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광주광역시의 마을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마을720.png|width=12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광주광역시 마을버스 광산720번'''}}} || ||<-2> 기점 || 광주광역시 광산구 하남동(하남2지구) ||<-2> 종점 || 광주광역시 광산구 월계동(응암공원) || ||<|2> 종점[br]행 || 첫차 || 05:20 ||<|2> 기점[br]행 || 첫차 || 05:35(신가우미아파트)[br]05:45 || || 막차 || '''평일''' 21:20 / '''토요일,공휴일''' 21:28 || 막차 || '''평일''' 22:02 / '''토요일,공휴일''' 22:05 || ||<-2> 평일배차 || 10~22분 ||<-2> 주말배차 || '''토요일''' 14~28분 / '''공휴일''' 23~52분 || ||<-2> 운수사명 || [[광산버스]] ||<-2> 인가대수 || 14대[* 실질적으로 12대 운행. 공휴일 6~8대 운행.] || ||<-2> 노선 ||<-4> 하남2지구 - [[광주여자대학교]] - 우산빛여울채아파트(서) - 광주경찰청입구 - 광주인력개발원 - 금호타이어 - [[송정공원역]] - 소촌금호아파트 - 광산중 - 월곡일신아파트 - 월곡시장 - 목련마을6단지 - 목련마을 - 신가동 - 신가사거리 - 신가주공아파트 - 신창동우체국 - 신창중 - 신창초교 - [[남부대]] - 응암공원 || == 개요 == 광주광역시 마을버스 노선으로, 하남2지구와 첨단지구를 잇는다. [[http://map.naver.com/?busId=51001&enc=b64|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72번(송광중-5일장-정광고-광산중-무역회관), 72-1번(서호-동곡-광주송정역-자동화설비고-광산중) 마을버스가 전신이다. 72-1번은 당시 본덕동 서호마을에서 출발해 광산구 우산동까지 1~2시간 간격으로 운행했으며, 오지노선이라 특별 구간요금을 받았다. * 2006년 대개편 때 포화상태였던 70번과 75번을 보조할 노선으로 변경되었으며,[* 당시 두 노선은 출퇴근시간대에 수요가 폭발하는 노선이었다. 노선 상에 초등학교 두 곳, 고등학교 네 곳, 대학교 두 곳, 이렇게 총 여덟 학교가 있었기 때문.] 번호도 720번으로 변경되었다. 이 때 구 36번의 노선을 모방했기 때문에[* 개편 초기에 출발지는 소촌동 공무원교육원 앞이었으며, 신가동까지는 송정주공 경유를 제외하고는 노선이 똑같았다.] 한동안 '구 36번과 노선 동일'이라는 스티커를 붙여놓고 다녔다. * 구민버스[* 광산버스의 계열사였다고 한다.]의 부도로 인해 750번 마을버스[* 구 75번 마을버스. 운행경로는 다음과 같다(당시 명칭이 포함되어 있음). 은혜학교 - 폭스존 - 광주교통방송 - 첨단초교 - 첨단사거리 - 첨단2동주민센터 - 남부대학교 - 신창초교 - 진흥고 - 보건대후문 - 신가중학교 - 신가사거리 - 신가주공1단지 - 금구중 - 대반초교 - 월곡시장 - 하남중 - 광주여대 - 우산시영1~2단지 - 송정주공 - 아리랑고개 - 송정공원역 - 영광통 - 광산구청 - 송정리역(당시 명칭)]가 폐선되면서 긴급 증편이 실시되었고, 서호마을, 월곡동, 진흥고를 경유하지 않게 되었다. 기존 신창동 지역은 첨단93번[* 후에 [[광주 버스 첨단40|첨단40번]]으로 흡수되었다.]이 운행하게 되었으며, 월곡동 주택단지는 대체노선이 없었고, 서호마을은 710번에서 '두산 - 동곡 - 서호 - 송대 - 송정리 - 월곡동' 식으로 운행하게 되었다.[* 이후 720번 증차를 위해 2010년 말에 폐선되었다. 폐선된 후 두산과 송대에는 [[광주 버스 임곡90|임곡90번]]이, 서호와 분토에는 [[광주 버스 송정99|송정99번]]이 연장되어 운행하게 되었다.] * 영신운수 부도로 인해 780번 마을버스[* 과거 78번 마을버스로, 평동지역 오지마을과 송정동을 연결하던 노선이었다. 개편 이후 780번으로 운행하다 폐선.]