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광주광역시의 간선버스)] ||[[파일:봉선37(1).jpg|width=100%]] || [[파일:bBT9QGr.jpg|width=100%]] || || 남구문화예술회관이 기점이던 시절(2011년 9월)의 모습. 이 차량은 22년식 일렉시티 수소전기버스로 대차되어 [[광주 버스 송정19|송정19번]]으로 넘어갔다. || 현대교통 차량. 이 차량은 22년식 현대 뉴슈퍼에어로시티 유로6 개선형으로 대차되어 [[광주 버스 선운14|선운14번]]에서 운행 중이다. || [목차] == 노선 정보 == ## 여러 유저들 간의 합의를 거쳐 만든 '템플릿:버스노선'에서 모든 정류장을 적지 않도록 명시되어 있습니다. (모든 정류장을 적지 않는 것은 그렇게 하면 모바일에서 리사이징이 됐을 때 경로만 수십 줄이 나오기 때문입니다.) 이의가 있으시면 나무위키 버스 프로젝트에 토론을 열어주시기 바랍니다. ||<-6><:><#ffc600>[[파일:광주광역시 심볼.png|width=20]] {{{#ff0000 광주광역시 간선버스 봉선37번}}}|| ||<-2><:>기점||<:>광주광역시 광산구 박호동(송산유원지)||<-2><:>종점||<:>[승차] 광주광역시 동구 월남동(주남마을)[br][하차] 광주광역시 동구 월남동(월남공영차고지)|| ||<|2><:>종점행||<:>첫차||<:>05:40||<|2><:>기점행||<:>첫차||<:>05:40|| ||<:>막차||<:>22:20||<:>막차||<:>22:20|| ||<-2><:>배차간격|| 9~14분 ||<-2><:>배차간격||<-2><:>13~16분|| ||<-2><:>운수사명||<:>[[동화운수(광주)|동화운수]], [[현대교통(광주)|현대교통]]||<-2><:>인가대수||<:>23대(저상버스 8대)[* 동화운수 7대, 현대교통 16대.]|| ||<-2><:>노선||<-4><:>송산유원지 - [[호남대학교]]광산캠퍼스 - 보문고등학교 - 광주인력개발원 - 우산시영2단지 - 광산중 - 월곡시장 - 대반초교 - 풍영정천1교 - (→ 목련마을8단지 →/← 목련마을6단지 ←) - 목련마을 - 공구의거리 - 신세계백화점 - 서구청 - [[양동시장역]] - 수창초교후문 - 동부소방서 - [[전남여자고등학교|전남여고]] - [[전남대학교병원|전남대병원]]/남광주시장 - [[남광주역]] - 학림교 - 방림삼거리 - 라인효친 - 모아2차아파트 - 봉선삼익아파트 - 남구문화예술회관 - 용산지구모아엘가에듀파크 - 지원2동행정복지센터 - (← 주남 ←) - 월남공영차고지 || ||<-2><:><#B2EBF4> '''중간 출발 정류장''' || || '''양방향''' ||신세계백화점 || == 개요 == '''노선망 효율(배차간격, 노선길이, 환승편의, 평균 운행시간, 승하차인원 등) 종합평가 공동 1위의 개념 노선.''' [[http://map.naver.com/?busId=51128&enc=b64|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구 777번, 일명 7땡이 전신이다. 지산유원지와 호남대 광산캠퍼스를 연결하던 구 21번 버스의 좌석버스 버전이었으며, 21번과 달리 무등산장까지 올라갔다. 이후 2001년에 도시형으로 형간전환(型間轉換)되었고, [[상무대로|광송간 도로]] 대신 하남로 경유로(송정주공 - 월곡시장 - 신가동 - 광천사거리 - 월산4동 - 충파) 바뀌었다. 2004년에는 임동오거리 경유로 바뀌었다. * 2006년 개편 때 현재 노선으로 변경되었고, 번호도 봉선37번으로 바뀌었다. 