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광주광역시의 남자고등학교]][[분류:동구(광주광역시)의 고등학교]][[분류:1951년 개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 [include(틀:다른 뜻1, other1=경기도에 위치한 광주고, rd1=광주고등학교(경기))] [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광주광역시 동구의 고등학교)] [include(틀:5.18 사적지 목록)] ||<-2> {{{#white {{{+1 '''광주고등학교'''}}}[br]'''光州高等學校'''[br]'''Gwangju High School'''[br]}}} || ||<-2> [[파일:symbol12.gif|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광주고등학교(광주), 너비=100%)]}}} || || {{{#white '''개교'''}}} || [[1951년]] || || {{{#white '''유형'''}}} || [[자율형 공립고등학교]] || || {{{#white '''성별'''}}} || [[남자고등학교|남학교]] || || {{{#white '''운영형태'''}}} || [[공립]] || || {{{#white '''교장'''}}} || 진정준 || || {{{#white '''교감'''}}} || 강창현 || || {{{#white '''교훈'''}}} || 학행일치(學行一致) || || {{{#white '''학생 수'''}}} || 623명[br](2023학년도 기준) || || {{{#white '''교직원 수'''}}} || 60명[br](2023학년도 기준) || || {{{#white '''관할교육청'''}}} || [[광주광역시교육청]] || || {{{#white '''소재지'''}}} || [[광주광역시]] [[동구(광주)|동구]] 중앙로 302 (계림동) || || {{{#white '''홈페이지'''}}} || [[http://gwangju.gen.hs.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광주고등학교(光州高等學校)는 [[광주광역시]] [[동구(광주)|동구]] [[계림동(광주)|계림동]]에 있는 자율형 공립 고등학교이다. == 학교 연혁 == * 1951. 09. 28 : 광주고 3년제 개교 - 설립 근거: 학제 개편(대통령령528호, 1951.8.14.)으로 6-3-3제로 변경 - 6년제이던 동중+서중의 4~6학년이 광주고등학교에 편입(1~3년) * 1951. 10. 26 : 개교기념일 제정 * 1952. 03. 31 : 광주고등학교 제1회 졸업식 (469명 졸업) * 1954. 05. 01 :광주고등학교 병설 광주동중학교 3년제 개교 * 1955. 10. 21 : 도서관(세종관) 준공 * 1958. 11. 01 : 교가 제정 * 1968. 08. 18 : 과학관 준공 * 1972. 01. 14 : 광주동중학교(3년제 중학) 제17회 졸업식 (최종 졸업) (1회~17회 졸업생 4,672명) * 1973. 12. 03 : 체육관(홍익관) 준공 * 1975. 03. 01 : 부설 방송통신고등학교 개교 * 1991. 02. 25 : 본관 준공 * 1992. 01. 01 : 교문 확장 축조 및 수위실 개축 * 1998. 09. 25 : 식당(섭양관) 및 음악당 준공 * 2002. 05. 31 : 기숙사(우정학사) 준공 * 2002. 08. 16 : 과학관(창학관) 준공 * 2004. 03. 24 : 계림대 준공 * 2004. 09. 17 : 사이버 교실 설치 * 2004. 10. 01: 보아라! 우리 광고!! 창간호 발행 * 2004. 10. 09: 다목적 강당(홍익관) 리모델링 개관 * 2004. 10. 18 : 광주고등학교인재육성협의회 회칙 제정 * 2004. 10. 30 : 광주고등학교인재육성 프로젝트 창간호 발행 * 2006. 04. 19 : 4 · 19시비 제막 * 2006. 12. 08 : 아름다운 학교 최우수상 수상 * 2007. 