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광역급행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화성 M4108번 현대차량.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대원고속M4108번(2201).pn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정부상징.svg|width=20]] {{{#0ff 국토교통부 광역급행버스 M4108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M4108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경기도 화성시 반송동(나루마을.월드반도) ||<-2> 종점 || 서울특별시 중구 봉래동2가(서울역버스환승센터) || ||<|2> 종점행 || 첫차 || 05:00 ||<|2> 기점행 || 첫차 || 06:00 || || 막차 || 22:50 || 막차 || 24:00 || ||<-2> 평일배차 || 15~20분 ||<-2> 주말배차 || 토요일 15~25분/공휴일 25~55분 || ||<-2> 운수사명 || [[대원고속]] ||<-2> 인가대수 || 14대[* 토요일 9대, 공휴일 8대로 운행하며, 하위호환 [[화성 버스 4108|4108번]] 운행분까지 합치면 사실상 평일 20대+출퇴근 지원 전세차량 3대, 토요일 14대, 공휴일 13대로 운행한다.] || ||<-3> {{{#0ff 경유 정류장}}} || || '''화성(동탄1신도시)''' ||<|7> ↔ || '''서울(숭례문)''' || || 나루마을.월드반도(상)[br]나루마을.한화꿈에그린2차(하) || 서울백병원.국가인권위.안중근활동터(상)[br]남대문세무서.서울백병원(하) || || 솔빛마을.서해.쌍용아파트(상)[br]새강마을.휴먼시아(하) || 서울시청[*A 편도운행] || || 다은마을 || 신한은행본점[*A] || || 메타폴리스 || 숭례문[*A] || || 한빛마을(상)[br]한빛마을.석우중학교(하) || 서울역버스환승센터[*A] || || 예당마을.롯데캐슬 || 명동국민은행앞[*A] || == 개요 == [[대원고속]]에서 운행하는 [[광역급행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99.5km다. [[http://map.naver.com/?busId=10056|정류장 목록]] == 역사 == * [[동탄신도시]]에 입주한 사람들이 [[직행좌석버스]]와 관련된 수많은 민원[* 동탄신도시에서 강남역을 바로 이어주는 [[경기광주 버스 1550-2|1550-2번]] 버스만 타기 운동, 집단 증차요구 민원 등.]을 투척했다. 그 중 하나는 서울역 행 노선 신설 요구였는데, 시내버스의 30km 운행 거리제한 뿐 아니라 굉장히 긴 고속도로 이용 구간으로 인해 사실상 적자가 날 수밖에 없는 구조여서, [[국토교통부]]는 이를 묵살하고 있었다. * 하지만, 동탄 주민들의 끈질긴 요구에 국토교통부도 버틸 수가 없었는지 [[광역급행버스]] 2기 사업에 이 노선을 포함시켰다. 이 노선을 개통하기 위해 국토교통부는 시내버스의 거리 제한을 시계외 30km 이내에서 50km 이내로 늘렸다. * 1550-2번 등 [[동탄신도시]]에서 많은 [[직행좌석버스]]를 운행하고 있는 [[대원고속]]에서 노선을 낙찰받았으며, 2011년 2월 11일부터 운행을 시작했다. * 2013년 11월 15일에 메타폴리스에서 출발하는 시간대(7시, 7시 10분)가 생겼다. * 2018년 10월 15일부터 [[전세버스]] 대신 동일한 경로로 운행하는 보조노선 [[화성 버스 4108|4108번]]이 신설됐다. 다만 이 노선은 [[화성여객]]에서 담당한다. * 2022년 5월 기준 기존 서해.쌍용아파트 중간출발은 사라졌고, 2022년 11월부터 메타폴리스 중간출발(2회, 07:02, 07:12 출발)이 폐지된다. * 2022년 11월 1일부터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대광위]] 준공영제로 전환되면서 인면허기관이 [[광주시]]에서 [[화성시]]로 변경됐다. == 특징 == * 교통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전 구간 완주 시 1시간~1시간 5분이 소요된다. * 개통 이후 시간이 흘러 이용객이 제법 많아졌으며,[* 2023년 4월 기준으로 보조노선이자 동일노선인 [[화성 버스 4108|4108번]]을 포함하여 화성시 시내버스 전체 5위의 승하차량을 기록했고, 화성시 광역버스 전체 3위를 기록했다.] 출퇴근시간에는 당연히 '''만석'''이 된다. 매일 아침마다 [[광역급행버스 M4403|M4403번]]에서 벌어지는 일이 이 노선에서도 똑같이 벌어지고 있다. 피크타임이 지나도 어느 정도는 타는 편이고, 낮에도 생각보다 만석을 찍는 경우가 많지만, ~~분당처럼 버스가 자주오는 것도 아니고, 경희대가 있는 영통처럼 만석을 자주 찍는것도 아니다.~~. 양방향 수요도 나름 있어서 출근시간 명동입구 정류장에 가면 아주대행 [[수원 버스 8800|8800번]], 영통행 [[광역급행버스 M5107|M5107번]], 광교행 [[광역급행버스 M5121|M5121번]] 전용 줄처럼 이 노선도 줄을 꽤나 서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래도 M4403번이나 M5107번보다는 낫긴 하다. 그러나 영통방면으로도 만석을 밥먹듯 찍어대는 [[광역급행버스 M5107|M5107번]][* 이 노선은 [[경희대학교|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통학 수요도 있어서 수원 방향도 제법 승객이 많은 편이다.]에 비하면 존재감이 한없이는 아니더라도 꽤나 떨어진다. 삼성 반도체, ASML, 3M 등의 통근객들이 역방향 수요의 주를 이룬다. * 노선 구간 중 고속도로 이용구간이 상당히 긴 데다가[* [[경기순환버스]]를 제외한 다른 시내버스 중, 고속도로 경유 길이가 적은 차이로 인해 세 번째로 긴 노선이다.