특히 구 [[광주 버스 송정98|222번]]의 방림동 골목길 투어를 충실히(?) 계승하고 있다. 본래는 [[현대교통(광주)|현대교통]]이 단독 배차했다. * 봉선동 쪽 민원으로 인해 '남구문화예술회관 - 월남공영차고지' 구간이 연장되었다. 이 때부터 [[동화운수(광주)|동화운수]]가 공동배차에 참여했다. * 2017년 2월 25일 개편에서 예고된 '남구문화예술회관 - 용산지구' 연결도로가 생기면서, 2019년 7월 1일부로 연결도로를 경유하며 4개 정류장이 신설되었다.[* 용산지구대성베르힐, 용산모아엘가에듀파크, 용산초교, 지원2동행정복지센터. 또한 지원화훼단지(송산유원지 방향 일방 운행)에도 정차하며, 더이상 2순환로를 경유하지 않는다.] [[http://www.bukgu.gwangju.kr/board.es?mid=a10801010400&bid=0114&act=view&list_no=8492|관련 공지사항]] 동시에 용산지구로 단축될 계획이었지만, 연료충전/월남동 주민 편의를 위해 무산되었다. * 아직 연결도로가 임시개통된 상태라 도로 폭이 협소해 운행 속도가 낮으며, 대형차들이 교행할 때 사고 우려가 있어 월남동행만 기존처럼 용산IC 방향으로 우회한다. [* 이 구간을 통과하는 다른 3개 노선도 동일하다.] == 특징 == *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노선 이용객 수(순수 이용객, 환승 이용객, 광역환승 이용객) 8위다. * 동쪽 끝에서 서쪽 끝까지 운행하는 노선이기 때문에 [[광주 버스 송정19|송정19번]] 못지 않게 운행 거리가 길지만, 인가대수가 많다. * 많은 차량으로 [[광주 버스 송정98|98번]]과 함께 하남로를 책임지고 있으며, 출퇴근 시간대에는 미어터진다. * [[광주 버스 선운101|선운101번]]이 신설되기 전에 선운지구 경유로 변경하는 것을 검토했으나, 광산구 중심지(송정리 일대)를 지나가지 않기 때문에 기각된 것으로 보인다. * 빛고을 아트버스를 2대 운영 중이다.(15년식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유로6 5001호, 5002호.) * 단속카메라 장착차량 3대(5016호, 5017호, 5106호)가 운행 중이다. * 본래 [[저상버스]]는 [[현대교통(광주)|현대교통]]에서만 8대를 투입하다 최근 [[동화운수(광주)|동화운수]]에도 [[광주 버스 지원15|지원15번]]에서 운행하던 저상버스가 투입되었으나 (2708호, 2720호), 2018년 10월 1일부로 차번 맞추기의 영향인지 2708호는 [[광주 버스 지원25|25번]]으로, 2720호는 [[광주 버스 지원15|15번]]으로 이동했다. 그 반대급부로 15번에 있던 2718호와 25번에 있던 2751호가 이 노선으로 왔다. === 기타 사건사고 === * 2019년 1월 9일 비탈길에 있던 화물차가 고정되지 않은 채로 미끄러져 내려와 5005호 저상버스에 충돌하여 화물차 운전자가 숨졌고 일부 버스 승객들이 타박상을 입었다. 2달 반이 넘는 기간 동안 5173호[* 현재는 뉴슈퍼에어로시티 F/L 유로6로 대차되어 일곡38번에서 운행중이다] 예비차가 운행하다가 2019년 3월 말부터 다시 정상 운행을 시작했다. == 연계 철도역 == * [[광주 도시철도 1호선]]: [[녹동역]], [[남광주역]], [[문화전당역]],[* 동구청 정류장 하차 후 도보로 이동.] [[양동시장역]], [[돌고개역]], [[농성역]] * 일반철도: [[극락강역]](무궁화호, 누리로) [[분류:광주광역시의 시내버스/간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