05. 30 : 광고문학관(光高文學館) 개관 * 2007. 07. 13 : 제15회 한국수학경시대회 최우수학교 표창 * 2008. 03. 01: 제22대 김용하 교장 취임 * 2009. 12. 26: 2009학년도 학교평가 우수학교 표창 * 2010. 01. 11 : 2009학년도 수능성적 최우수학교 표창 * 2010. 02. 10 : 제59회 졸업식(366명 졸업, 졸업생 총수 30,309명) * 2011. 02. 10 : 제60회 졸업식(343명 졸업, 졸업생 총수 30,652명) * 2011. 03. 01 : 제23대 [[자율형 공립고등학교]] 김용하 교장 취임 * 2012. 02. 09 : 제61회 졸업식(281명 졸업, 졸업생 총수 30,933명) * 2012. 09. 01 : 제24대 김종근 교장 취임 * 2015. 10. 20 : [[자율형 공립고등학교]] 재지정(16.3.~21.2 5년) * 2016. 02. 05 : 제65회 졸업식(278명 졸업, 졸업생 총수 32,147명) * 2016. 03. 02 : 제68회 입학식(신입생 286명 입학) * 2016. 09. 01 : 제25대 이영호 교장 취임 * 2017. 02. 10 : 제66회 졸업식(282명 졸업, 졸업생 총수 32,429명) * 2017. 03. 02 : 제69회 입학식(신입생 270명 입학) * 2019. 03. 04 : 제71회 입학식(신입생 230명 입학)[* 2019학년도는 각 학년당 8학급으로 편성되어 있다. 전교생 총수는 735명이다.] * 2020. 01. 31 : 제69회 졸업식(266명 졸업, 졸업생 총수 33,252명) * 2020. 09. 01 : 제26대 최동림 교장 취임 * 2022. 03. 01 : 제27대 진정준 교장 취임 == 교훈 및 상징 == === 교표 === [[파일:symbol15.gif]] === 교기 === [[파일:symbol05.jpg]] === 교목 === [[파일:symbol02.jpg]] === 교화 === [[파일:symbol03.jpg]] === 교색 === [[파일:symbol04.gif]] === 교가 === [[파일:20180616_144112.jpg]] == 학교 시설 == [[파일:9CDE2415-3387-421F-872A-EF8000AE4550.jpg]] 학교 내부가 크고 건물들이 많아 신입생들이 길을 잘 찾지 못하는 경우가 부지기수이다. === 안내동(이발관) === 광주고등학교 정문에 들어서면 바로 왼편에 보이는 곳. 주로 경비실이라고 불린다. 당직 교사가 항상 근무한다. ‘광주고등학교 정문 경비실’로 주소를 입력하고 택배를 보내면 당직 교사가 모두 보관해준다. --이건 사실 기숙사생들만의 특권이다.-- 경비실 바로 옆에는 이발소가 있다. 특이하게 고등학교 내에 이발소가 있는 것이다. 광주고등학교 동문 선배가 운영한다. 이용 고객은 대부분 광주고 동문 선배들이다. 광주고등학교 학생들도 이곳에서 이발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학생들은 삭발만 가능하다. 가격은 5,000원이고 매주 수요일은 휴무일이다. 현재는 없어졌다. === 홍익관 === [[파일:섭양관.jpg]] 건물 이름은 홍익관이지만 주로 강당이나 체육관으로 불린다. 입학식, 축제, 졸업식 등 여러 행사가 이루어지는 곳이다. 광주고등학교 농구부의 홈그라운드로 사용되고 있다. 유튜브 채널 ‘터치플레이’가 직접 이곳에 와서 광주고등학교 농구부 선수들과 시합을 한 적이 있다.[[https://youtu.be/pBVafC8CB9I|#]] === 섭양관 === [[파일:음악당.jpg]] 건물 이름은 섭양관이지만 그 누구도 섭양관이라고 부르지 않는다. 음악당[* 음악'''당'''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음악실이라고 부를만한 크기가 아니기 때문이다. 진짜 매우 크다.] 혹은 급식실로만 불린다. 1층에는 급식실이, 2층에는 음악당이 있다. 놀라운 점은 급식실과 비슷한 크기의 음악당이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각종 행사가 음악당에서 열린다. 