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나무엑터스 소속 아티스트)] [include(틀:구교환)] ||<-2> '''{{{+1 구교환}}}[br]具敎煥 | Koo Kyohwa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구교환프로필1.jpg|width=100%]]}}} || ||<|2> '''출생''' ||[[1982년]] [[12월 14일]] ([age(1982-12-14)]세)[* [[박하선의 씨네타운]]에서 박하선이 영화 메기를 처음 봤을 때 자신보다 어린 줄 알고(실제로는 박하선이 5세 연하) 30대 초반으로 착각했다고 했는데, 이때 장난으로 올해 31세가 맞다고 했다.] || ||[[서울특별시]] [[성북구]]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본관''' ||[[능성 구씨]] (綾城 具氏)[* 능성 구씨 30세손 '''敎○ (가르칠 교)''' 또는 在○ (있을 재) 항렬이다.] || || '''신체''' ||174cm | [[A형#혈액형]] || || '''가족''' ||부모님, 형 || || '''학력''' ||[[경문고등학교]] {{{-2 (졸업)}}}[br][[서울예술대학교]] {{{-2 (영화과 / 전문학사)}}}[* [[3수]]해서 03학번으로 영화과 연기 전공이다. 동년배 배우인 [[정유미(1983)|정유미]], [[이준기]] 등이 한 학번 위 선배이다. 서울예대는 연극과, 영화과, 방송연예과(現 방송영상) 세 학과의 세부전공으로 연기 전공이 있었으나 2007년 세 과에 흩어져 있던 연기 전공을 하나로 통합해 연기과를 신설하였다. 때문에 구교환이 재학하던 당시에는 영화과 안에 세부적으로 연기전공이 존재했다.] || || '''종교''' ||[[무종교]] || || '''병역''' ||[[육군]] [[이병]] [[소집해제]] {{{-2 ([[공익근무요원]])}}}[* [[청소년쉼터]]에서 복무했다.]|| || '''데뷔''' ||[[2008년]] 영화《아이들》|| || '''소속사''' ||[[나무엑터스]] || || '''별명''' ||'''구교'''[* 구교환의 팬들이 구교환을 부를 때 많이 사용하는 별명이며, 구교환의 싸인 역시 9kyo이다.], [[스칼렛 요한슨|스칼렛]] [[구교환|교환슨]][* 트위터를 했을 당시에 사용하던 닉네임이다.], [[호아킨 피닉스|구아킨]] [[스칼렛 요한슨|교환슨]][* [[연상호]] 감독이 [[구교환]]에게 [[호아킨 피닉스]] 라고 했었던 것을 스칼렛 교환슨과 합친 것이다.], 구[[환불]][* [[교환]]/[[환불]]에서 따온 별명. ], 구뵤환, 뵤[* 트위터에서 ‘햄스터들은 뵤 하게 생겼다’는 트윗이 유행된 후 트위터 내에서 햄스터를 ‘뵤’라고 표현하는데, 구교환이 햄스터를 닮아(?) 트위터 팬들이 그를 ‘뵤’, ‘구뵤환’ 과 같은 애칭으로 부른다.] || || '''팬 애칭''' ||[[영수증]][* 영수증이 없으면 '''교환'''/환불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 || '''MBTI''' ||[[INFP]] || || '''링크''' ||[[https://www.youtube.com/channel/UCLc7X-VyFkfoJO9-2ciRJB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https://m.cafe.naver.com/9kyo.cafe?|[[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svg|width=24]]]] | [[https://m.cafe.daum.net/gugyohwan/_rec|[[파일:다음 카페 아이콘.svg|width=24]]]]|| || '''서명''' ||[[파일:7D8D0E2B-D8C0-495A-8487-FC0C3988A04A.jpg|width=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스칼렛교환슨.gif|width=100%]]}}} || [[대한민국]]의 [[배우]] 겸 [[영화 감독]]. == 활동 == 2006년 연극배우로 첫 데뷔를 하게된 이후 2008년 단편영화 '아이들'에 출연해 현재까지 다양한 작품으로 커리어를 쌓아가고 있다. 주로 독립 영화로 활동하며 연인인 [[이옥섭]] 감독과 같이 작업한 단편들이 많다. 아예 둘의 유튜브 채널이 따로 있을 정도. [[https://www.youtube.com/channel/UCLc7X-VyFkfoJO9-2ciRJBA|유튜브 채널]] 한 번 들으면 쉽게 잊기 힘든 목소리가 특징이다.[* 어릴 때 또래로부터 귀여운 척 하냐고 들은 이후 [[콤플렉스]]가 되었다고 한다. 그로 인해 처음 연기를 할 때 목소리를 꾸며냈다. 