<-2> 운수사명 || [[광양교통]] ||<-2> 인가대수 || 16대[*통합 990번과 991번을 합한 수치이다. 실제로도 한 차량이 두 노선을 번갈아가며 운행한다.] || ||<-2> 노선 ||<-4> [[중마버스터미널|중마터미널]] → 사랑병원 → 금광아파트 → 진아리채2차아파트 → 성황 → 중양(동광양IC) → 영세공원 → 창덕1·2차아파트 → 광양5일시장 → 광양농협 → 백운마트 → 광양읍사무소 → 오성아파트 → 대림아파트 → [[성가롤로병원]] → 드라마촬영장·왕지현대아파트 → 조례초·[[한국폴리텍대학|폴리텍대학]] → 국민은행 → 벽산아파트 → 이수중학교 → 철도운동장 → 순천시청 → 중앙시장 → 의료원로터리 → 웃장 → [[순천대학교]] → 순천경찰서 → [[순천제일고등학교]] → [[순천교도소]] → 압곡 → 실내체육관·[[광양고등학교(전남)|광양고]] → 광양여중 → 백운마트 → 광양농협 → 광양5일시장 → 창덕1·2차아파트 → 송보7차아파트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광양990991_노선도.png|width=100%]]}}} || ||<-6> [[파일:광양시 CI_White.svg|width=18]] {{{#ffffff 광양시 시내버스 991번}}} || ||<-2> 기점 || 전라남도 광양시 광양읍 용강리(송보7차) ||<-2> 종점 || 전라남도 광양시 중동(중마터미널) || ||<|2> 종점[br]행 || 첫차 || 06:00 ||<|2> 기점[br]행 || 첫차 || - || || 막차 || 20:30 || 막차 || - || ||<-2> 배차간격 ||<-4> 출근 15분 / 평시 20분 / 야간 30분 (1일 45회) || ||<-2> 운수사명 || [[광양교통]] ||<-2> 인가대수 || 16대[*통합] || ||<-2> 노선 ||<-4> 송보7차아파트 → 창덕1·2차아파트 → 광양5일시장 → 광양농협 → 백운마트 → 광양여중 → 실내체육관·[[광양고등학교(전남)|광양고]] → 압곡 → [[순천교도소]] → [[순천제일고등학교]] → 순천경찰서 → [[순천대학교]] → 웃장 → 의료원로터리 → 중앙시장 → 순천시청 → 철도운동장 → 이수중학교 → 덕암동 → 덕암현대아파트 → 국민은행 → [[순천금당고등학교|금당고]]·[[한국폴리텍대학|폴리텍대학]] → 드라마촬영장·왕지현대아파트 → [[성가롤로병원]] → 대림아파트 → 오성아파트 → 광양읍사무소 → 백운마트 → 광양농협 → 광양5일시장 → 창덕1·2차아파트 → 영세공원 → 중양(동광양IC) → 성황 → 진아리채2차아파트 → 금광아파트 → 사랑병원 → [[중마버스터미널|중마터미널]] || ||<-6> [[파일:광양시 CI_White.svg|width=18]] {{{#ffffff 광양시 시내버스 991번(마동 경유)}}} || ||<-6> {{{#!folding [ 중마동 구간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광양991_중마동구간.png|width=100%]]}}} || ||<-2> 기점 || 전라남도 광양시 광양읍 용강리(송보7차) ||<-2> 종점 || 전라남도 광양시 중동(중마터미널) || ||<|2> 종점[br]행 || 첫차 || 21:00 ||<|2> 기점[br]행 || 첫차 || - || || 막차 || 21:30 || 막차 || - || ||<-2> 배차간격 ||<-4> 30분 (1일 2회) || ||<-2> 운수사명 || [[광양교통]] ||<-2> 인가대수 || 2대 || ||<-2> 노선 ||<-4> 송보7차아파트 → 창덕1·2차아파트 → 광양5일시장 → 광양농협 → 백운마트 → 광양여중 → 실내체육관·[[광양고등학교(전남)|광양고]] → 압곡 → [[순천교도소]] → [[순천제일고등학교]] → 순천경찰서 → [[순천대학교]] → 웃장 → 의료원로터리 → 중앙시장 → 순천시청 → 철도운동장 → 이수중학교 → 덕암동 → 덕암현대아파트 → 국민은행 → [[순천금당고등학교|금당고]]·[[한국폴리텍대학|폴리텍대학]] → 드라마촬영장·왕지현대아파트 → [[성가롤로병원]] → 대림아파트 → 오성아파트 → 광양읍사무소 → 백운마트 → 광양농협 → 광양5일시장 → 창덕1·2차아파트 → 영세공원 → 중양(동광양IC) → 성황 → '''__주공2차아파트 → 써니밸리아파트 → 송보파인빌 → [[광양백운고등학교|백운고]]__''' → 금광아파트 → 사랑병원 → [[중마버스터미널|중마터미널]] || == 개요 == [[광양교통]]에서 운행하는 시내버스 노선으로, 총 운행거리는 990번 47.5㎞, 991번 47.8㎞다.[* 77번보다 3배정도 긴 노선이다. 즉 도내 광역버스 중 노선이 가장 길다. 평상시에는 990번, 991번을 합해서 왕복 95km를 운행한다.] == 역사 == * 동신교통 전성기때부터 있었던 노선이다. 당시에는 99번, 99-1번으로 운행하였다. 신설 시기는 1990년 1월 1일로 당시에는 중형차량으로 운행했다. 더불어 이때 광양교통 본사가 지어졌다. 개통 무렵부터 1994년 12월까지는 무려 3개의 도시를 다니던 노선이었다.[* 순천시, 승주군, 광양군] 그러다가 도농통합으로 현재는 2개 도시만 다닌다. * 2000년 2월 9일에 동신교통 소속에서 광양교통 소속으로 이관했다. 덤으로 모든 차량을 대형차량으로 전환했다. * 2001년까지는 용강리를 경유하지 않았다가 2002년 초에 용강리까지 종점이 연장되었다. 창덕아파트 준공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 전에는 광양읍교회가 종점이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 과거에는 창덕 - 순천 - 창덕간 노선으로, 중마동에 들어가지 않는 형태로 운용해왔다. 또한 일부 차량이 구상마을[* 지금은 [[순천 버스 51|순천 51번]]이 들어간다.]을 경유하였다. 과거에는 간선노선으로 운행해왔다.[[https://kin.naver.com/qna/detail.nhn?d1id=12&dirId=121201&docId=20022522&qb=6rSR7JaRIDk5&enc=utf8§ion=kin&rank=18&search_sort=0&spq=0|2004년 시간표 1]], [[https://kin.naver.com/qna/detail.nhn?d1id=8&dirId=812&docId=29163262&qb=6rSR7JaRIDk567KI&enc=utf8§ion=kin&rank=1&search_sort=0&spq=0&pid=UTFcflp0YidssF984NossssstRh-262151&sid=wvdbiJ%2B02DFU1myUsdXlLQ%3D%3D|2004년 시간표 2]] * 이후 2005년경 99번의 기점과 99-1번의 종점이 중마동으로 연장된 것으로 보인다. 연장 초기에는 '금광아파트 - 사랑병원 - 중마상설시장 - [[광양시청]] - 남양파크아파트 - 주공2차아파트 - 성황' 순으로 운행하였다. [[https://kin.naver.com/qna/detail.nhn?d1id=12&dirId=12120111&docId=20183968&qb=6rSR7JaRIDk567KI&enc=utf8§ion=kin&rank=25&search_sort=0&spq=0|2005년 시간표]] * 2008년경 '남양파크아파트 - 주공2차아파트' 구간이 '남양파크아파트 - 무등파크 - 백운고등학교 - 송보파인빌아파트 - 금광블루빌아파트 - 주공2차아파트'로 변경되었다. [[https://kin.naver.com/qna/detail.nhn?d1id=12&dirId=1212&docId=20644239&qb=6rSR7JaRIDk567KI&enc=utf8§ion=kin&rank=29&search_sort=0&spq=0|2008년 1월 시간표]] [[https://kin.naver.com/qna/detail.nhn?d1id=12&dirId=12120107&docId=21087793&qb=6rSR7JaRIDk567KI&enc=utf8§ion=kin&rank=26&search_sort=0&spq=0|증거]] * 2009년을 전후하여 '중마터미널 - 강남병원 - 성호3차아파트 - 금광아파트' 구간이 연장되었다. 