신입생 오리엔테이션과 외국어 합창대회가 대표적이다. 음악 수업도 항상 음악당에서 한다. --이렇게 큰 음악당에서 음악 수업을 들으면 가슴이 웅장해진다-- === 본관 === [[파일:본관2.jpg]] 오르막에 지어진 건물이라 1층이 좁고 2층이 거의 1층처럼 느껴진다. 1991년에 지어져서 세월의 흔적이 남아있는 곳이다. * 1층 행정실, 도움반, 발간실 * 2층 보건실, 교육정보실, 인성부실, 방송실, 본교무실, 교장실, 창의인재부 * 3층 1학년 교실, 1학년 교무실 * 4층 2학년 교실, 2학년 교무실 === 후관 === [[파일:광고문학관.jpg]] 흔히 방통고(방송통신고) 또는 후관동이라 불리는 이곳은 방송통신고 교실이 있다. 하지만 평일에는 방송통신고 학생들이 등교하지 않으므로 1, 2학년 교사들이 교과교실로 사용한다. * 1층 미술실, 광고문학관 * 2층 방통고 교무실, 국어교실, 영어교실 * 3층 사회교실, 수학교실1, 수학교실2 미술실 옆에는 광고문학관이 있는데, 따로 통하는 길은 없고 광고문학관 정문으로만 드나들 수 있다. 광고문학관은 광주고 출신 문인들의 작품들을 전시해놓은 곳이다. 고등학교 내 문학관이 있는 경우는 전국에서 유일하다. 하지만 쉽게 구경할 수 없는 곳이기도 하다. 평소에는 문을 잠가 두고 특별한 날[* 광고[[백일장]], 교내축제 등]에만 개방한다. === 계림동산 === [[파일:계림동산.jpg]] 광주고의 성지. 수업에 지친 학생들이 점심을 먹고 매점에서 먹을거리를 사들고 산책하기 좋은 장소이다. 광주고등학교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계림동산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光高에는 우리지역 최고의 명당이라 전해져 내려오는 야트막한 동산이 있습니다. 光高의 별칭이기도 한 '계림동산'이 바로 그것입니다. 70여 년의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光高의 상징이자 터전이지요. 光高의 교화이기도 한 아카시아가 많다고 하여 '아카시아동산'이라고도 부릅니다. 光高人이라면 교훈인 '學行一致'와 더불어 '계림동산, 아카시아동산'을 늘 가슴에 새기고 지냅니다. 세종관(도서관)에서 공부하다 지친 光高人들은 계림동산에서 휴식을 취하며 미래의 꿈과 인생을 생각합니다. 계림동산은 사색의 공간이요, 상상의 공간입니다. 光高 출신의 문인들이 유독 많은 까닭이 계림동산과 무관하지 않습니다. 光高人들의 인성과 우정이 남다른 것도 상서로운 기운을 품고 있는 계림동산이 사시사철 그들을 포근히 감싸고 있기 때문입니다. 계림동산은 光高의 소중한 전통이자 뿌리입니다.” === 세종관 === [[파일:tpwhdrhks.jpg]] ||<-2> {{{#ba55d3 '''세종관 자습실[* 출처: 광주고등학교 홈페이지]'''}}}[br]{{{#!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aejonggwan.jpg|width=100%]]}}}||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aejonggwan1.jpg|width=100%]]}}}||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aejonggwan2.jpg|width=100%]]}}}||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aejonggwan3.jpg|width=100%]]}}}||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aejonggwan4.jpg|width=100%]]}}}|| }}}}}}}}} || === 기숙사 === 1, 2학년이 같이 사용하는 웅비관과 3학년 따로 사용하는 계림관으로 나뉘어져 있다. 시설이 굉장히 좋지 않은데, 웅비관은 금간 벽이 인상적이며, 계림관은 바퀴벌레와 지네 등 다양한 동물과 교감하며 살 수 있다. 