(동탄TG - 한남대교) 가장 고속도로를 길게 경유하는 버스는 [[오산 버스 5300|5300번]]과 [[광역급행버스 M5438|M5438번]]이다. '양재IC → 오산TG' 거리가 대략 38km이고, 간발의 차로 '한남대교 → 동탄IC' 거리가 대략 37km로 오산~양재가 1km가량 더 길다. 고속도로 왕복시 5300번과 M5438번이 반포IC까지 더 올라가는 걸 고려하면 5300번과 M5438번이 가장 길다.] 입석까지 불가능해 2기 광역급행버스 노선 중 가장 적자폭이 심할 것으로 예상되는 노선이었다. 오죽하면 [[버스 동호인]]들이 [[대원고속]]이 '''자선사업'''한다고 얘기할까... 한 기사에 의하면 개통 초기 2011년 2월부터 2달동안 운송적자만 3억 3천 여 만원이었다고 한다. [[http://www.joongboo.com/news/articleView.html?idxno=731530|#]][* 다만, 이건 거의 모든 M버스가 가지고 있을 수밖에 없다.] 그러나 2018년 기준 이 노선을 운행하는 기사 말로는 '''흑자'''다. * 보조노선이 신설되고 2층버스가 투입돼 과잉공급이 된 탓에 한동안 과도기를 겪으며 이 노선은 계속 감차됐었다. * 2023년 5월까지는 본선인 이 노선과 보조 노선인 [[화성 버스 4108|4108번]] 간의 배차가 통합돼 잘만 달리던 본선 차량이 보조 노선의 2층버스를 만나 뒤에 붙어 75km/h로 가는 일이 많아졌다. 그래서 동탄주민들의 민원 덕분에 본선과 보조노선의 배차가 각각으로 바뀌어, 서로간의 추월이 가능해졌다. * [[동탄공영차고지]]에서는 승.하차가 불가능하다. * 2021년 11월 22일에 2층 전기버스 2대가 처음 투입됐고 2022년 8월 중순에 2층버스 1대가 추가 투입됐다. 2023년에는 7월 초에 2층버스 1대, 11월 13일에 한대가 추가 투입되어 총 5대의 2층버스가 투입되었다. * '''[[시계외요금|거리비례제]]''' 적용노선이므로 현금으로 승차시 목적지를 말해야 한다. * 차고지는 [[동탄공영차고지]]를 사용한다. * 이 노선의 [[준공영제]] 전환을 위해 기사를 모으다보니, 전환 직후에는 시외/공항부 출신 기사들과 타 노선 팀장급 기사들이 꽤나 모이게 됐다. 덕분에 저속주행으로 유명한 동탄 KD 노선들 중에 속도로는 선전하는 편이었으나, 코로나19로 인한 타격 이후 시외/공항 노선들의 부활 등으로 차출되었던 기사들이 다시 빠져나가며 최근에는 젊은 기사들이 많이 들어왔다. === 미래 === * 훗날 GTX와 동탄인덕원선이 개통되면 타격이 적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왜냐하면 이 버스를 타고 가면 평시에 서울역까지 1시간 가량 소요되는데 GTX와 동탄인덕원선을 이용하면 출퇴근 시간여부 관계없이 30-40분 정도면 서울역까지 이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이는 동탄역과 서울역 간의 구간에 대한 이야기이고, 동탄역까지 이동시간은 고려하지 않았다. 게다가 출퇴근 시간대에 남산 1호터널의 교통정체가 매우 심해서 버스 소요시간이 20-30분 늘어나지만 GTX와 동탄인덕원선의 배차는 매우 짧아지기 때문에 소요시간이 더 줄어들어 버려서 버스와의 격차가 더욱 커진다. 이 때문에 GTX와 동탄인덕원선이 개통하면 버스 수요가 큰 폭으로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이 노선뿐만 아니라 [[광역급행버스 M4403|M4403번]], [[광역급행버스 M4130|M4130번]], [[화성 버스 6002|6002번]] 등 동탄과 서울을 오가는 다른 노선 역시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 다만, GTX 대비 M4108의 장점은 입석 확률이 높은 GTX와는 달리 입석금지로 인해 착석이 보장되고, M4108 노선 주변의 주민들의 경우에는 동탄역까지의 이동에 시간소요가 크다. 또한, M4108의 주력 정류장이 서울역이 아닌 명동이 있는 백병원평화방송과 2호선 연계가 가능한 서울시청인 점, 경부고속도로 상에서는 버스전용차로를 이용하여 교통정체의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GTX 대비 1000-1500원 가량 저렴하다. 이런 이점들로 인해 GTX로 인한 큰 피해는 입지 않을것으로 보기도 한다. === 사건사고 === 2018년 9월 6일에 경부고속도로에서 충남고속 소속 차량과 추돌사고가 났다.[[http://gall.dcinside.com/transit/81936|관련 내용]] 2023년 11월 3일에 경부고속도로에서 5중 추돌사고가 났다. 다행히 차량 파손 정도는 경미했다.[[https://m.dcinside.com/board/transit/656789|관련 내용]]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역]]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을지로입구역]] *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4호선]]: 서울역 * [[파일:GJ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서울역 * [[파일:AREX_icon.svg|width=17]]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역 *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60]] 일반 철도역: 서울역(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누리로) == 둘러보기 == [include(틀:화성시의 버스)] [include(틀:대광위 준공영제 버스 노선)] [include(틀:2층버스 운행노선)] [[분류:광역급행버스]][[분류:화성시의 시내버스]][[분류:2011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서울특별시를 경유하는 화성시 시내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