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울주군의 초등학교]][[분류:1961년 개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분류:국내 유네스코 학교]] [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울산광역시 울주군의 초등학교)] ## 구영초등학교 학교현황은 다음 링크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https://www.schoolinfo.go.kr/ei/ss/Pneiss_b01_s0.do?GS_CD=S070000156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구영초 전경.jpg|width=100%]]}}} || || '''구영초등학교 전경''' || ||||
'''{{{+1 구영초등학교}}}[br]九英初等學校[br]Guyeong Elementary School''' || |||| [[파일:구영초 교표.svg|width=5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 구영초등학교, 너비=100%, 높이=100%)]}}} || || '''교훈''' ||'''서로를 존중하고 배려하며[br]꿈을 키우는 구영 어린이''' || || '''개교''' ||[[1961년]] [[11월 24일]] || || '''유형''' ||[[단설]] [[초등학교]] || || '''성별''' ||[[남녀공학]] || || '''형태''' ||[[공립]] || || '''교장''' ||김유진 || || '''교감''' ||임성수 || || '''교화''' ||[[철쭉]] || || '''교목''' ||[[소나무]] || || '''학생 수''' ||917명[*기준 2023년] || || '''교직원 수''' ||70명[*기준][* 교원 53명, 직원 17명 ] || || '''관할 교육청''' ||[[울산광역시강남교육지원청]] || || '''주소''' ||[[울산광역시]] [[울주군]] [[범서읍]] 점촌1길 10 || || '''홈페이지''' ||[[http://guyeong.es.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울산광역시]] [[울주군]] [[범서읍]] [[구영리]]에 위치한 공립 초등학교이다. 1961년 11월 24일 범서국민학교 구영분교장으로 개교하였다. == 학교연혁 == ||
<-2> '''1961년''' || || 11월 24일 ||범서국민학교 구영분교장 개교 || ||<-2> '''1964년''' || || 03월 01일 ||구영국민학교로 분리 독립 || ||<-2> '''1985년''' || || 03월 01일 ||범서국민학교 구영분교장으로 통합 || ||<-2> '''1992년''' || || 03월 01일 ||구영국민학교로 분리 독립 || ||<-2> '''1995년''' || || 11월 23일 ||울산시교육청 지정 시범학교 보고회 (꿈을 심는 교육) || ||<-2> '''1996년''' || || 03월 01일 ||구영초등학교로 교명 변경 || ||<-2> '''1998년''' || || 11월 10일 ||울산광역시교육청 지정 시범학교 보고회 (열린 교육) || ||<-2> '''2000년''' || ||<-2> 울산광역시교육청 지정 연구학교 (교실수업개선) || ||<-2> '''2001년''' || || 05월 01일 ||강남교육청 관내 과학교육 최우수 학교선정 || ||<-2> '''2002년''' || ||<-2> 울산광역시교육청 지정 연구학교 (창의력 교육) || ||<-2> '''2006년''' || || 11월 27일 ||부총리겸 교육부 장관 표창 (NEIS활용 우수학교) || ||<-2> '''2007년''' || ||<-2> 울산광역시지정 시범학교 운영 (환경교육) || ||<-2> 학교숲 시범학교 운영 (생명의 숲 국민운동) || || 12월 11일 ||기초질서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 ||<-2> '''2009년''' || || 05월 11일 ||구영초등학교 거점영어체험센터 개소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2654396?sid=102|#]] || ||<-2> '''2010년''' || ||<-2> 울산광역시지정 시범학교 (교원전문성 신장) || ||<-2> '''2011년''' || ||<-2> 울산광역시지정 시범학교 (교원전문성 신장) || ||<-2> '''2016년''' || || 04월 29일 ||유네스코 학교 지정 || ||<-2> '''2017년''' || ||<-2> 울산광역시교육청 지정 교실수업개선 (정책) 연구학교, 39학급 편성 || ||<-2> '''2018년''' || ||<-2> 울산광역시교육청 지정 교실수업개선 (정책) 연구학교, 39학급 편성 || ||<-2> '''2021년''' || || 09월 1일 ||제 19대 김유진 교장 부임 || ||<-2> '''2022년''' || || 02월 18일 ||제 56회 졸업식 152명 (총 5,482명) || || 03월 01일 ||39학급 편성 || ||<-2> '''2023년''' || || 01월 13일 ||제 57회 졸업식 (총 5663명) || || 03월 01일 ||37학급 편성 || == 학교상징 == === 교표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구영초 교표.svg|width=300px]]}}} |||| || '''구영초등학교 교표''' || * 전체적인 모습은 '구'자와 '영'자가 복합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자는 원안을 보면 알아 볼수 있으며, '영'자는 테두리의 큰 원과 '구'자의 아랫부분 양 옆에 있는 낱자들의 조합으로 형상화되어 있다. === 교기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구영초 교기.jpg|width=300px]]}}} || || '''구영초등학교 교기''' || * 테두리를 장식하고 있는 원은 사방이 크고 작은 산들로 둘러 쌓여 있는 '구영리'의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상징한다. === 교화 === ||||[[파일:iqkJ39s.jpg|width=300px]] |||| || '''교화''' || [[철쭉]] || * 우리나라 전국의 크고 작은 산에서 자생하는 고유의 식물인 철쭉처럼 어디서든 씩씩하고 건강하게 뿌리를 내릴 수 있는 구영 어린이들의 건강한 몸과 마음을 나타낸다. 산에서 잘 자라는 철쭉의 끈기는 어려움을 이겨내는 구영 어린이들의 강한 의지를, 탐스러운 꽃은 구영 어린이들의 꿈이 활짝 피어나기를 바라는 소망을 담고 있다. === 교목 === ||||
