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광주광역시의 지선버스)] [[파일:대창518_2375.jpg|width=100%]]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광주광역시 지선버스 518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광주 518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광주광역시 북구 효령동(효령노인복지타운) ||<-2> 종점 || 광주광역시 서구 치평동(상무조각공원) || ||<|2> 종점[br]행 || 첫차 || 06:00 ||<|2> 기점[br]행 || 첫차 || 06:00 || || 막차 || 22:00 || 막차 || 22:00 || ||<-2> 평일배차 || 20~40분 ||<-2> 주말배차 || 40~60분 || ||<-2> 운수사명 || [[대창운수]] ||<-2> 인가대수 || 10대[* 공휴일 7대.] || ||<-2> 노선 ||<-4> 효령노인복지타운 - (영락공원입구 - 영락공원 - 영락공원입구)[* 평일은 20시 21분, 주말은 19시 반 이후로 미경유. 들어가는 시간대에도 효령노인복지타운 방향은 영락공원으로 가는 사람이 없으면 들어가지 않는다. 단, 명절 한정으로 필수로 경유한다.] - 수곡 - 단지삼거리 - [[국립민주묘지#s-2.3|국립5.18민주묘지]] - 석곡파출소 - 농산물공판장 - 무등도서관 - 북구청 - [[전남대학교]] - [[광주역]] - 4.19기념관 - 대인시장(동) - 동구청 - [[국립아시아문화전당|국립아시아문화전당(구.도청)]] - 임동오거리 - [[유스퀘어|광주종합버스터미널]] - 상무호반3차아파트 - 광주광역시청 - (→ 한국은행 → 농협운천지점 →/← 상무대우아파트 ← 상무쌍용.금호아파트 ←) - 상무라인대주아파트 - 5.18자유공원 - 상무지구종점 || == 개요 == '''[[광주 버스 228|228번]], [[광주 버스 419|419번]], [[광주 버스 1187, 1187-1|1187번]]과 더불어 노선번호 부여법칙을 따르지 않는 노선.''' [[http://map.naver.com/?busId=51104&enc=b64|전체 정류장 목록]]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5/15/0200000000AKR20170515158200797.HTML?input=1195m|[카드뉴스] 과거와 현재를 오가는 광주 518번 버스]] 번호 그대로, [[5.18 민주화운동]]의 상징성을 부각시킨 버스 노선이다. == 역사 == * 금호지구에서 북구 태령동까지 운행하던 25-2번이 전신이다. 초기에는 '쌍촌동[* 지금의 [[상무고등학교]] 자리] - 태령동' 노선으로 광천공단(현 [[유스퀘어|광주종합버스터미널]] 인근)을 거쳐 '죽봉대로 - 대남대로 - 독립로 - 중앙로 - 망월동 - 태령동'으로 가던 노선이었고 금호지구 조성 및 매월공영차고지 조성으로 인해 종점이 금호지구와 매월동 순으로 조금씩 연장되었다. * 2004년에 번호를 25-2번에서 518번으로 바꾸었고, [[유스퀘어|광주종합버스터미널]] 대신 주월동 매일시장 경유로 변경되었다. * 2006년에 518번이라는 번호에 맞게 518과 관련된 지역을 경유하는 현 노선으로 비슷하게 바뀌었다. * 영락공원이 조성되면서 영락공원 [[지원운행]]을 하게 되었다. * 2010년에 효령노인복지타운이 들어서면서 태령동을 미경유하고 효령노인복지타운으로 종점이 변경되었다. 태령동 경유는 [[광주 버스 지원15|지원15번]]이 대신하고 있다. 다만, 증차 없이 연장되었기 때문에 15번의 배차간격이 많이 벌어졌다. * 2012년 3월에 차량 재분배 과정에서 대창운수와 삼아교통이 공동배차를 하게 되었다. * 2015년 10월 10일에 삼아교통이 철수하고 대진운수와 공동배차를 하였다. * 2017년 2월 25일에 대진운수가 철수하고 대창운수가 단독으로 운행한다. * 2017년 12월 18일에 기점이 효령노인타운, 종점이 상무조각공원으로 상, 하행이 바뀌었다. 상무지구 회차지가 폐쇄되었고 효령동 쪽에 새 휴게실이 들어왔기 때문이다. * 2022년 3월 21일부터 전남방직(4508) 정류소를 신설하여 추가 경유한다. == 특징 == * 5.18 민주화운동 첫 사망자 [[김경철]]이 장애인인데, 장애인은 탑승이 어려운 계단버스만 있고 저상버스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http://omn.kr/1y7yl|비판]]을 받고 있다.[* 518번을 비롯한 지선버스는 중형차량으로 운행되어 저상버스가 없었다.] * 주말에는 배차가 40분 정도까지 걸릴 때도 있다. 때문에 [[5월 18일]]과 명절에는 다른 회사의 차량들로 증회 투입시키기도 하고, 장등동을 종점으로 하는 다른 노선을 임시로 영락공원까지 연장시키기도 한다. 명절날에는 차가 너무 많아 영락공원 내부 진입이 사실상 불가능해서 주변 공터에 차를 세워놓고 15~20분 간격으로 차를 내보낸다. * 초기에는 대형차량으로 운행하였으나 시기 미상으로 중형차량으로 교체하여 지금까지 운행하고 있다. 그러나 위에 말한 특정 일자의 지원운행시에는 대형차가 들어오기도 한다. * 금남로 일대에 행사가 있어 통제될 경우 구.도청 대신 '금남로4가역 - 예술의거리입구 - 대인시장'으로 우회한다. 단, 2017년 충장축제에선 수창초교 정문까지 통제되어 '북성중 - 수창초교후문 - 동부소방서 - 대인시장 - 광주고'로 우회했다. 금남로공원까지 통제될 때를 기준으로 똑같이 '광주고 - 광주일고' 구간을 오가는 문흥39번은 전남여고까지 들렀다 온 것과 대조된다. * 노선 경유지를 통해 이 노선의 성격이 다음과 같음을 알 수 있다. * [[5.18 민주화운동]] 사적지 투어 : 각각 상무지구, '''금남로와 구 전남도청''', 광주고등학교, 광주역, 전남대, 그리고 '''5.18 공원묘역'''까지. 교통 요충지인 [[광주종합버스터미널]]과 [[광주역]]을 경유하기 때문에 5.18 관련 사적지 시티투어의 기능을 수행하는 노선이다. 그러나 같은 5.18 관련 사적지 중 하나인 양동시장하고 전남대병원을 '''경유하지 않는다.''' * 묘지 경유 노선 : 5.18 국립묘지 이외에도 영락공원과 시립공원묘지 등 광주 외곽에 있는 묘역과 터미널을 이어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 그 외 : [[유스퀘어|광주종합버스터미널]] 에서 [[금남로]]를 직선으로 이어주는 노선이며 시내 구간이 꽤 긴 편이라 시내 수요도 적잖게 소화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효령노인복지타운과의 연계를 위해 복지타운까지 연장되었다. * 효령노인복지타운행은 영락공원을 하차하는 승객이 있을 경우에 한해 경유한다. 상무지구 행은 필수 경유. == 연계 철도역 == * [[파일:광주 1호선 아이콘.svg|width=17]] [[광주 도시철도 1호선]] : [[금남로5가역]], [[금남로4가역]], [[문화전당역]] * 일반 철도역 : [[광주역]](무궁화, ITX-새마을, 통근열차) [[분류:광주광역시의 시내버스/지선]][[분류:5.18 민주화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