가 폐선되면서 잉여차량을 증차분으로 사용하였다. [[http://cafe.naver.com/jeonlado/17213|관련 게시물(가입 필요)]] * 2014년 4월에 '하남역 - 광주여대(성심병원)' 구간이 연장되었다. == 특징 == * [[광주 버스]]들 중에서 첫차가 굉장히 이르다. 하남2지구 기준 5시 20분이 첫차인데 대부분 일반 시내버스들은 첫차가 5시 40분(급행, 간선)하고 6시 00분(지선)임을 감안하면 첫차가 굉장히 빠르다고 할 수 있다. * 첨단지구가 종점이긴 하지만, 첨단공영차고지로는 가지 않는다. 하지만 천연가스버스인 만큼 가스충전을 위해서라면 갈지도...[* 반대편 하남2지구방면 차량은 동곡충전소로 향한다. 응암공원이 U턴해서 회차하는 만큼 비상시가 아니면 안갈듯. 다만 첨단공영차고지는 아니지만 같은 첨단에 위치한 [[대창운수]] 본사로는 차량 중정비나 세차를 목적으로는 갈 확률이 매우 희박하게나마 있을듯 하다.] * 마을버스치고는 매우 깔끔한 선형을 가지고 있다. 골목길로 들어가지도 않으며, 오히려 인근에 다니는 [[광주 버스 첨단40|첨단40번]]보다도 굴곡이 적다. 시내버스를 참조하여 만들어진 노선이기 때문. 반대로 첨단40번은 폐선된 마을버스 대타로 들어가기 위해 노선을 바꿔서 오히려 마을버스 같은 선형을 가지고 있다. * 기점인 하남2지구와 종점인 첨단지구 응암공원까지는 별로 멀지 않다. 하남2지구에서 [[광주 버스 수완12|수완12번]]을 타고 농수산물유통센터(북)에서 [[광주 버스 금호46|금호46번]]이나 [[광주 버스 송정33|송정33번]]으로 환승하면 25~30분 정도 소요된다. 약 7km 거리다. * 송정29번과 노선이 영광통부터 신창초교까지 동일하며 첨단09번과는 신가사거리~종점인 응암공원까지 동일하다. 상무62번과도 송정파출소~산정중입구 구간이 동일하다. * 이 노선 상에 있는 정류장들 중 절반 가까이 광주 마을버스 원년 노선인 마을700번과 만난다.[* 이 노선 상에 있는 정류장이 46개인데(하남2지구 방면만 경유하는 극락강역입구 정류장 포함) 그 중에서 17개(700번 한정 건국지구대 방면만 경유하는 운남삼성아파트 정류장 포함) 정류장에서 만난다.] * 여담으로 월곡동에서 하남2지구까지 가는데 [[광주 버스 문흥18|문흥18번]]을 타면 약 10분이 걸리나, 이 노선은 약 25분이 걸린다.[* 반대 방향(하남2지구에서 운남.월곡동까지)은 약 30분이 소요되며 '''특히 출퇴근 시간대 금호타이어~영광통 구간의 상습 정체로 인해 소요시간은 30분+a가 된다.] 18번은 하남중 앞으로 가지만, 이 노선은 사암로를 타고 내려와 송정IC까지 간 다음에 영광통과 소촌산단을 지나서 하남2지구로 가기 때문. 원래 기점이 소촌동 시공무원연수원 앞이었기에 생긴 일이다. 다만 운남동에서 하남2지구로 가려면 [[광주 버스 일곡10|일곡10번]]을 타는 것이 더 빠르다.[* 문흥18번은 하남중을 경유하고, 일곡10번은 월곡2동행정복지센터로 리다이렉트를 해 준다. 다만 일곡10번이 배차가 긴 편이여서 두 노선의 격차가 5분 이내가 되지 않는 한 먼저 오는 걸 타면 빠르니 신중히 판단하고 타야 한다.] 다만 일곡10번은 배차 문제 때문에 곧 도착이지 않는 이상 차라리 약간 돌더라도 문흥18번을 타는게 낫다. * 반대로 운남동에서 첨단응암공원까지 가는데 [[광주 버스 수완03|수완03번]], [[광주 버스 금호46|금호46번]]을 타면 약 15분 정도 걸리고, 이 노선은 약 30분 정도 걸린다. [[광주 버스 수완03|수완03번]], [[광주 버스 금호46|금호46번]]을 타면 임방울대로로 직통하지만 이 노선은 신가동, 남부대를 거치기 때문이다. 다만 운남.월곡동~첨단2동주민센터까지 가는 경우에는 [[광주 버스 700|700번]]보다 이 노선이 제일 빠르다.[* 예를 들어 목련마을6단지에서 남부대까지 간다고 가정하면 700번은 신호대기 시간을 고려하면 약 45분 정도 걸리는 반면 720번은 신호대기 시간을 고려하면 약 20분 정도 걸리기 때문이다. [[광주 버스 700]]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애초에 700번은 수완지구, 비아동에서 첨단으로도 이어지게 하였기 때문이다.] * 대체로 운전이 험한 편이다. 