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베식타스 JK/간략)]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4444 40%, #FF0000 40%)" {{{#ffffff '''괴칸 인러의 역임 직책'''}}}}}} || || {{{#!folding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4444 40%, #FF0000 40%)" {{{#ffffff ''' 스위스 축구 국가대표팀 주장 ''' }}} }}} || || [[알렉산더 프라이]][br]{{{-1 (2007~2011) }}} || {{{+1 {{{#ffffff ▶ }}} }}} || '''{{{#ffffff 괴칸 인러[br]{{{-1 (2011~2015)}}}}}}''' || {{{+1 {{{#ffffff ▶ }}} }}} || [[슈테판 리히슈타이너]][br]{{{-1 (2016~2020)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5_Y87vaoAAief-.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f 0%, #f0f0f0)" '''{{{#!html 베식타스 JK No. 88}}}'''}}} || ||<-2> '''{{{#fff {{{+1 괵한 인레르}}}[br]Gökhan İnler}}}''' || ||<|2> '''출생''' ||[[1984년]] [[6월 27일]] ([age(1984-06-27)]세) || ||[[스위스]] 올텐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스위스)]''' | [include(틀:국기, 국명=튀르키예)] || || '''신체''' ||183cm, 80kg || || '''포지션''' ||[[수비형 미드필더]], [[중앙 미드필더]] || || '''유소년 클럽''' ||FC 올텐 (1992~1998)[br]FC 졸로투른 (1998~2002)[br][[FC 바젤]] (2002~2005) || || '''소속 클럽''' ||[[FC 아라우]] (2005~2006)[br][[FC 취리히]] (2006~2007)[br][[우디네세 칼초]] (2007~2011)[br]'''[[SSC 나폴리]] (2011~2015)'''[br][[레스터 시티 FC]] (2015~2016)[br][[베식타스 JK]] (2016~2017)[br][[이스탄불 바샥셰히르 FK]] (2017~2020)[br][[아다나 데미르스포르]] (2020~2023)[br][[베식타스 JK]] (2023~ ) || || '''국가대표''' ||89경기 7골 ^^([[스위스 축구 국가대표팀|스위스]] / 2006~2015)^^ || || '''종교''' ||[[이슬람]][* [[튀르키예]]계 [[스위스]]인] || [목차] [Clearfix] == 개요 == [[스위스 축구 국가대표팀|스위스]] 국적의 [[베식타스 JK]] 소속 축구선수. 포지션은 미드필더.[* 중앙 미드필더, 수비형 미드필더] == 클럽 경력 == 2004년 스위스의 [[FC 바젤]]에서 커리어를 시작했으나 한 경기도 뛰지 못하고 이듬해 아라우로 이적해 데뷔전을 갖는다. 아라우에서 좋은 활약을 보인 인러는 2006년 [[FC 취리히]]로 이적해 우승을 맛본다. 스위스에서의 성공으로 세리에 A의 [[우디네세 칼초]]로 이적하게 되었으며 [[안토니오 디 나탈레]], [[알렉시스 산체스]], [[마우리시오 이슬라]], [[파블로 아르메로]], [[콰드오 아사모아]]와 함께 우디네세의 약진을 이끌며 2010-11 시즌 우디네세가 챔피언스 리그 티켓을 따내는데 혁혁한 공을 세운다. 이러한 활약을 바탕으로 챔피언스리그를 준비하던 나폴리로 이적하게 된다.