다만, 첫차시간대에는 그대로 금광아파트에서 출발했다. [[https://kin.naver.com/qna/detail.nhn?d1id=8&dirId=81201&docId=111054313&qb=6rSR7JaRIDk567KI&enc=utf8§ion=kin&rank=67&search_sort=0&spq=0|2010년 시간표]] * 2011년 1월 23일에 '광양항 - 시모노세키' 카페리 운항에 맞춰 특정 요일 일부 시간대 차량이 광양항국제여객터미널을 경유하였다. [[https://gwangyangsi.blog.me/50103953505|관련 게시물]] * 2012년을 전후하여 모든 차량이 구상마을을 경유하지 않게 되었다. * 2014년 2월 18일 개편으로 운행횟수가 3회 증회되었고, 첫차가 10분 앞당겨지고 막차가 30분(99-1번)/40분(99번) 연장되었다. 또한 99번의 중간 출발이 폐지되었다. * 2015년 3월 2일 개편으로 운행횟수가 3회 증회되었고, 일부 시간대 배차간격이 20~30분에서 10~15분으로 줄어들었다. * 2016년 5월 2일 개편으로 운행횟수가 3회 증회되었고, 99번의 첫차가 17분(06:15→05:58) 앞당겨지고 막차가 28분(20:25→20:53) 연장되었다. 다만 최소 배차간격이 10~15분에서 20분으로 늘어났다. [[http://www.gwangyang.go.kr/board/view.gwangyang?boardId=BBS_0000004&menuCd=DOM_000000103001000000&orderBy=REGISTER_DATE%20DESC&startPage=1&searchType=DATA_TITLE&searchOperation=AND&keyword=%EC%8B%9C%EB%82%B4%EB%B2%84%EC%8A%A4&dataSid=77643|광양시 공지사항]] * 2017년 11월 1일에 1대가 증차되어 운행횟수가 3회 증회되었고, 99번의 출근시간대 배차간격이 20분에서 13~15분으로 줄어들었다. 또한 99-1번의 막차가 30분(21:00→21:30) 연장되었다. [[http://www.gwangyang.go.kr/board/view.gwangyang?boardId=BBS_0000004&menuCd=DOM_000000103001000000&orderBy=REGISTER_DATE%20DESC&startPage=1&searchType=DATA_TITLE&searchOperation=AND&keyword=%EC%8B%9C%EB%82%B4%EB%B2%84%EC%8A%A4&dataSid=219548|광양시 공지사항]] * 2018년 1월 1일 광역시내버스로 승격되었다. * 2018년 6월 4일에 1대가 증차되어 운행횟수가 99번이 3회, 99-1번이 2회 증회되었다. * 2020년 1월 1일 개편으로 노선번호가 각각 990번과 991번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운행구간도 '중마터미널 - 성호1차아파트 - 강남병원 - 성호3차아파트 - 성호2차아파트 - 금광아파트 - 호반아파트 - 사랑병원 - 중마상설시장 - 광양시청 앞 - 컨부두사거리 - 남양파크아파트 - 무등파크 - 백운고 - 송보파인빌A - 금광블루빌 - 써니밸리아파트 - 중동교회 - 주공2차아파트 - 정산' 구간이 '중마터미널 - 사랑병원 - 호반아파트 - 금광아파트 - 진아리채2차A후문 - 진아리채2차A - 성황 - 정산'으로 직선화되었고, 990번은 사곡을 경유하지 않도록 변경되었다. 