그러나 어느 날 본연의 목소리로 연기를 한 후 칭찬을 듣고 더이상 목소리를 꾸미지 않는다고. ] [[2017년]]에 독립 영화 [[꿈의 제인]]에 출연, [[트랜스젠더]] '제인'을 연기하여 청룡영화상 신인남우상 후보에 그 이름을 올렸으며 [[부일영화상]]과 [[백상예술대상]]에서 남자신인연기상을 수상하였다. [[2019년]]에는 영화 [[메기(영화)|메기]]가 개봉했다. [[2020년]]에는 [[연상호]] 감독의 [[반도(영화)|반도]]에서 메인 빌런인 '[[서상훈(연니버스)|서 대위]]' 역할로 출연하면서, 그동안 구교환 배우를 잘 알지 못하던 일반 대중에게도 강렬한 인상을 남기면서 인지도가 대폭 상승했고, 다양한 작품에 참여하게 되었다. 이후 [[2021년]] [[류승완]] 감독의 신작 <[[모가디슈(영화)|모가디슈]]>에서 북한 대사관 '태준기 참사관' 역을 맡았고,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D.P.]]에서 '[[한호열]] 상병' 역을 맡으면서 주목받고 있다. [[2022년]] 티빙 오리지널 [[괴이(드라마)|괴이]]에서 고고학자 정기훈 역을 맡아 배우 [[신현빈]]과 부부로 호흡을 맞추었다. 정석적으로 연기하지 않는 개성파 배우로서, 뛰어난 연기력과 독특한 매력을 가진 배우이다. == 출연 작품 == === 영화 === ##개봉된 장편영화의 주연, 조연으로 출연한 영화만 기재합니다. 단역, 특별출연, 우정출연, 카메오 등은 제외합니다. ||
{{{#!wiki style="margin: 0px -11px; color: #ffffff" {{{#!folding Filmography {{{#!wiki style="margin-bottom: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황금시대|[[파일:영화 황금시대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사사건건|[[파일:빈 세로 이미지.sv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서울연애|[[파일:빈 세로 이미지.sv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오늘영화|[[파일:빈 세로 이미지.svg|width=100%]]]]}}} || || [[황금시대|{{{#!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 '''황금시대'''}}}}}}]]{{{#!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E698F; font-size: 0.75em" {{{#white '''주연'''}}}}}} {{{#202020 {{{-2 '''2009. 9. 10'''}}}[br]{{{-3 김성호, 김은경, 남다정, 양해훈, 이송희일, 채기, 최익환, 윤성호, 김영남, 권종관 감독 / 유언 역}}} }}} || [[사사건건|{{{#!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 '''사사건건'''}}}}}}]]{{{#!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E698F; font-size: 0.75em" {{{#white '''조연'''}}}}}} {{{#202020 {{{-2 '''2010. 1. 21'''}}}[br]{{{-3 이정훈, 홍성훈, 조성희, 김영근, 김예영 감독 / 라오우 역}}} }}} || [[서울연애|{{{#!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 '''서울연애'''}}}}}}]]{{{#!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E698F; font-size: 0.75em" {{{#white '''주연'''}}}}}} {{{#202020 {{{-2 '''2014. 10. 30'''}}}[br]{{{-3 최시형, 이우정, 정재훈, 김태용, 이정홍, 정혁기, 조현철 감독 / 기철/교환 역}}} }}} || [[오늘영화|{{{#!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 '''오늘영화'''}}}}}}]]{{{#!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E698F; font-size: 0.75em" {{{#white '''감독·주연·각본·프로듀서·편집'''}}}}}} {{{#202020 {{{-2 '''2015. 8. 20'''}}}[br]{{{-3 구교환 감독 / 구교환 역}}}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우리 손자 베스트|[[파일:우리 손자 베스트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꿈의 제인|[[파일:131445444.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메기(영화)|[[파일:메기(2019).