[* 원래 [[유벤투스 FC]] 이적이 거의 확정적이었는데 틀어지고 나폴리로 선회하게 되었다. 영화제작자인 나폴리의 데 라우렌티스 회장의 깜짝쇼로 인러는 사자마스크를 쓰고 기자회견장에 나섰으며, 언론들의 주목을 한번에 받게 된다.] === [[SSC 나폴리]] === 2011년 입단 이후 쭉 주전으로 자리잡았으며[* 2013년 초엔 다소 폼이 하락하며 [[블레림 제마일리]]에게 잠시 주전자리를 내줬던 적은 있다. 하지만 시즌 개막 이후 귀신같이 폼이 회복하여 다시 주전을 차지했다.] 나폴리 미드필드진에 없어선 안될 존재. 중앙미드필더 보강이 필요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와 링크가 날 정도로 그 실력을 이미 유럽에서 인정받고 있다. 마짜리 감독의 마지막 시즌이었던 12/13시즌에는 절정의 감각을 보였지만 시즌 말미부터 제마일리한테 조금씩 밀리는 모습을 보여줬다. [[라파엘 베니테즈|베니테즈]] 부임 이후 안정적인 수비와 빌드업으로 다시 중용받았지만, 14/15시즌에는 [[라파엘 베니테즈|로테이션 성애자]]의 전술에서도 배제되고 본인 기량자체도 점점 하락하면서 주전에서 밀려난다. === [[레스터 시티 FC]] === 2015년 8월 19일 레스터 시티로 이적하였다. 이적 이후 팀 중원의 주축이자 베테랑 역할을 맡으리라 기대되었으나, 초반에 부상으로 결장하게 되었다. 그리고 부상에서 돌아와보니 [[은골로 캉테|프랑스 2부리그에서 온 무명의 키작은 미드필더]]가 엄청난 활약을 보이면서 주전에서 밀려났다. 심지어 캉테 옆에서 뛰는 [[대니 드링크워터]]가 못하는 것도 아니라서 더더욱 주전에서 멀어진데다가 교체 우선순위에서도 [[앤디 킹]]에게 밀리면서 4옵션까지 떨어졌었다. 2월달에는 경기감각 유지 차원에서 U21 경기를 뛰기도 했다. 결국 리그 5경기, 컵 5경기 출전으로 시즌을 마무리했지만 어쨌든 선수 생활 말년에 기대도 하지 않았던 EPL 우승을 경험하게 되었다. === [[베식타스 JK]] 1기 === 그후 주전 경쟁에서 밀린 그는 튀르키예의 [[베식타스 JK]]로 이적했다. 계약 기간은 3년. === [[이스탄불 바샥셰히르 FK]] === 2017년 여름 [[이스탄불 바샥셰히르 FK]] 이적이 확정되었다. 그러나 많은 경기에 나서지 못한 채 교체멤버에 머물러야했다. === [[아다나 데미르스포르]] === 2020년 9월 30일, 튀르키예 2부리그에 위치한 아다나 데미르스포르에 입단했다. 그리고 시즌 중반부터는 주장으로 임명되며 팀을 [[튀르키예 쉬페르리그]] 승격하는데 혁혁한 공을 세웠다. 2022년 7월, 데미르스포르와 1년 재계약을 맺었다. 현재 만 38세이기에 선수로서 마지막 시즌이 될 가능성이 크다. === [[베식타스 JK]] 2기 === 2023년 9월 14일, [[베식타스 JK]]로 이적했다. 계약 기간은 1년.[[https://bjk.com.tr/tr/haber/86967/evine-hos-geldin-gokhan-inler.html|#]] == 국가대표 경력 == 인러는 스위스 U-21 국가대표와 튀르키예 U-21 국가대표에 모두 뛴 경험이 있다. 그러나 성인 대표팀은 스위스를 선택했다. 2006년 9월 2일, 베네수엘라와의 친선 경기에서 A매치에 첫 출장한 이후 [[유로 2008]]과 [[2010 남아공 월드컵]] 스위스 국가대표로 출전하면서 스위스 중원의 핵으로 자리잡았다. 남아공 월드컵 조별리그 1차전 스페인과의 경기에서 주장인 [[알렉산더 프라이]]를 대신해 주장 완장을 차고 경기에 출전하여 1-0 승리를 이끌기도 했다. 2011년 알렉산더 프라이가 국가대표에서 은퇴한 이후 스위스 국가대표팀 주장이 되었고, [[2014 브라질 월드컵]]에서 4경기 모두 출전하여 조국을 16강으로 진출시키는 데에 공을 세웠다. 