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야수족]][[분류:유희왕/OCG/펜듈럼 소환]] [[유희왕]]의 하급 펜듈럼 몬스터 카드.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4994_1.jpg|width=400]] || 한글판 명칭 ||<-4>'''괴짜 얼룩말'''|| || 일어판 명칭 ||<-4>'''ヨコシマウマ'''|| || 영어판 명칭 ||<-4>'''Zany Zebra'''|| ||<-5> [[펜듈럼 소환|펜듈럼]]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2 || [[유희왕/속성|어둠]] || [[야수족]] || 0 || 2000 || || {{{#blue P스케일}}} ||<-3> 펜듈럼 효과 || {{{#red P스케일}}} || || 7 ||<-3>①: 이 카드를 발동한 턴의 자신 메인 페이즈에 1번만, 사용하고 있지 않은 {{{#red 메인 몬스터 존}}} 또는 마법 & 함정 존을 1곳 지정하여 발동할 수 있다. 지정한 존은 이 카드가 펜듈럼 존에 존재하는 동안은 사용할 수 없다. || 7 || ||<-5>①: 이 카드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사용하고 있지 않은 {{{#red 메인 몬스터 존}}} 또는 마법 & 함정 존을 1곳 지정하여 발동할 수 있다. 지정한 존은 이 카드가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동안은 사용할 수 없다.|| ||<:>'''에라타 (공통)[br][[https://www.db.yugioh-card.com/yugiohdb/faq_search.action?ope=4&cid=12150|(2017.03.25)]]'''||<-4><(>'''誤 : [텍스트]''' {{{#red 몬스터 존}}}[br]'''正 : [텍스트]''' {{{#red 메인 몬스터 존}}}|| ||<-5>{{{#!wiki style="margin: -5px -11px;" {{{#!wiki style="width: 100%;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left; vertical-align: top;background-color:#FFFFFF; border: rgba(255,165,0,1) solid 1px;" 언제나 나쁜 생각만 하는 얼룩말. 함정에 빠뜨릴 수 있다면 누구라도 좋다. 그렇다. [[나만 아니면 돼|자기만 아니라면…]] ▶[[유희왕 크로스 듀얼|{{{#FFA500 유희왕 크로스 듀얼}}}]]의 [[플레이버 텍스트|{{{#FFA500 플레이버 텍스트}}}]] }}}}}}|| [[브레이커즈 오브 섀도우]]에서 등장한 [[펜듈럼 소환|펜듈럼]] 하급 효과 몬스터. 빈 메인 몬스터 존 또는 마법 & 함정 존을 사용 못하게 만드는 펜듈럼 효과와 [[유발효과]]를 가졌다. 막연히 메인 몬스터 존 하나를 봉인하는 정도로는 아무런 방해 공작이 안 되므로, 링크 마커로 향하는 곳을 봉인하는 등의 연구가 필요해진다. 마법 & 함정 존은 양 끝을 지정하면 펜듈럼 몬스터의 배치를 막아 [[펜듈럼 소환]]을 방해할 수 있다. 펜듈럼 몬스터라 펜듈럼 스케일 1짜리와 조합하면 파괴되어도 펜듈럼 소환으로 다시 전개하여 방해하기가 쉽다. 또한 레벨 2 / 야수족이라 [[마수의 회유]], [[레스큐 캣]]에 대응하며, 튜너와 함께 전개하여 싱크로 소재로 삼는 것으로 즉시 엑스트라 덱에 놓을 수도 있다. 하지만 그래봤자 완전히 봉쇄하는 것도 아니니, [[방해꾼 킹]] 같은 카드와 같이 사용하여 봉쇄를 강화하는 편이 좋다. [[방해꾼]] 몬스터와는 레벨 2 / 야수족이라는 점을 공유하는 덕분에 서포트를 같이 받을 수 있다. 필드 마법 존을 봉쇄할 수는 없다. 마스터 룰 3 시절에는 기존 마법 & 함정 존과 독립 상태였던 펜듈럼 존도 봉쇄할 수 없었다. 몬스터 효과 쪽은 [[유발효과]]이기 때문에, 발동하여 적용된 후 [[스킬 드레인]]을 발동해도 봉인은 해제되지 않는다. 다만 [[달의 서]]로 뒷면 표시가 되면 앞면 표시로 존재해야 한다는 조건을 채우지 못해 봉인이 해제된다. 이름은 사악하다(邪)의 요코시마+얼룩말(시마우마)를 합친 말장난. '요코시마'를 음독인 '자'로 바꾸고, 馬를 붙이면, '방해'라는 뜻인 '자마(邪馬)'라는 말도 된다. 영문판에서는 단어를 전부 'Z'로 맞췄는데, 한국어판은 그쪽을 직역해 '괴짜 얼룩말'로 번역되었다. 말장난을 살리지 못한 건 아쉽지만 쉽게 번역할 수도 없는 이름이라 어쩔 수 없을 듯하다. 펜듈럼 효과에 1턴에 1번 제한이 없기 때문에, 효과를 연속으로 사용해 모든 몬스터 존과 마법 함정 존을 사용 불가로 만드는 활용법이 있을 줄 알았지만, 실제 카드 발매 후 재정에는 발동한 턴에 1번만 사용할 수 있다는 재정이 나왔다. 이후 [[펜듈럼 에볼루션]] 수록시에 "1번만"이라는 텍스트가 추가되었다. 유희왕 공식 트위터에서 [[브레이커즈 오브 섀도우]] 발매 전 수록 카드를 선행 공개할 당시에는 일러스트만 먼저 공개해서 이름을 맞추는 행사가 있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브레이커즈 오브 섀도우]] || BOSH-KR042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브레이커즈 오브 섀도우|BREAKERS OF SHADOW]] || BOSH-JP042 || [[노멀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수록 || || [[브레이커즈 오브 섀도우|Breakers of Shadow]] || BOSH-EN042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수록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다크 제브라, version=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