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일반 함정]] [[유희왕]]의 일반 함정 카드.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1847_1.jpg|width=400]] || 한글판 명칭 ||'''광자화'''|| || 일어판 명칭 ||'''[ruby(光子化, ruby=フォトナイズ)]'''|| || 영어판 명칭 ||'''Lumenize'''|| ||<-2> 일반 함정 || ||<-2>상대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 몬스터 1장의 공격을 무효로 하고, 그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만큼, 자신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빛 속성 몬스터 1장의 공격력을, 다음 자신의 엔드 페이즈시까지 올린다.|| [[빛의 충격파]]에서 첫 등장한 일반 함정. 상대의 공격을 무효로 하고, 그 공격력 수치만큼 자신의 빛 속성 몬스터를 턴 종료시까지 강화하는 효과를 가졌다.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을 그대로 더하는 효과의 내용이 [[어니스트(유희왕)|어니스트]]를 거의 그대로 옮겨 놓은지라 [[유희왕/OCG 금지제한|영 좋지 않은 곳]]으로 가버린 어니스트의 빈 자리를 채우기 위해 넣어보려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사실 어니스트에 비해 이래저래 단점이 많은지라 그런 감각으로 쓰기는 힘들다. 상대 몬스터의 공격을 무효화하고 공격력을 올리기 때문에 어니스트처럼 바로 상대 몬스터를 역으로 전투로 파괴할 수 없고, 일단 필드에 세트해놔야 하는 데다가 '''대상을 지정하는 효과'''이기 때문에 이래저래 견제당하기도 쉽다. 또 어니스트와는 달리 올라간 공격력이 다음 턴까지 이어진다는 점 때문에 상대가 메인 페이즈 2에 제거 카드를 쓰고 싶어질 가능성이 더 높다. 단순히 어니스트로 낚시하듯 '이 카드로 상대 몬스터를 역관광내주겠어!'라는 생각으로 넣는다면 그냥 [[수축(유희왕)|수축]]이나 [[차원 유폐]]가 훨씬 더 낫다. 저런 카드들에는 없는 이 카드의 장점은 몬스터 하나를 전투파괴로부터 보호하는 능력이 높다는 것과, 공격력을 대폭 올릴 수 있다는 점이니 이를 잘 이용할 수 있는 덱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두 몬스터의 공격력을 합친 공격력을 갖게 된 자신의 몬스터를 때릴 수 있는 몬스터는 거의 없을 것이니 빛 속성 몬스터 하나만을 지키는 경우라면 [[공격 무력화]]보다도 훨씬 효과적일 수 있다. 또 꼭 공격력을 올릴 몬스터가 공격받지 않고 그냥 빛 속성 몬스터가 있는 상태에서 상대 몬스터가 공격 선언만 하면 되므로 사용하기는 편하다. 발동 타이밍을 재서 빛 속성 몬스터 이외의 다른 몬스터도 지킬 수 있다는 점은 어니스트보다도 뛰어나다. 이 카드의 장점을 특히 잘 이용할 수 있는 덱은 [[일렉]]과 [[초시공전투기(유희왕)|초시공전투기]] 덱. 일렉의 경우 자기 몬스터를 보호하면서 매 턴 직공을 때린다는 컨셉과 완벽하게 들어맞으며, 이 카드로 공격력을 흡수해서 다음 턴에 직공을 날리면 그 대미지가 어니스트로 받아쳤을 때의 대미지를 대부분의 경우 '''오히려 능가한다.''' [[빅토리 바이퍼 XX03]] 등의 [[2회 공격(유희왕)|연속 공격]]으로 승부를 내는 초시공전투기 덱 역시 상대 턴보다는 자신 턴에 공격력이 높은 게 좋은지라 어니스트의 아쉬웠던 점을 보강하고 이 카드의 효과를 잘 살릴 수 있다. [[유희왕 ZEXAL]]에서는 [[텐조 카이토]]가 사용. [[츠쿠모 유마]]가 발동한 [[크로스 어택]]의 효과로 직접 공격한 [[No.39 유토피아]]의 공격을 무효화하고 유토피아의 공격력 2500을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에게 더해, 이미 유토피아의 오버레이 유닛을 흡수해 공격력 4000이 되어있던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의 공격력을 '''6500'''까지 한층 더 끌어올렸다.[* [[유희왕 ZEXAL(코믹스)|유희왕 ZEXAL 코믹스판]]에서는 비슷한 타이밍에 [[포톤 라이징 스트림]]을 사용해 반격했다.] 이후 [[V(유희왕)|V]], [[미자엘]]과의 듀얼에서도 사용되었지만 전부 무효화되거나 발동조차 되지 못하며 실패했다. 일러스트를 보면 [[풍양의 아르테미스]]가 [[에일리언(유희왕)|에일리언 워리어]]의 몸을 광자화시켜 공격력을 흡수하고 있는 듯한 장면이 나와 있다. 같은 팩에 등장한 [[포톤(유희왕)|포톤]] 테마와 조화가 가능한 카드로, 일어판 카드명도 '광자화'라 쓰지만 [[루비 문자|루비]]로는 '포토나이즈'라고 읽는다. 이름이 아주 미묘하게 다르기 때문에 포톤과 관련은 있으나 "포톤" 카드는 아니다. 어차피 포톤 몬스터에 관한 효과만 있고 마함에 관한 효과는 없으므로 크게 상관은 없지만, 일단 [[포톤 제너레이터 유닛]]과는 달리 [[매지컬 실크햇]]을 써도 포톤 관련 효과를 적용시킬 수 없다는 건 분명하다. 참고로 원작에서는 포톤의 카드명 지정이 "포톤" 또는 "광자"인지라 이 카드도 포함될 수 있었다. 그로 인해 본 루비명을 영어로 표기한다면 ''''Photon'''ize'가 되겠지만, 영어판에서는 카드의 이름으로 지정되는 "포톤(Photon)"과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서 이름이 'Lumenize'로 변경되었다. 한 편 한국어판의 경우 현재 번역명처럼 훈음을 반영하든 독음을 반영해 '포토나이즈'로 표기하든 포톤 카드군과 충돌될 일은 없지만, [[유희왕 ZEXAL]] [[대원방송]] 방영판에서는 '포톤나이즈'로 번역되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빛의 충격파]] || PHSW-KR070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듀얼리스트 팩]] -[[텐조 카이토|카이트]] 편- || DP13-KR030 || [[노멀]] || 한국 || || || [[빛의 충격파|PHOTON SHOCKWAVE]] || PHSW-JP070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수록 || || [[듀얼리스트 팩|デュエリストパック]] -[[텐조 카이토|カイト]]編- || DP13-JP030 || [[노멀]] || 일본 || || || [[빛의 충격파|Photon Shockwave]] || PHSW-EN070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수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