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반도(영화)|[[파일:peninsulamainposter.jpg|width=100%]]]]}}} || || [[우리 손자 베스트|{{{#!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 '''우리 손자 베스트'''}}}}}}]][* 어버이 연합과 일베를 소재로 한 리얼리즘 영화다보니 영수증들 사이에서 해당 영화의 제목을 뒤집어서 느그 손자 워스트, 느손워라는 별명이 있다. 불쾌함을 유발하는 내용이다 보니 구교환 필모깨기에서 끝판왕으로 통한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E698F; font-size: 0.75em" {{{#white '''주연·각색'''}}}}}} {{{#202020 {{{-2 '''2016. 12. 8'''}}}[br]{{{-3 김수현 감독 / 교환 역}}} }}} || [[꿈의 제인|{{{#!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 '''꿈의 제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E698F; font-size: 0.75em" {{{#white '''주연'''}}}}}} {{{#202020 {{{-2 '''2017. 5. 31'''}}}[br]{{{-3 조현훈 감독 / 제인 역}}} }}} || [[메기(영화)|{{{#!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 '''메기'''}}}}}}]]{{{#!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E698F; font-size: 0.75em" {{{#white '''주연·각본·편집·제작·프로듀서'''}}}}}} {{{#202020 {{{-2 '''2019. 9. 26'''}}}[br]{{{-3 이옥섭 감독 / 이성원 역}}} }}} || [[반도(영화)|{{{#!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 '''반도'''}}}}}}]]{{{#!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E698F; font-size: 0.75em" {{{#white '''조연'''}}}}}} {{{#202020 {{{-2 '''2020. 7. 15'''}}}[br]{{{-3 연상호 감독 / 서대위 역}}}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모가디슈(영화)|[[파일:모가디슈_스페셜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길복순|[[파일:길복순 3차 포스터.jpg|width=100%]]]]}}} ||<-2> || || [[모가디슈(영화)|{{{#!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 '''모가디슈'''}}}}}}]]{{{#!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E698F; font-size: 0.75em" {{{#white '''주연'''}}}}}} {{{#202020 {{{-2 '''2021. 7. 28'''}}}[br]{{{-3 류승완 감독 / 태준기 역}}} }}} || [[길복순|{{{#!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 '''길복순'''}}}}}}]]{{{#!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E698F; font-size: 0.75em" {{{#white '''주연'''}}}}}} {{{#202020 {{{-2 '''2023. 3. 31'''}}}[br]{{{-3 변성현 감독 / 한희성 역}}} }}} ||<-2> || }}}}}}}}} || ||
{{{#fff '''개봉 연도'''}}} || {{{#fff '''제목'''}}} || {{{#fff '''배역'''}}} || {{{#fff '''비고'''}}} || ||<|2> 2008년 || 아이들 || 진욱 || 데뷔작, 주연 || || 죽기 직전 그들 || 도영 || 주연 || ||<|2> 2009년 || [[김씨 표류기]] || 공익요원1 || 단역 || || 황금시대 || 기철 || 주연 || ||<|2> 2010년 || [[남매의 집]] || 라오우 || 주연 || || 실락원 || 훈진 || || ||<|2> 2011년 || 구해줘! || 교환 || 주연 || || 거북이들 || 교환 || 감독, 주연, 각본, 편집 || ||<|2> 2012년 || [[늑대소년]] || 만취남 || 단역[*통편집] || || 겨울잠 || 구병 || 주연 || ||<|2> 