노선이 같은 시내버스를 상대로 보복운전을 한 적도 있으며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03&aid=0007968260&sid1=001|#]] 노선이 겹쳐서 수요를 빼앗김과 배차시간표 때문에 그런 듯 하다. * 2021년(정확히는 2022년 3월 1일 이전)에는 첨단.신창.신가동 권역은 [[광주 버스 첨단09|첨단09번]]하고, 운남.송정동 권역은[* 정확히는 신창.신가동 권역도 포함] [[광주 버스 송정29|송정29번]]이랑 같이 수요분담으로 이용하기가 쾌적했으나 2022년 들어서(정확히는 2022년 3월 2일 이후) 기존 [[광주 버스 송정29|송정29번]]과 [[광주 버스 첨단09|첨단09번]] 이용객 중 90%를 흡수해 버려서 광주 마을버스 중에서도 최악의 혼잡도를 기록해버리고 말았다.[* 운남동 기준으로는 목적지가 동림동(정확히는 신창용수마을 정류장) 이북 구간이나 마찬가지로 신가.신창동 기준으로는 목적지가 [[광주송정역]] 일대(정확히는 광산구청 정류장 이남 구간)가 아닌 이상 --송정29번을 버리고--이 노선으로 흡수를 하였다. 첨단09번 경로 일대 중 목적지가 국립광주과학관, [[광주종합버스터미널]],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전남대병원]], [[무등산]]이 아닌 이상 마찬가지로 --신가.신창동 구간에 급행 기능을 하지 않는 첨단09번을 버리고--이 노선으로 죄다 흡수를 하였다.] 즉 문이 제대로 열리지 않을 정도로 수요가 매우 많다는 의미다. 결국 인파가 너무 과하면 생기는 일 중 하나가 [[압사]]인데 그 결과 서울에서 [[이태원 압사 사고]]가 발생하였고 수도권 쪽은 [[수도권 광역버스 입석금지]] 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반면에 초만원 버스 중 하나인 이 노선은 계단까지 승객이 꽉 차 있음에도 불구하고 승객을 [[승차거부]]로 타 노선을 연계시키는 게 아니라 오히려 더 받아내는 위험천만한 일이 생기기도 한다. [[승차거부]] 문서에도 보다시피 초가축수송 중인 버스는 정당한 사유의 승차거부다. * 이 때문에 기점부로 거슬러 가서 타는 경우가 극소수 있으며 첨단 방면 기준으로는 광주여대에서 대승차를 한 승객은 대부분 [[송정공원역]]에서 1차로 대하차를 하는데 하남 쪽에서 운남.신가.첨단 권역으로 가는데 이 노선을 타면 시간만 손해보기 때문이다. 월곡일신아파트에서 --대체 노선인 송정29번을 버리고-- 대거로 몰려서 승차하는데 운남.월곡동 한정으로는 이 노선이 남부대로 가는 가장 빠른 시내버스라지만 문제는 신가.신창동에서도 --첨단09번을 버려버리고-- 이 노선으로 몰려서 이동조차도 불가능해서 결국에는 앞문하차를 하는 승객이 상당한 편이다.[* 광주에서는 앞문하차는 전문형만 존재하는 [[광주 버스 좌석02|좌석02번]]을 제외하면은 절대로 해서는 안 되는 행동인 것을 감안하면 이 노선이 답이 없는 상태인 것이라는 것을 증명한다.] 결과적으로 남부대에서 2차 대하차를 해야지 숨통이 트이며 마지막으로 --LC타워--첨단2동행정복지센터에서 3차 대하차를 하면서 언제 그랬냐듯이 조용해진다. 하남 방면은 그의 역순으로 남부대에서 대승차 하고 송정공원역에서 1차 대하차를, 광주여대에서 2차 대하차를 하면 마찬가지로 조용해진다. === 시간표 === * 일요일, 공휴일에는 평일, 토요일 대비 배차가 '''2배''' 이상 벌어지므로 이용할 때 유의하자. [[http://www.gwangsan.go.kr/co/contentsView.php?pageID=gwangsan0405020400|#]] == 연계 철도역 == * [[파일:광주 1호선 아이콘.svg|width=17]] [[광주 도시철도 1호선]] : [[송정공원역]] * 일반 철도역 : [[하남역]](여객업무 미실시), [[극락강역]][* 극락강역 입구는 하남2지구 방면만 정차, 신가사거리에서 도보 후 이용 가능] [[분류:광주광역시의 시내버스/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