하지만, 대표팀 주장임에도 불구하고 2015-16 시즌 리그 5경기 출전에 그치며 클럽에서의 주전 경쟁에서 밀려나 대표팀에서의 입지가 완전히 줄어들어 [[유로 2016]] 스위스 국가대표팀 최종 명단에는 탈락하게 되었다. 주장 또한 리히슈타이너에게 넘겨주게 되었다. == 플레이 스타일 == [youtube(Isu2vB_uK04)] 우선 컷팅, 패스, 중거리슛 등 미드필더로서 갖춰야할 덕목을 모두 갖췄다. 특히 주발은 오른발이지만 양발잡이로 불러도 될만큼 왼발의 정교함도 갖췄으며, 공간만 나면 어느발이든 강력한 슈팅을 구사할수 있다. 2011년 나폴리 입단 이후 10골을 넣었으며[* 2014년 1월 9일 기준] 모두 박스 바깥에서 때려넣은 중거리골들이다. 확실히 중거리슈팅 능력만큼은 [[세리에 A]]에서도 원탑을 다투던 선수였다. == 기록 == === 대회 기록 === * [[FC 취리히]] * [[스위스 슈퍼 리그]] : 2005-06, 2006-07 * [[SSC 나폴리]] * [[코파 이탈리아]] : 2011-12, 2013-14 *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 2014 * [[레스터 시티 FC]] * [[프리미어 리그]] : 2015-16 * [[베식타스 JK]] * [[쉬페르리그]] : 2016-17 * [[이스탄불 바샥셰히르 FK]] * [[쉬페르리그]] : 2019-20 * [[아다나 데미르스포르]] * [[TFF 1. 리그]] : 2020-21 == 여담 == * 스위스에서 태어난 스위스인이지만 [[튀르키예]]계 핏줄이 흐르고 있다. 참고로 그와 함께 나폴리에서 뛰었던 스위스 선수인 [[발론 베라미]]와 [[블레림 제마일리]]는 둘 다 알바니아계 혈통이지만 베라미는 [[코소보]], 제마일리는 [[북마케도니아]] 출신으로 연고지가 다르다. [[파일:inlernapoli.jpg|width=50%]][[파일:inlernapoli2.jpg|width=50%]] * [[SSC 나폴리]] 입단 당시, 사자 마스크을 쓰고 기자회견장에 등장했다. 이후 가면을 벗고 모든 사람들을 깜짝 놀라게 했다.[* 원래 [[유벤투스 FC]] 이적이 거의 확정적이었는데 틀어지고 나폴리로 선회하게 되었다.] 영화제작자인 나폴리의 데 라우렌티스 회장의 경력을 살린 깜짝쇼로 덕분에 언론들의 주목을 한번에 받게 되었다. * 리그 정상급 중거리 슛을 바탕으로 국내 팬들 사이에선 '시밤쾅 형님'이라 불렸다. * 나폴리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줬고 튀르키예 리그에서 쭉 뛰고 있었기 때문에 [[김민재]]의 나폴리 이적과 관련해서 많은 사람들과 인터뷰를 했다. 본인이 직접 김민재에게 나폴리에 가면 성공할거라 말해주기도 했다고.[* 이와 비슷한 예로 [[마렉 함식|함식]]도 추천했다.] == 같이 보기 == [include(틀:베식타스 JK)] == 관련 문서 == * [[무슬림/목록]] [[분류:1984년 출생]][[분류:튀르키예계 스위스인]][[분류:스위스의 무슬림]][[분류:스위스의 남자 축구 선수]][[분류:복수국적자]][[분류:FC 아라우/은퇴, 이적]][[분류:FC 취리히/은퇴, 이적]][[분류:우디네세 칼초/은퇴, 이적]][[분류:SSC 나폴리/은퇴, 이적]][[분류:레스터 시티 FC/은퇴, 이적]][[분류:베식타스 JK/현역]][[분류:이스탄불 바샥셰히르 FK/은퇴, 이적]][[분류:아다나 데미르스포르/은퇴, 이적]][[분류:스위스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공화국 참가 선수]][[분류: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참가 선수]][[분류:UEFA 유로 2008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