2013년 || 술래잡기 || - || 감독 || || Welcome to my home || 교환 || 감독, 주연 || ||<|5> 2014년 || 서울연애 || 기철, 교환 || 주연 || || 왜 독립영화 감독들은 DVD를 주지 않는가? || 고기환 || 감독, 주연, 각본, 의상, 편집, 미술 || || 뎀프시롤:참회록 || 교환 || 주연 || || 4학년 보경이 || 구덕우 || 주연, 편집 || || 희야 || 기태 || 주연, 편집 || ||<|6> 2015년 || 오늘영화 || 구교환 || 감독, 주연, 각본, 편집, 촬영 || || 오명 || 선생님 || || || 연애다큐 || 구교환 || 감독, 주연, 각본, 편집 || || 로보트:리바이벌 || 형근 || 주연 || || 방과 후 티타임 리턴즈 || - || 감독, 각색, 제작, 편집 || || 플라이 투 더 스카이 || 교환 || 감독, 주연, 각본, 시각효과, 편집 || || 2016년 || 우리 손자 베스트 || 교환 || 주연, 각색 || ||<|2> 2017년 || '''[[꿈의 제인]]''' || '''제인''' || 주연 || || 걸스 온 탑 ||<|2> - || 감독, 각본, 의상, 편집 || || 2018년 || 세마리 || 주연, 각본, 편집 || ||<|2> 2019년 || [[메기(영화)|메기]] || 이성원 || 주연, 각본, 제작, 편집 || || 로미오 : 눈을 가진 죄 || 로미오 || 주연 || || 2020년 || '''[[반도(영화)|반도]]''' || '''[[서상훈(연니버스)|서상훈]]''' || 조연 || ||<|2> 2021년 || '''[[모가디슈(영화)|모가디슈]]''' || '''[[모가디슈(영화)/등장인물#s-3.2|태준기]]''' || 주연 || || 영화감독 구교환 브이로그 || 구교환 || 감독, 주연, 편집 || ||<|3> 2022년 || 러브빌런 || 구교환 || 주연 || || 대리운전 브이로그 || 구교환 || 감독, 주연, 각본, 편집 || || 사람냄새 이효리 || 교환 || 감독, 주연, 각색, 편집 || || 2023년 || '''[[길복순]]''' || '''한희성''' ||<|4> 주연 || ||<|3> 2024년 || [[탈주(영화)|탈주]] || 리현상 || || [[왕을 찾아서]] || 김도진 || || [[부활남(영화)|부활남]] || 석환 || === 드라마 === ||
{{{#fff '''방영 연도'''}}} || {{{#fff '''방송사'''}}} || {{{#fff '''제목'''}}} || {{{#fff '''배역'''}}} || {{{#fff '''비고'''}}} || || 2016년 ||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KBS 드라마 스페셜/2016년#s-2.9|드라마 스페셜 - 아득히 먼 춤]] || 신파랑 || 주연 || ||<|2> 2021년 ||<|2>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svg|width=40]]]] || [[킹덤: 아신전]] || [[아이다간]] || 조연 || || '''[[D.P.]]''' || '''[[한호열]]''' ||<|2> 주연 || ||<|2> 2022년 || [[TVING|[[파일:TVING 로고.svg|width=40]]]] || [[괴이(드라마)|괴이]] || 정기훈 || || [[ENA|[[파일:ENA 로고.svg|width=40]]]] ||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등장인물/회차별 등장인물#s-10|방구뽕]][* 작중 본명이다.] || 9화 특별출연 || ||<|2> 2023년 || [[wavve|[[파일:wavve 로고.svg|width=40]]]] || [[박하경 여행기]] || 이창진 || 특별출연 || ||<|2>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svg|width=40]]]] || '''[[D.P.(시즌 2)|D.P. 시즌2]]''' || '''[[한호열]]''' ||<|2> 주연 || || 미정 || [[기생수: 더 그레이]] || [[기생수: 더 그레이/등장인물#설강우|설강우]] || == 그 외 활동 == === 라디오 === ||
{{{#fff '''방송일'''}}} || {{{#fff '''방송국'''}}} || {{{#fff '''프로그램명'''}}} || {{{#fff '''비고'''}}} || || 2019년 9월 25일 ||<|4> [[SBS 파워FM|[[파일:SBS 파워FM 로고.svg|width=40]]]] || [[박선영의 씨네타운]] || [[https://youtu.be/LpUYoiHxKO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 2021년 8월 5일 || [[두시탈출 컬투쇼]] || [[https://youtu.be/_7xBQvDuaQ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 2021년 8월 23일 ||<|2> [[박하선의 씨네타운]] || [[https://youtu.be/4V6x5NImFw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 2022년 4월 25일 || [[https://youtu.be/IoegFTfF11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 화보 === ||