독이 있는 [[왕지네]]에 물려서 병원에 간 경우도 있다.특히 여름에는 [[모기]], [[나방]], 매미유충 등이 엄청 많아서 벌레가 싫다면 절대 안들어가야한다. 웅비관도 만만치 않다. 여름에 자고 일어나면 기본 모기 5방을 물린 자신의 팔을 확인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실[* 컴퓨터실]에 들어가면 모기를 5마리 정도는 기본으로 잡을 수 있을 것이다. == 학교 생활 == === 주요 행사 === * [[체육대회]] * 광주고 축제 매년 2학기 중간고사 이후 10월 말에 진행되는 광주고 최대의 행사이다. 축제 당일 오전에는 각 동아리별로 광고문학관 앞 주차장과 후관동 건물에서 체험, 전시 부스를 운영한다.[* 전통적으로 매년 학생회 부스가 계림동산 앞에서 운영된다. 컨텐츠는 먹거리와 물풍선. 1,000원에 물풍선 3개를 살 수 있고 학생회 임원 2명을 지목하여 세워놓고 물풍선을 던져 맞출 수 있다. 학생회 임원들이 음식을 팔고 물풍선을 맞아가며 힘겹게 모은 돈으로 고3 선배들이 수능을 치를 때 초콜릿을 산다.] 오후에는 홍익관(강당)에 모여 공연을 진행한다.[* 사회자는 2학년 회장과 2학년 부회장이다.] 외부인도 입장하여[* 이때 다른 학교 여고생들이 많이 놀러오기 때문에 학생들이 눈에 불을 켜고 번호를 따는 진풍경을 볼 수 있다.] 2층 관람석에서 관람할 수 있으며 여고 댄스부의 찬조공연이 많기 때문에[* 2~3팀] 축제의 분위기가 매우 뜨겁다.[* 코로나19로 인하여 모두 온라인 경기로 대체되면서 E스포츠 경기를 하고 교사들이 사회를 하는 진풍경을 볼 수 있었다. 여담으로 그 덕분에 방송부가 고생을 했다.] * 광주고 외국어 합창 대회 한국 노래를 쓰지 않고 외국어로만 쓰인 노래로 반마다 합창을 연습해 여는 대회이다. 상당히 큰 음악당에서 진행하며 이게 상당히 재밌는 것이 외국어에 해당되는 언어의 종류가 많이 나올수록 그 언어의 모국인인 외국인(!)들이 심사위원으로 참여한다! 2019년 기준으로 7주년을 맞이한 행사인데 2018년엔 일본인부터 독일, 아프리카 기니 출신(!) 외국인까지 참여했다.--다만 그 이듬해엔 일본과의 무역분쟁이 터지고 이후 학년의 기가 막힐 정도로 비슷한 취향들 때문에 영어 외에 다른 언어가 전멸했다-- == 출신 인물 == * [[강대형]] * [[강신석]] * [[강윤구(공무원)|강윤구]] (공무원) * [[강정수]] * [[고귀남]] * [[고중석]] * [[김동환(1932)|김동환]] * [[김기홍(군인)|김기홍]] * [[김만기(군인)|김만기]] * [[김병조]] (희극인) * [[김보현(1965)|김보현]] * [[김상열(기업인)|김상열]] * [[김수(정치인)|김수]] * [[김순호(경찰)|김순호]] * [[김양배]] * [[김영룡]] * [[김완기(공무원)|김완기]] * [[김재철(공무원)|김재철]] * [[김종천(1949)|김종천]] (군인) * [[김중배]] * [[김태정(법조인)|김태정]] * [[김홍연(1958)|김홍연]] * [[김화진]] (국민의힘 전라남도당 위원장) * [[나석호]] * [[나승포]] * [[나종민]] * [[류인학]] * [[류준상(1942)|류준상]] * [[명동성]] * [[모성준]] * [[문순태]] * [[민병록]] * [[민용태]] * [[민화식]] * [[박관현]] * [[박대문]] * [[박봉우]] * [[박봉환]] * [[박상천]] * [[박석무]] * [[박성룡]] * [[박성철(1960)|박성철]] * [[박승주]] * [[박우철]] * [[박윤흔]] * [[박재승]] * [[박정구]] * [[박주선]] * [[박태영]] (1941년) * [[배만운]] * [[배용태]] * [[백군기]] * [[백남기]] * [[서범석(1951)|서범석]] * [[서병조(1941)|서병조]] * [[소재섭]] * [[손금주]] * [[손수익]] * [[손학래]] * [[송상락]] * [[송재구]] * [[송주호(정치인)|송주호]] * [[신계륜]] * [[신일순]] * [[신재호]] (농구 