다만, 991번(99-1번) 막차시간대 2회는 기존과 같이 마동 지역을 경유하며, 990번(99번)의 첫차가 5분(05:55→06:00), 막차가 7분(20:53→21:00) 늦어지고 991번(99-1번)의 첫차가 20분(06:20→06:00) 앞당겨졌다. 직선화로 인한 운행시간 단축으로 운행횟수가 990번(99번)이 5회, 991번(99-1번)이 7회 증회되어 각 노선별 최대 30분이던 배차간격이 전 시간대 20분으로 줄어들고, 991번의 출근시간대 배차간격도 15분으로 줄어들었다. [[http://www.gwangyang.go.kr/board/view.gwangyang?dataSid=333867&boardId=BBS_0000007&menuCd=DOM_000000103005000000|광양시 보도자료]] * 2020년 1월 1일 운행 중에 발생한 시간표 변경으로 990번이 1회, 991번이 2회 감회되어 야간시간대 배차간격이 다시 30분으로 늘어났다. * 2021년 5월부터 990번의 사곡정류장의 안내방송 멘트가 바뀌었다. "다음은 사곡입니다".에서 "다음은 사곡승강장입니다. 사곡승강장 사라실예술촌[* 구 사곡초교. 2007년 폐교 이후 어떤 도자기 장인이 인수해 지금은 사라실예술촌으로 바뀌었다.]에서 하차하실 승객께서는 꼭 벨을 눌러주십시오."로 바뀌었다. 그러나 2020년 개편으로 노선이 직선화되어 사곡으로 들어가지 않는다. 허나 사곡 전 정거장인 영세공원을 지나 벨을 누르면 기사가 물어보거나 손님이 사곡을 들어간다고 하게되면 사곡을 경유해 내려주고 탑승할 승객이 있을경우 태워서 나간다. || {{{#black '''990번''' }}} || {{{+5 {{{#yellow '''990''' }}}}}} || {{{#magenta '''990''' }}}[br]{{{-3 {{{#white '''창덕,송보A''' }}}}}} || || {{{#black '''991번''' }}} || {{{+5 {{{#yellow '''991''' }}}}}} || {{{#magenta '''991''' }}}[br]{{{-3 {{{#white '''중마터미널''' }}}}}} || * 2023년 10월 24일부터 12월 31일까지 이수로 한전 지중화 사업에 따른 도로 통제로 '철도운동장 - 순천종합버스터미널 - 중앙시장' 구간이 '철도운동장 - 순천시청 - 중앙시장'으로 변경된다. == 특징 == * 동신교통 때부터 지금까지 살아남은 몇 안되는 노선이다.[* 105, 107, 108번을 제외한 좌석버스 노선과 광양시를 경유했던 동신교통 노선과 함께 2000년도에 이관되었다. 일부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다.] * 순천에서 운행하는 90번대 중 유일하게 동신교통에서 운행했었다.[* 나머지는 전부 순천교통 소속이다.] * 노선이 끝이 막힌 6자루프 형태이며 노선번호는 방향별로 다르게 부여되었다. 990번이 중마동에서 출발해 광양읍을 찍고 순천시내를 한바퀴 돌아 광양읍에 돌아온 다음, 쭉 가는 게 아니라 거기서 반대 방향으로 돌아 991번으로 운행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특성상 중마동에서 순천으로 갈 때는 990번을, 순천에서 중마동으로 갈 때는 991번을 타야 한다. 