{{{#fff '''발매 연도'''}}} || {{{#fff '''잡지명'''}}} || {{{#fff '''호수'''}}} || {{{#fff '''비고'''}}} || || 2019년 || 나일론 || 10월호 || || ||<|5> 2020년 || 씨네21 || 7월호 || || || 씨네21 || 8월호 || || || 에스콰이어 || 10월호 || || || W컨셉 코리아 || 10월호 || || || GQ || 11월호 || [[https://www.gqkorea.co.kr/2020/10/23/%ea%b5%ac%ea%b5%90%ed%99%98-%eb%ad%94%ea%b0%80-%ec%88%a8%ea%b2%a8%eb%86%93%eb%8a%94-%ea%b1%b8-%ec%a2%8b%ec%95%84%ed%95%b4%ec%9a%94/|링크]] || ||<|3> 2021년 || W컨셉 코리아 || 9월호 || With [[정해인]] || || 마리끌레르 || 10월호 || || || 보그 코리아 || 11월호 || || ||<|5> 2022년 || 아레나 옴므 플러스 || 1월호 || || || 싱글즈 || 4월호 || || || 마리끌레르 || 4월호 || || || 하퍼스 바자 코리아 || 5월호 || || || 에스콰이어 || 6월호 || || === 광고 === ||
{{{#fff '''연도'''}}} || {{{#fff '''브랜드명'''}}} || {{{#fff '''비고'''}}} || ||<|2> 2020년 || [[라코스테]] #NOTHING 캠페인 || [[https://youtu.be/K35DFxCNLn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 [[삼성 BESPOKE 큐브 Air]] || [[https://youtu.be/ANY1wy8htC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4> 2021년 || [[무신사]] || [[https://youtu.be/xZVL1V5XJi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 [[써브웨이]] || [[https://youtu.be/NxHvRyBsXu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 구글 플레이 #BEST_OF_2021 || [[https://youtu.be/_K14MQnkXX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 랩트리션 엔자임 솔루션 || [[https://youtu.be/5qfrMFhI1h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9> 2022년 || 메트로시티 || [[https://youtu.be/vwqLlKbLTT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 아임리얼 마스크 || [[https://youtu.be/l2Pn-H_NvH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 프리메라 맨 인더핑크 || [[https://youtu.be/QiR4k8XU0J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 무신사 || [[https://youtu.be/N6pmU7BUEx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 리디 || [[https://youtu.be/OJUruNjpxE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 [[스마일클럽]] || [[https://youtu.be/VLCt1pbFbM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 라퍼지스토어 || [[https://youtu.be/gDpkq7COth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 [[YouTube Premium|유튜브 프리미엄]] || [[https://youtu.be/DASjCD4xmt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 [[말해보카]] || [[https://youtu.be/UVaxTlGwDl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 방송 === ||