선수) * [[심상명]] * [[안정남]] * [[안종운]] * [[안주섭]] * [[양동관]] * [[양성철]] * [[양희승]] * [[오순택]] * [[오점록]] * [[오종렬]] * [[유두석]] * [[유수택]] * [[윤관(법조인)|윤관]] * [[윤영철]] * [[윤종록]] * [[이규현(1959)]] * [[이균범]] * [[이기권]] * [[이기현(정치인)|이기현]] * [[이동진(1945)|이동진]] * [[이명흠]] * [[이문옥]] * [[이병구]] * [[이병완]] * [[이상하]] * [[이성부]] (시인) * [[이승훈(농구선수)|이승훈]] (농구 선수) * [[이용근]] * [[이용선]] * [[이이화]] * [[이재근(1937)|이재근]] * [[이정빈(1937)|이정빈]] * [[이정현(1987)|이정현]] * [[이철원]] * [[이환의]] * [[이효계]] * [[장석웅]] : 전라남도교육감 * [[장재식]] * [[장현(정치인)|장현]] * [[장휘국]] : 광주광역시교육감 * [[전정규]] * [[정봉채]] * [[정채기(1948)|정채기]] (정치인) * [[정현경(군인)|정현경]] * [[조영표]] * [[조우현(공무원)|조우현]] * [[조태일]] * [[주봉현]] * [[천경송]] * [[최문휴]] * [[최수병]] * [[최정원]] (1949년) * [[한갑수(정치인)|한갑수]] * [[한창기]] * [[황일웅]]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 * 학교 앞 : [[광주 버스 매월06|매월06]], [[광주 버스 문흥39|문흥39]], [[광주 버스 운림54|운림54]], [[광주 버스 석곡87|석곡87]], [[광주 버스 송정98|송정98]], [[광주 버스 용전184|용전184]], [[광주 버스 228|228]], [[광주 버스 419|419]], [[광주 버스 518|518]], [[광주 버스 남구715|남구715]] * 계림사거리 정류장 : [[나주 버스 160|160(나주)]], [[담양 버스 322|322(-1, 2)(담양)]], [[동광담양고속]] 광주 착발노선들 * 4.19기념관 정류장 : [[광주 버스 송정19|송정19]], [[광주 버스 금남55|금남55]], [[광주 버스 용봉83|용봉83]] == 사건 사고 == * [[광주 학동 건물 붕괴 사고]]로 이 학교에 재학 중이던 김OO 군(향년 17세)이 사망했다. 동아리 활동으로 학교에 다녀오는 길에 참변을 당했다. == 기타 == * 야자 분위기는 매우 자유롭다. 핸드폰으로 자유롭게 신청한다. * 독서실 시설이 좋고, 학생 모두 야자시간에 독서실 같은 좋은 공간에서 야자를 한다. 이 점은 다른 학교에 비해 좋은 메리트. * 가끔 수능 보기 전에 광주고 출신 전 광주광역시교육감 [[장휘국]]이 와서 악수해주고 간다. * 학교 주변이 주택 [[재개발]]사업으로 대단위 [[아파트]]촌으로 탈바꿈하고 있다.[* 일조권으로 추정되는 이유로 광주고 측이 약 10억을 사측에서 받았다고 한다.] * 주변의 다른 인문계 고등학교보다 유난히 학교 분위기가 안 빡세기로 유명하다. 좋게 말해 안 빡센거고 나쁘게 말하면 공부를 안하기로 유명해서 공부에 흥미 없는 학생이 광고를 1지망으로 쓰는 경우가 많은데, 광주고는 언급했듯 학업 외의 활동 예산이 매우 빵빵한데다가 개개인의 자율성이 높은 공립 고등학교이기 때문에 '''다른 학교 이상으로 무조건 상위권 성적을 받는게 이득'''이라는 걸 명심해야한다. 일단 공부 좀 한다는 수준에 들어가면 학교에서 받을 수 있는 혜택이 차원이 다르기 때문이다. 당장 중위권(4등급~3등급 중후반)과 중상위권(3등급 초반~2등급 중후반)만 비교해도 거의 다른 학교 수준으로 흥미로운 활동을 할 기회가 차이가 난다.[* 방학 시기를 잡아 대학 탐방이라면서 단체로 뷔페도 가고 고급 호텔에서 묵고 오는 서울 여행이라던지, 지리 탐구라고 쓰는 1박2일 피크닉이라던지. 아무튼 온갖 그럴듯한 명분으로 미친듯이 놀면서 생기부까지 채울 기회가 많이 찾아온다.][* 다만 이 역시 동아리 부서마다 다르고 중상위권 내에 들어갔더라도 사람마다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