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광역급행버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4403_2908.pn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대원고속M4403번(2922).png|width=100%]]}}}||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정부상징.svg|width=20]] {{{#0ff 국토교통부 광역급행버스 M4403번}}} || ||<^|1><-6>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경기광주 M4403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경기도 화성시 반송동(나루마을.월드반도) ||<-2> 종점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신분당선 강남역) || ||<|2> 종점행 || 첫차 || 05:20 ||<|2> 기점행 || 첫차 || 06:10 || || 막차 || 23:15 || 막차 || 00:00 || ||<-2> 평일배차 || 5~30분 ||<-2> 주말배차 || 5~50분 || ||<-2> 운수사명 || [[대원고속]] ||<-2> 인가대수 || 21대[* 평일 18대, 토요일 11대, 공휴일 9대로 운행하며, 하위호환 [[화성 버스 4403|4403번]]의 운행 댓수까지 합쳐 계산한다면 사실상 평일 26대, 토요일 17대, 공휴일 15대로 운행한다] || ||<-3> {{{#0ff 경유 정류장}}} || || '''화성(동탄1신도시)''' ||<|7> ↔ || '''서울(강남)''' || || 나루마을.월드반도(상)[br]나루마을.한화꿈에그린2차(하) || KCC사옥[*A 편도운행] || || 솔빛마을.서해.쌍용아파트(상)[br]새강마을.휴먼시아(하) || 신논현역.영신빌딩[*A] || || 다은마을 || 신분당선강남역(중)[*A] || || 메타폴리스 || 뱅뱅사거리(중)[*A] || || 한빛마을(상)[br]한빛마을.석우중학교(하) || 양재역.서초문화회관(중)[*A] || || 예당마을.롯데캐슬 || 시민의숲.양재꽃시장[*A] || == 개요 == [[대원고속]]에서 운행중인 [[광역급행버스]]. [[화성시]] [[동탄신도시]]에서 [[강남역]]을 잇는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약 80.3km이다. [[http://map.naver.com/?busId=10057|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2009년 8월 10일에 국토해양부 광역급행버스 1기 노선으로 신설되었다. 이 노선의 신설로 이전까지 같은 노선으로 운행하던 8301번을 대체하게 되며 기존 8301번은 폐선되었다. 그런데 M버스의 입석 불가 규정 탓에 직행좌석 면허였던 8301번 시절과 달리 입석이 불가능해졌고 민원이 넘치자 대체 노선으로 [[경기광주 버스 1551|1551번]]도 함께 신설되었다. * 당시 [[동탄1신도시]]에서 [[강남대로]]로 올라가는 노선은 [[경기광주 버스 1550-1|1550-1번]], [[경기광주 버스 1550-2|1550-2번]], [[화성 버스 1550-3|1550-3번]], [[경기광주 버스 1560|1560번]]이 있었다. 그러나 이들 노선 중 동탄에서 [[강남역]]으로 한번에 가는 노선은 [[경기광주 버스 1550-2|1550-2번]] 뿐이었고, 이에 다른 버스를 이용하지 않게 되어 [[경기광주 버스 1550-2|1550-2번]] 증차를 요구, 결국 증차에 성공한다. * 하지만 이에 그치지 않고 몇 개 정류장에만 정차하는 [[간선급행버스]]가 생긴다는 소식에 [[간선급행버스]]를 요구해 8301번까지 신설했다. * 그러나 [[대원고속]] 측에서는 적자가 많은 동탄발 강남행 노선을 더 이상 늘릴 수는 없었기에 이 노선이 생기자마자 8301번을 폐선했다. 그로 인해 입석승차가 안되자 동탄 주민들은 불편을 느끼게 됐다. 이 때문에 대원고속은 1550-2번의 '수원대 - 동탄' 구간을 단축해 배차간격을 줄였다. * 2011년 2월 11일에 동탄신도시 내 정류장이 [[광역급행버스 M4108|M4108번]]처럼 '월드반도아파트 - 서해, 쌍용아파트 - 메타폴리스 - 예당마을'로 바뀔 예정이었으나, 다은마을 등 기존 승객들의 민원으로 백지화되었다. 이후 '오산 - 남부터미널' 시외직행버스 노선을 [[경기광주 버스 1311|8311번]]으로 바꿀 때 서해, 쌍용아파트와 예당마을을 경유하도록 해 어느 정도 불만을 잠재웠다. * 2013년 11월 15일에 메타폴리스에서 출발하는 시간대(7시 5분, 7시 15분)가 생겼다. * 그리고 2015년 8월 22일에 이 노선의 직행좌석형 노선이었던 [[화성 버스 1550-3|1550-3번]]이 운행중단에 들어갔으나, 8301번과 달리 별다른 반발은 없었다. * 2017년 7월부터 예약버스를 최초로 운행하고 있다. 예약버스로 운행하는 차량은 특별한 일이 없는 한 평일에는 같은 시간대에 운행한다. * 화성여객에서 M4403번과 노선이 동일한 [[직행좌석버스]] [[화성 버스 4403|4403번]]으로 분리개통 했고, 2017년 9월 28일부터 2층버스 1대가 운행을 시작했다. 