{{{#fff '''방송일'''}}} || {{{#fff '''방송국'''}}} || {{{#fff '''프로그램명'''}}} || {{{#fff '''비고'''}}} || || 2021년 12월 3일 || [[KBS 2TV|[[파일:KBS 2TV 로고.svg|width=40]]]] || [[연중 라이브]] || || || 2021년 12월 15일 || [[tvN|[[파일:tvN 로고(2012-2021).svg|width=40]]]] || [[유 퀴즈 온 더 블럭]] || [[https://youtu.be/5tFOI96API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https://youtu.be/CloDtGJysW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 2022년 6월 10일 ||<|3> [[티빙|[[파일:TVING 로고.svg|width=40]]]] ||<|3> [[서울체크인]] ||<|3> {{{-2 with[br][[이옥섭]] }}} || || 2022년 6월 24일 || || 2022년 7월 1일 || == 수상 내역 == ||
{{{#fff '''수상 연도'''}}} || {{{#fff '''시상식'''}}} || {{{#fff '''부문'''}}} || {{{#fff '''작품'''}}} || || 2011년 || 정동진독립영화제 || 땡그랑동전상 || 거북이들 || ||<|2> 2014년 || 부산국제단편영화제 || 부산 시네필 어워드 ||<|2> 왜 독립영화 감독들은 DVD를 주지 않는가? || || 제13회 [[미쟝센 단편영화제]] || 희극지왕 최우수작품상 || ||<|3> 2016년 || 아시아나국제단편영화제 || 국내경쟁 대상 || 플라이 투 더 스카이 || || [[부산국제영화제]] || 올해의 배우상 || [[꿈의 제인]] || || [[씨네21 영화상]] || 올해의 남자신인배우 ||<|2> 우리 손자 베스트 || ||<|3> 2017년 || 제22회 [[춘사영화제|춘사영화상]] || 신인남우상 || || 제26회 [[부일영화상]] || 신인남우상 ||<|3> [[꿈의 제인]] || || 제18회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 신인남자연기상 || || 2018년 || [[제54회 백상예술대상]] || 영화부문 남자 신인 연기상 || ||<|2> 2021년 || [[제42회 청룡영화상]] || 청정원 인기스타상 || [[모가디슈]] || || [[씨네21 영화상]] || 올해의 남자배우 || [[D.P.]][br][[킹덤(한국 드라마)|킹덤: 아신전]] || ||<|4> 2022년 ||<|2> [[제20회 디렉터스컷 어워즈]] || 영화부문 올해의 새로운 남자배우상 || [[반도(영화)|반도]] || || 시리즈부문 올해의 남자배우상 ||<|3> [[D.P.]] || || [[제58회 백상예술대상]] || TV부문 남자 신인 연기상 || || [[제1회 청룡시리즈어워즈]] || 남자 신인상 || == 여담 == * 부친이 [[사진관]]을 하신다. 매체 인터뷰에서 구교환의 어릴 때부터 최근까지 증명사진[*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drama_new3&no=6281346|초중고 졸업 사진]] [[https://twitter.com/k_dramovie/status/1529355814364135424|대학 졸업 사진]]] 속 얼굴이나 표정이 똑같다는 말이 나오자, '[[아버지]]가 보는 자신의 한결같은 모습이 사진에 반영돼서 그런 듯하다'고 답했다. * 늦은 나이까지 운전 면허를 취득하지 않았다가 영화 [[모가디슈]]에서 위험한 카체이싱 장면이 있는 관계로 영화 촬영 직전 취득했다고 한다.[[https://pickcon.co.kr/m/view.html?contid=2021072280215|#]] * 가장 좋아하는 드라마와 영화는 각각 [[네 멋대로 해라(드라마)|]]와 [[첨밀밀(영화)|]]이라고 한다. * 서울예대에 들어가고 싶어서 삼수를 했다고 한다.[* 본인은 이에 대해 순정이라 표현했다. 현역이었다면 01학번이었겠지만 삼수로 들어가서 03학번이다.] 그런데 당시 서울예대 연극과가 있는 줄 모르고 영화과를 택했다. 영화과 수업에서는 연기보다 영화제작에 전반에 대해 배우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었기 때문에 초반에는 후회했다고. 그런데 모르고 택한 전공 덕분에 연출에 관심이 커져 감독으로서도 활약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엄밀히 따지자면 연극과를 갔다고 해도 별반 다르지 않았을 것이다. 