여수, 광양, 순천을 오가는 광역버스 중 유일하게 상행, 하행이 분리되있는것은 덤 * [[순천 버스 77|77번]], [[순천 버스 777|777번]]이 순천시 핵심 지역을 경유한다면 이 노선은 서면까지 경유한다. * 연선에 중학교 3개, 고등학교 8개가 있어서, 7시~9시와 15~18시에는 학생 수요가 굉장히 많으며, 학교가 일찍 끝나는 수요일에는 더 심하다 * [[광양 버스 1000, 1001|중마동 순환버스]]와 연계가 어려운 시간대에 [[중마동]]으로 접근하는 991번 막차와 막전차는 99-1번 시절과 같이 성황을 목전에 두고 좌회전하여 마동 지역을 경유한다. 다만, 컨테이너부두사거리에서 좌회전하여 시청 앞을 경유하던 99-1번과 달리, 직진하여 '진아리채2차아파트후문' 정류장부터 다시 본선 경로로 운행한다. 따라서, 시청 앞과 성호1·2·3·4차아파트 지역은 경유하지 않는다. * 덕례리 [[LF스퀘어 광양점]]을 경유하고 차량 앞쪽에 'LF스퀘어 경유' 팻말을 붙이고 다니지만 정작 LF스퀘어 앞 정류장에는 서지 않는다.[* 전기저상버스에는 붙어있지 않음.] 실제로는 갈티로에 위치한 별개의 정류장[* 해당 정류장도 안내방송은 LF스퀘어(990번)/덕산.LF스퀘어(991번)라 나오나, 전광판과 BIS에 덕산(990번)/강남공업사앞(덕산)(991번)으로 표기한다.]에 정차하기 때문에 잘 보고 내려야 한다. * 노선 대부분의 구간, 특히 [[순천시]] 구간에서 안내방송과 LED 전광판·BIS에 나타나는 정류장 명칭이 다른 곳이 몇 군데 존재한다. 목록은 아래와 같으며, 안내방송 → LED 전광판·BIS 정류장 명칭 순으로 표기한다. * LF스퀘어(990번)/덕산.LF스퀘어(991번) → 덕산(990번)/강남공업사앞(덕산)(991번) * 기독재활원 → 드라마촬영장 * 드라마촬영장.현대아파트 → 왕지현대아파트 * 조례초등학교.폴리텍대학(990번)/금당고등학교.폴리텍대학(991번) → 조례초등학교(990번)/금당고등학교(991번)[* 이쪽은 2019년 9월 이후 변경된 정류장 명칭이 광양시 BIS에 반영되지 않은 케이스이다. 8월 31일까지는 순천시 BIS, 안내방송 모두 "조례초등학교", "금당고등학교"였다.] * 덕암현대아파트 → 생목현대아파트 * 장대공원(990번)/평화공원(991번) → 장대교 * 순천종합버스터미널(991번) → 버스종합터미널[* 순천시 구간의 정류장 안내방송은 광양시가 순천시랑 동일한 단말기를 사용해서인지 순천시내버스에서 송출되는 안내방송과 동일하게 송출된다. 당장 바로 위에 있는 금당고교/조례초교 정류장도 순천시에서 변경된 안내방송이 광양시에서도 그대로 반영되었다. 다만, 이 정류장은 예외적으로 안내방송이 순천시와 다르게 송출된다. 990번 및 순천시에서는 '종합버스터미널'이라고 송출.] * 남문파출소 → 순고오거리 * 의료원로터리 → 순천의료원[* 참고로 순천시에서는 55번 시내버스가 정차하는 "순천의료원" 정류장이 별도로 존재한다.] * 웃장 → 북부시장 * 구삼산중학교[* 실제로 구, 삼산중학교 이렇게 띄어서 방송하는게 아니라 붙여서 구삼산중학교 라고 방송한다.] → 삼산중학교(990번)/매곡성당(991번)[* "매곡성당"의 경우에는 실제 정류장에도 매곡동성당이라고 적혀있긴 하지만 순천시 버스정보시스템에는 그냥 삼산중학교로 되어있었다. 그리고 안내방송은 당초에는 "삼산중학교"라고 방송했으나 삼산중학교 신대지구 이설 이후로 해당 정류장 안내방송이 "구 삼산중학교"로 변경되었다.(상/하행 모두 해당)] * 삼산동행정복지센터 → 삼산동주민센터[* 이쪽도 마찬가지로 순천시에서 '주민센터' 및 '동/면/읍사무소' 관련 안내방송을 전부 '행정복지센터'로 변경한 것이 그대로 광양시 안내방송에서도 적용된 케이스이다. 다만, 이 역시 광양시 버스정보시스템에서는 수정되지 않았다.] * 신기(991번) → 신기마을 * 가곡시영아파트(991번) → 시영아파트 * 고지마을(991번) → 고지 * 순천교도소(990번) → 배들아파트 * 지본입구(991번) → 판교입구 * 실내체육관.