이후 전세버스도 증차되었으며, 이 차량들 또한 4403번으로 노선을 설정하고 운행한다. * 2022년 10월 메타폴리스 중간출발 시간이 없어졌다. * 2022년 10월 1일부터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대광위]] 준공영제로 전환되면서 인면허기관이 [[광주시]]에서 [[화성시]]로 변경되었다. == 특징 == * 교통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전 구간 완주 시 약 50분이 소요된다. * 당시 강남으로 가는 1550-2번은 출퇴근시간대에 항상 미어터졌고, 차량이 오래 되어 승차감도 좋지 못했던지라 신설 당시부터 주민들의 호응을 얻을 수 있었다. 입석이 금지되는 M버스 특성 상 더 쾌적하게 갈 수 있고, 차량도 이 노선을 위해 새로 구매한 차량들이었기 때문. 게다가 수원대에서 출발하는 1550-2번과 달리 동탄에서 출발하는 것도 메리트였다. 덕분에 1550-2번은 얼마 못 가 폐선되었으며 현재는 본 노선이 '동탄 - 강남'을 대표하는 노선으로 정착하였다. * 출근시간대에는 기점인 월드반도아파트까지 가지 않으면 아예 탈 수 없으며, 출퇴근시간대가 아니더라도 만석으로 갈 때도 많을 만큼 수요가 많다. 해당 노선을 운행하는 기사에 따르면 흑자라고 한다. * 역시 흑자에 가축수송답게 '동탄-강남' 노선 중 제일 대표노선이며 압권이다. 보조해주고 있는 [[화성 버스 8501, 8502|8501번]]은 동탄이 아닌 수원대 출발이고 남부터미널, 교대를 돌아 강남에 가다보니 약간은 이 노선의 전체 수요를 뒷처리해주는 메리트가 강하고, 또 [[화성 버스 1551|1551번]]도 수원대 출발이고 서울(강남)구간을 제외하면 동탄시내에서는 이 노선과 겹치는 구간이 아예 없으며 긴 배차간격에 상당히 우회하는 선형이라 부분부분의 수요만 처리해주는 모양새이며, [[오산 버스 1552|1552번]]은 노선이 거의 마지막만 겹치고 긴 배차 때문에, 직선화된 이 노선에 비해 굴곡화된 위 세 노선이 압도적으로 밀린다. [[경기광주 버스 1550-2|1550-2번]], 8301번의 폐선 이유도 이에 있다. 그나마 하위호환인 [[화성 버스 4403|4403번]]과 수원대발 [[화성 버스 8501, 8502|8502번]]이 어느정도 커버해주고 있다. * 이 노선의 바탕이 되었던 8301번 노선인가는 1551번을 신설할 때 쓰였다. * [[수서평택고속선]] 개통 후에도 전혀 타격없이 오히려 승객이 늘었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train&no=824302|#]][* [[메타폴리스]]~[[동탄역]] 약 10분 + [[SRT]] [[동탄역]]~[[수서역]] 약 14분 + [[분당선]] [[수서역]]~[[선릉역]] 11분 +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 선릉~강남 3분을 합하면 '''순수 이동시간 만으로도 38분'''이 나오는데, 여기에 환승시간까지 포함하면 실제 소요시간은 10분 이상 늘어난다. 이에 비해 M4403은 메타폴리스에서 강남역까지 45분 이내로 도착한다. 물론 목적지가 [[수서역]]에 가까운 곳이라면 소요시간 면에서는 이득일 수도 있으나, SRT의 비싼 요금을 감안하면 경쟁력이 있어 보이지는 않는다. 통근열차 값이 5000원임을 감안하면, 실제 교통비는 7000원이 넘게 나올 것이다.] 다만 동탄 1신도시에서 동탄역으로 이동하는게 상당히 불편하고 SRT는 강남 중심까지 이어주지 않고 수서역에서 끊어지기 때문에 이 결과는 어찌 보면 당연한 것이다. 훗날 GTX와 동탄인덕원선이 개통한다면 강남대로 정체가 심한 출퇴근 시간대에는 어느 정도 타격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 대표적인 [[빗자루질(교통)|빗자루질]] 노선이다. 구간에 비해 차량이 상당히 많고, 거기다가 보조노선인 [[화성 버스 4403|4403번]]까지 있다보니 주중에는 배차간격이 5분이라고 봐도 될 수준. 다만 최근엔 본선과 보조노선의 배차가 통합이 아닌 각각으로 바뀌어, 두대가 같이 오는 경우가 상당하다. * 서울 구간 중에서 우성아파트와 교육개발원입구 정류장에는 정차하지 않으니 주의해야 한다. * [[동탄공영차고지]]도 가지만 승.하차는 불가능하다. * 차고지는 [[동탄공영차고지]]를 사용한다. === 시간표 === [[https://m.dcinside.com/board/transit/549335|시간표(2022년 10월 4일 기준, 4403 포함)]]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강남역]] *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3호선]]: [[양재역]] * [[파일:Seoulmetro9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9호선]]: [[신논현역]] * [[파일:SinbundangLine_icon.svg|width=17]] [[신분당선]]: 신논현역, 강남역, 양재역, [[양재시민의숲역]] == 둘러보기 == [include(틀:화성시의 버스)] [include(틀:대광위 준공영제 버스 노선)] [include(틀:동탄-강남역간 버스)] [include(틀:2층버스 운행노선)] [[분류:광역급행버스]][[분류:화성시의 시내버스]][[분류:2009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서울특별시를 경유하는 화성시 시내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