연극과 연기 전공으로 들어갔다고 한들 학과 자체가 연극과이기 때문에 연극 제작 전반에 대해 배우는 것이 우선이고 세부 전공은 부수적인 차원이기 때문이다. 특히 초반에는 공통 과목 때문에 어쩔 도리가 없다. 이는 연극영화계열 학과 모두에 적용되는 것으로 어느 학교든 똑같다. 이 점을 고려했을 때 그가 겪은 어려움은 20대 극초반의 대학생들이 흔히 경험하는 전공에 대한 내적갈등[* 막연히 학과에서 어떤 것을 배운다, 어떤 것을 전공하고싶다 정도만 스스로 알고 있을 뿐 어떤 과목을 어떻게 배우고 어떤 역량이 필요한 것인지는 제대로 알지 못하기 때문에 대학에 가면 첫 학기 혹은 첫 학년에 많은 수의 학생들이 구교환과 같은 내적 좌절을 겪는다.]이지 실질적으로 그가 학과 선택을 잘못한 것이 아니다. * 대학 동기들 서너명을 모아 잽필름(Jab Film)을 구성했다. 작은 단편영화들을 함께 만들었다. 도 그 중 하나.[* 주인공 배역을 가위바위보에서 지는 바람에 맡게 되었다.][* 이옥섭 감독이 이 작품을 재밌게 보고 구교환에 관심이 생기면서 <4학년 보경이>의 덕우로 캐스팅할 수 있었다.][[https://youtu.be/K27WjS2RddE|#]] * 영화감독 [[이옥섭]]과 10년째 열애중이다.[* 두 사람은 서울예대 영화과 동문이기도 하다.] 처음에는 영화계 동료로 지내다가 연인으로 발전해 지난 [[2013년]]부터 10년이 된 올해까지 사랑을 키워왔다고 한다.[[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109/0004241384|#]] * [[이옥섭]] 감독과 본격적으로 만나 함께하기 시작한 작품은 <4학년 보경이>다.[* [[이옥섭]] 감독의 한국영화아카데미 졸업작품이다.] 작품하면서 자주 싸우다가 연인사이로 발전했다고...[[https://youtu.be/crHde6oZWW4|#]] * [[이옥섭]] 감독이 키우는 백구인 겨울이와의 관계에 대해 자신은 이모와 같은 포지션이지 않을까라고 답했다.[* 참고로 겨울이의 풀네임은 이겨울이다. <연애다큐>, <세마리> 등에서 출연하기도 했다.] * 유튜브 채널로 2X9HD 가 존재한다. 2옥섭 X 9교환의 영상이 올라오는 채널. [[https://youtube.com/c/2x9HD|채널링크]] * 영화 <반도>에서 맡은 [[서상훈(연니버스)|서상훈]] 대위 역할의 본명이 서상훈이 아닌 서지수인줄 알고 있었다고 한다. 처음 공개된 배역 정보에는 서대위라고만 명시되어 있었는데, 이를 개봉 후 감독이 서상훈이라고 공개하였다. * [[주성치]]와 같은 프레임에 있는 것이 꿈이라고 한다. * 영화 메기의 경우 원래 이옥섭 감독과 함께 시나리오를 써갔다고 한다. 그러나 초고가 나온 후 이옥섭 감독에게 구교환이 먼저 "네가 했으면 좋겠다" 라고 말을 했다고 한다. * 병맛스러운 짤이 굉장히 많다. 잘 나온 사진들[* 화보 사진, 기사 사진 등.]과는 매우 다른 모습이다.[[https://theqoo.net/square/1551087325|대표적인 짤 모음 #1,]] [[https://www.google.com/amp/s/m.insight.co.kr/amp/news/355908|#2]] * [[축구]]를 하는 것을 매우 좋아한다. 포지션은 [[윙어]]라고 한다. * [[리버풀 FC]]와 [[LG 트윈스]]의 팬이다. 구교환이 연출한 영화 <거북이들>에서 주인공 교환이 리버풀 FC의 유니폼을 입고 있었는데 실제 구교환의 취향이 반영된 것이다.[* [[요시 베나윤]] 선수의 유니폼을 입은 것을 보아, 베나윤 선수의 찐팬인 것 같다.] * [[이소라(가수)|이소라]]의 팬이다. 그렇지만 한 번도 콘서트에 가본 적은 없다고. 부끄러워서 그렇다고 한다. 씨네21 인터뷰에서 본인이 나중에 연기해보고픈 실존인물로 이소라를 꼽기도 했다. * 밸런스게임 인터뷰에서 오묘한 목소리와 풍성한 머리숱 중 풍성한 머리숱을 본인의 매력으로 꼽았다. 실제로도 머리숱이 풍성하고 많은 편이다. 머리를 숙여도 가르마가 잘 보이지 않을 정도. [[https://youtu.be/5wxpO3NRBkE|00:30~]] * 군만두와 로제 떡볶이를 매우 좋아한다고 한다. * 제2회 [[평창국제평화영화제]] 클로즈업 섹션으로 2X9가 선정되어 스페셜북을 발간한 적이 있다. 온라인 판매 5분 만에 완판되었다.[[https://smartstore.naver.com/pipff_shop/products/5101462083|#]] * 영화 <죽기 직전 그들>이 그의 [[서울예술대학교]] 졸업작품이다. * 개성 있는 캐릭터성 때문인지 맡는 캐릭터들이 괴짜인 경우가 상당하다. [[꿈의 제인]]에서는 디스코볼이나 비치볼을 훔치는 도벽이 있지만 가출청소년들을 보살펴주는 트랜스젠더 제인을, 메기에서는 무던하고 평범해 보이지만 무표정 이면에 추악한 과거를 지닌 남자친구를, 스타덤에 오르게 해 준 D.P.에서는 4차원 기질에 장난기가 넘치면서도,[* 2화에서 보여준 강렬한 첫등장씬 덕분에 구교환이 악역인 줄 알았다는 반응도 있다.] 유능하고 권위 의식이 없는 독특한 군인인 한호열 역을 완벽히 소화해냈다. 