광양고 → 실내체육관 * 간혹 990번 노선을 운행중인데 LED에 991번이라고 표시하거나 그 반대의 경우가 있는데[* 990번 운행 후 일정 시간 휴식 후 991번으로 노선번호를 바꿔서 역순으로 운행하는 특성 상 노선번호를 바꾸는 작업을 잊어버리고 그대로 운행해서 발생하는 현상이다.] 순천시 및 중마동에서는 방향만 보면 990번인지 991번인지 짐작은 가능하나 두 노선이 모두 정차하는 광양읍 구간에서는 혼동이 올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 흔하진 않지만 간혹 77번처럼 2대가 연달아 오는 경우도 있다. * 학생들은 전기버스를 매우 싫어한다고 한다. 물론 사람이 많이타서 수송량은 늘어났지만, 그만큼 불편하게 탑승하여야 하고, 저상차량이 무려 95km나 되는 장거리를 운행하다보니 불편함이 이만저만이 아니라고 한다. 실제로 보면 매 시간마다 툭하면 가축수송을 하며, 출퇴근시간엔 수도권 버스급의 가축수송이 일어난다.[* 평균적으로 그 시간에는 적게는 40명 많게는 60명씩 탄다고 한다.] === 요금 === '''교통카드 이용자에 한해 2018년 6월 1일부터 전 구간 단일요금으로 이용이 가능하고, 여수시와 순천시 시내버스로 무료환승이 가능해졌다.''' 따라서, 광양↔순천간 이동 시 현금 지불에 한해 아래와 같이 구간요금을 받는다.[* 청소년은 무려 100원으로 다닐수 있다. ] ||<|2> 구분 ||<-3> 현금 || || 성인 || 청소년 || 어린이 || || 광양시내 ||<|2> 1,500원 ||<|2> 1,200원 ||<|2> 750원 || || 광양농협↔순천 || || 용강↔순천 || 1,900원 || 1,500원 || 1,000원 || || 중마↔순천 || 2,600원 || 2,000원 || 1,300원 || === 시간표 === ||<-2> {{{#ffffff 광양시 시내버스 990번 운행시간표}}}[br]{{{#ffffff 2020년 1월 1일 기준}}} [[http://bis.gwangyang.go.kr/run_info.view|출처]] || || {{{#!folding [ 시간표 펼치기 · 접기 ] || 시 || 중마터미널 || || 06 || 00 20 35 50 || || 07 || 05 20 35 50 || || 08 || 05 20 40 || || 09~19 || 00 20 40 || || 20 || 00 30 || || 21 || 00 ||}}} || ||
<-2> {{{#ffffff 광양시 시내버스 991번 운행시간표}}}[br]{{{#ffffff 2020년 1월 1일 기준}}} [[http://bis.gwangyang.go.kr/run_info.view|출처]] || || {{{#!folding [ 시간표 펼치기 · 접기 ] || 시 || 송보7차아파트 || || 06 || 00 20 40 55 || || 07 || 10 25 40 55 || || 08~18 || 10 30 50 || || 19 || 10 30 || || 20 || 00 30 || || 21 || 00[*마동경유 (본선) → 용장입구 → 성황 → 주공2차아파트 → 중동교회 → 써니밸리아파트 → 금광블루빌 → 송보파인빌아파트 → 대광아파트 → 백운고 → 무등파크 → 남양파크아파트 → 컨부두사거리 → 진아리채2차아파트후문 → (본선)] 30[*마동경유] ||}}} || == 연계 철도역 == * 일반 철도역: [[순천역]](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이수중학교 하차 도보 10분, 철도운동장 하차 5분.] == 둘러보기 == [include(틀:순천-타 시·군 간 버스)] [include(틀:광양-타 시·군 간 버스)] [include(틀:순천시의 교통)] [[분류:광양시의 시내버스]][[분류:1990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