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광주광역시의 간선버스)] [[파일:광주 선운14번 대우차량.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0000 광주광역시 간선버스 선운14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광주 선운14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광주광역시 광산구 박호동([[송산유원지]]) ||<-2> 종점 || 광주광역시 서구 화정동(화정무등파크) || ||<|2> 종점[br]행 || 첫차 || 05:40 ||<|2> 기점[br]행 || 첫차 || 06:15 || || 막차 || 22:10 || 막차 || 22:55 || ||<-2> 평일배차 || 15~22분 ||<-2> 주말배차 || 20~29분 || ||<-2> 운수사명 || [[현대교통(광주)|현대교통]] ||<-2> 인가대수 || 7대[* 공휴일 6대.] || ||<-2> 노선 ||<-4> [[송산유원지]] - 서봉마을 - [[호남대학교]] - 선운중학교 - 선운휴먼시아아파트 - 운수마을 - 광주무역회관 - [[한국은행]] - [[한국국토정보공사]] - ( ← [[한국수자원공사]] ←) - 대우디오빌[* 이전에는 정류장 이름이 '라마다호텔'이었다.] - 5.18기념공원 - 모아제일아파트 - 쌍촌현대아파트 - (→ 솔뫼타운 →) - 해태아파트 → [[기아자동차]] → [[광주종합버스터미널]] → [[광주신세계|신세계백화점]] → 화정무등파크(회차지점) → 해태아파트 → 쌍촌현대아파트 이후 역순 || == 개요 == 현대교통이 배차 중인 간선버스 노선이다. [[https://m.map.naver.com/bus/lane.nhn?busID=52001|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선운지구 교통 편의를 위해 2017년 2월 25일에 신설되었다. 당시에는 [[삼아교통]]과 공동 배차했다. [[http://www.bukgu.gwangju.kr/board.es?mid=a10801010400&bid=0114&act=view&list_no=8492|관련 공지사항]] * [[송산유원지]] 방향 라마다호텔 정류장이 저상버스를 탄 장애인 승객이 이용하기에 부적합하다는 기사가 나오면서 2019년 새 승차대를 설치하면서 위치를 대우디오빌 앞으로 이전했다. 그래서 정류장 이름도 '라마다호텔'에서 '대우디오빌'로 변경되었다.[* 사실 이는 이 노선이 신설되기 전에는 [[광주 버스 송암73|송암73번]]밖에 이 정류장을 경유하지 않았고, 73번은 지선이라서 저상버스가 투입되지 않아 그동안 문제가 되지 않았었다.] * 2019년 7월 24일부터 [[삼아교통]]이 철수하고 [[현대교통(광주)|현대교통]] 단독 운행으로 바뀌었다. 차량은 [[광주 버스 송정19|송정19번]]에서 2대를 추가로 가져와 운행한다. == 특징 == * [[송산유원지]]를 출발하여 [[호남대학교]] 앞을 거쳐 [[선운지구]]를 가로지른 후 운수나들목에서 [[무진대로]]를 이용한다. 이후 유덕1교차로에서 [[상무지구]] 방면으로 빠진다. 다만 상무지구에서 굴곡이 있는 편이며, [[광주종합버스터미널]]과 [[광주신세계|신세계백화점]]을 끼고 루프 회차한다. 화정무등파크에서는 해태아파트로 바로 넘어간다. 즉 송산유원지 방향은 [[기아자동차]], 광주종합버스터미널, 신세계백화점을 경유하지 않는다.[* [[광주 버스 금남58|금남58]]이 [[문화전당역]]에서 바로 출발하는것과 매우 유사하다.][* 그러니까 송산유원지에서 탑승하고 내리지 않고 송산유원지로 가는게 가능하다.] * 광산우산동행정복지센터 정류소는 정차하지 않으며,[* 도로 구조상 정차가 불가능하다.] 광주무역회관 ~ [[광주종합버스터미널]]은 [[광주 버스 송암68|송암68번]]이 더 빠르게 간다. 이 노선은 [[굴곡 노선/버스|상무지구, 쌍촌동, 화정동 쪽으로 돌아간다.]] 그리고 이 '''광주무역회관''' 정류소 정차가 이 노선 입장으로는 매우 골치 아픈 곳이다. 왜냐하면 이 정류장을 정차하는 바람에 [[무진대로]]로 다이렉트로 갈 수 있는데도 정차를 위한 신호 대기 시간으로 소요시간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차하지 않을 수도 없는게, 이 근처에 공사기업 지사들이 깔려 있기 때문. KT, SKT, 국민연금공단, 근로복지공단, 건강보험공단, 산업은행 등 상무지구를 도는 이유도 이 노선의 목적 자체가 선운지구-광산우산동상무지구 업무공간 출퇴근용이고, 터미널 빨리 가려고 만든 노선은 아니기 때문. 터미널 쪽은 급행기능을 아예 생각 안 했다.] 이로 인해 비 선호 노선이 되고, 급행 기능이라는 말은 유야무야해졌다. * 평일에 비해 주말 배차 간격이 다소 긴 편이다. * 블루시티 차량은 [[광주 버스 송정98|송정98번]]에서 2대를 추가로 가져와 운행한다. * 출퇴근 시간대에는 승객들을 꽤 많이 태우고 다니지만, --그 이외의 시간대에는 이용률이 많이 저조해 사람이 아예 안 타서 가는 경우도 많다.--[* 그러나 2022년 기준 이러한 모습은 거의 사라졌다. 현재는 그래도 수요가 있다. 다른 노선에 비해 안 타는 것은 여전하지만.] [[광주 버스 양산60|양산60번]]의 경우는 급행 기능에 어긋났을지라도 평일 배차 간격도 준수하고, 기존에 시내버스가 다니지 않았던 서강로(본촌교차로 ~ 예술고교차로 구간)를 운행하여 인근 아파트 주민들의 교통불편을 해소해 주었다. 또한 [[광주 버스 첨단30|30번]]보다 훨씬 빠르게 [[양산동(광주 북구)|양산동]] - [[유스퀘어]]를 연계함으로서 제 밥값은 톡톡히 하는 효자노선이다. 심지어 [[상무지구]]나 [[유스퀘어|터미널]]에 갈 때는 오히려 일반도로만 경유하는 [[광주 버스 일곡38|일곡38번]]이 더 빠르다는 말도 나올 정도로 배차가 잘 깨지는 일곡38번의 대체 노선 역할도 제대로 못 하고 있다. [[무진대로]]를 타다가 중간에 광주무역회관을 잠시 정차하는데 시간을 까먹고, [[상무지구]]를 뱅뱅 돈다는 등의 의견이 많다. 이 때문에 신설 초기에는 평일 기준 12~15분으로 다녔는데, 15~20분으로 늘어났고 현대교통의 무덤노선이 되었다.[* 다만 극소수로 신차가 들어가고 있으며 블루시티가 넘어와서 차급이 털끝만큼이나마 향상되었다. 무역회관에서도 [[광주종합버스터미널]]을 가는 승객이 [[광주 버스 송암68|송암68번]]이 늦게 올 경우 대신 타는 대체 노선이 되었다.] == 연계 철도역 == 없음. [[분류:광주광역시의 시내버스/간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