2022년 화제작인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9화에서는 이전 배역들이 정상인처럼 느껴질 정도로 범상치않은 성격에 이름까지 특이한 방구뽕 역을 맡았다. * 제 42회 청룡영화상에서 청정원 인기스타상의 수상자로 호명되자, 대상을 받은 것처럼 모가디슈 식구들과 껴안고 무척 좋아하는 모습이 카메라에 담겼다. 이를 본 네티즌들과 팬들 사이에서 상 줄 맛난다며 소소하게 화제가 되었다.[[https://youtu.be/G2164nBdxbU|#]] * 배우 [[이제훈]]이 같이 일해보고 싶은 배우로 여러 번 꼽았다. 청룡영화상에선 아예 공개고백을 했고, 그 결과 2023년 제작 예정인 영화 [[탈주(영화)|탈주]]에서 같이 호흡을 맞추게 되었다.[[https://youtu.be/RxOmkT7xP9U|#]] 사실 모범택시 2에서 이미 호흡을 맞춘적이 있다. * 드라마 [[D.P]]에서 환상의 '준호열' 케미로 브로맨스를 연기한 배우 [[정해인]]과 실제로도 많이 친하다. 원래는 연예인 친구가 없었는데 이제는 생겼다고. [[https://biz.chosun.com/entertainment/enter_general/2023/08/08/EG7QMBONSE7XI53YY5CCH2MMMU/|#]] 메이킹이나 예능 같은 걸 보면 둘이 구석에 꺄르륵거리며 붙어있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 인터뷰에 따르면 눈빛만 봐도 다 통하는 사이라고 여러차례 언급했으며, 실제로도 좀 닮아가고 있는 것 같다고 얘기한 바가 있다. ([[https://youtu.be/qbKvFIuMRIU?si=gB2FZWr271ndUSGi&t=44|#]]) === 동안 === 연예계를 대표하는 [[동안]] 연예인 중 한명인데, 40대에도 불구하고 동안인지라 20대 배역을 자주 맡곤 한다. [[파일:PS21110400012.jpg ]] 실제로 방영 시점 기준으로 [[D.P.]] 이후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에서 특별출연으로 드라마에서 20대 역을 연속으로 맡았은데, 82년생(당시 40살)임에도 [[D.P.]]에서는 상병[* 보통 상병이면 20대 초중반이다.]으로 나왔는데, '''구교환보다 나이가 어린 [[손석구]]와 [[현봉식]]이 구교환의 상관인 대위와 중령으로 출연했다.'''[* 대위 역을 맡은 손석구와는 1살 차이인데, 현실에서도 상병이 대위와 연령대가 비슷하거나 나이가 더 많을 수 있다. 병사의 경우 군입대를 최대 만 35세까지 미룰 수 있는데, 극중에서 [[한호열]]의 나이가 몇 살인지 나오지 않은 만큼 30이 넘은 늦은 나이에 입대했다고 가정해 보면 대위하고 나이 대가 비슷한게 그리 이상한 일만은 아니다.][* 심지어 손석구 조차도 동안이다. 그러나 그보다 더 젊다는 것은 초동안인 셈.][* 중령 역을 맡은 [[현봉식]]은 구교환보다 2살 어린데, 현봉식의 경우 구교환과는 상반되게 [[노안]]인 것도 있다. 또 다른 노안인 김성균보다 현봉식이 4살 어린 것을 감안하면 더 심하다.]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에서 20대인 97년생 역할을 맡았다. 그러나 스타일링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동안으로 보일 수도 있고 제 나이에 맞게 보일 수도 있고 나이들어 보일 수도 있는 동안과 노안이 공존하는 천의 얼굴이라고 볼 수 있는데[* 사실 손석구나 김성균이 오히려 이러한 케이스에 가깝다. 박범구는 부사관답게 노안인데 반해 이재만은 미숙한 면이 있는 만큼 그 나이대 아버지들보다 더 젊어보이며, 멀끔한 김상수나 임지섭에 비해 구씨나 강해상은 확실히 좀 삭아보이기 때문이다. 구교환의 경우는 외모와는 별개로 어떤 배역을 맞든 40대로는 절대 보이지 않는다. 고로 배역의 이미지나 스타일링으로는 동안을 감출 수 없는 케이스.], 실제로 그가 맡는 배역들 중 20대 배역들도 대다수지만 [[모가디슈(영화)|모가디슈]]의 태준기, [[반도(영화)|반도]]의 서상훈[* 같은 대위인 [[한정석(연니버스)|한정석]]을 연기한 [[강동원|이 남자]]도 구교환처럼 동안의 끝판왕이어서 둘 다 실제 나이는 소령급임에도 대위라는 계급이 전혀 위화감이 느껴지지 않았다는 평이 많다.], [[탈주(영화)|탈주]]의 리현상과 같은 제 나이대 배역들도 많이 연기했다. [[분류:한국 남배우]][[분류:한국 영화 감독]][[분류:성북구 출신 인물]][[분류:1982년 출생]][[분류:2008년 데뷔]][[분류:경문고등학교 출신]][[분류:서울예술대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무종교인]][[분류:나무엑터스 소속 아티스트]][[분류:사회복무요원 출신]][[분류:능성 구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