[[파일:금강산 소나무.jpg|width=300]] |||| || '''교목''' || [[소나무]] || * 올곧은 푸른 기상을 가진 소나무처럼 자라나는 구영 어린이를 상징한다. === 교훈 === >{{{+2 '''서로를 존중하고 배려하며 꿈을 키우는 구영 어린이'''}}} === 교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xGo4ZbDYhU, width=360, height=240)]}}} || || '''▲ 구영초등학교 교가 영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구영초 교가.gif|width=360]]}}} || || '''▲구영초등학교 교가 악보''' || *조례시에는 1절만 제창한다. == 학교 특징 == *상가와 빌라들에 둘러 쌓여있는 현재와 달리 과거 구영초등학교 일대는 언덕을 끼고 있는 농촌과 벌판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1990년대 들어서 중규모의 아파트단지가 입주면서 현재의 '구(舊) 구영지구'라고 불리는 지역이 개발되었다. 이 시기에 맞물려서 폐교가 되니마니 소리가 나오던 구영분교에 학생수가 폭증하면서 1992년에는 구영국민학교로 승격이 되었다.[* 1990년만 해도 전교생이 100명이 안되었는데 이후 매년 2배 가까이 인원이 늘어 1994년에는 전교생이 1000명이 넘었다. 그리고 이 때부터 구영초등학교의 과밀문제는 건물 증축공사가 계속되고 [[울주명지초등학교]](2008년)와 [[호연초등학교(울산)|호연초등학교]](2007년)가 개교하여 학생이 분산이 되는 '''15년이 넘는 기간'''동안 계속 빠짐없이 소개되어 나오는 단골 기삿거리가 되었다.[[https://news.v.daum.net/v/19911209093800513?f=o|1991년 기사]]] *지금에야 구영리에 초등학교가 몇 군데가 더 있기에 먼 곳까지 통학하는 경우가 거의 없지만, 당시에는 구영리의 유일한 초등학교였기에[* 운동장을 월요일 조례 때마다 가득 메울 정도로 인원 규모가 상당했다. 당시 구영리의 유일한 초등학교였기에 가능한 일. 하지만 교실부족이 심각해서 교무실을 줄여가면서 임시방편으로 교실수를 늘리고, 컴퓨터 실습실을 확보할 공간이 나지 않아서 또 그 교무실 일부를 컴퓨터 실습공간으로 두었을 정도였다. 그러고서도 한 반에 50~60명을 밀어넣어야 했을 정도라서, 학생수가 없는 시골학교가 아닌, 학급과밀이 일상이었던 시내의 국민학교와 다르지 않은 모습이었다.[[https://news.v.daum.net/v/19940601094500839?f=o|1994년 기사]]. 현재는 울주명지초등학교와 호연초등학교가 개교하면서 다소 완화되었지만 여전히 관내에서 과밀학교 탑급을 찍는데다가, 구영초를 포함한 세 학교 모두 울산 내에서 과밀학교로 꼽히고 있다.[[http://www.edu-week.com/m/view.asp?idx=1441|2012년 기사]]] 구영리의 서쪽 입구인 점촌교 인근 아파트 단지나 구영리 동쪽에 중촌이나 대리마을에 사는 어린이들은 수킬로미터나 되는 거리를 걸어서 등교해야 했다. *구영리의 3개 초등학교 중 학생 수가 가장 많다. *졸업생들은 대부분 [[구영중학교]]와 [[범서중학교]]로 진학하고, 구영중학교를 더 선호하는 편이다. *매달 셋째주 목요일, 울주군의 지원으로 한우급식을 진행한다.[[https://news.kbs.co.kr/news/view.do?ncd=4163217|울산KBS]]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구영리, version=90)] == 학교 시설 == ||
<-8> '''학교 용지 현황''' || ||<-3> 교지 ||<|2> 부속토지 ||<|2> 합계 ||<|2> 공동사용여부 ||<|2> 공동사용학교명 ||<|2> 설립유형 || || 교사대지 || 체육장 || 계 || || 8,501㎡ || 6,182㎡ || 14,683㎡ || 2700㎡ || 17,383㎡ || X || || 단설 || ||
<-36> '''학교 교사(校舍) 현황''' || ||<-20> 교수학습공간 ||<-16> 학습지원공간 || ||<-4> 일반교실 ||<-4> 교과교실 ||<-4> 특별교실 ||<-4> 수준별교실 ||<-4> 기타 ||<-4> 시청각실 ||<-4> 컴퓨터실 ||<-4> 멀티미디어실 ||<-4> 기타 || ||<-4> 37 ||<-4> 0 ||<-4> 7 ||<-4> 0 ||<-4> 0 ||<-4> 0 ||<-4> 2 ||<-4> 0 ||<-4> 2 || ||<-3><|2> 교원지원공간 ||<-3><|2> 관리행정공간 ||<-3><|2> 체육집회공간 ||<-18> 보건위생공간 ||<-3><|2> 학생식당 ||<-3><|2> 기숙사실 ||<-3><|2> 기타공간 || ||<-3> 보건실 ||<-3> 학생탈의실 ||<-3> 학생샤워실 ||<-3> 남자화장실 ||<-3> 여자화장실 ||<-3> 공용화장실 || ||<-3> 8 ||<-3> 9 ||<-3> 1 ||<-3> 1 ||<-3> 0 ||<-3> 2 ||<-3> 14 ||<-3> 14 ||<-3> 4 ||<-3> 1 ||<-3> 0 ||<-3> 4 || *본관 건물은 여러번의 증축을 거쳤다. 약 10년만인 2021년에 외벽을 다시 칠했다. *한빛관은 2007년에, 별관은 2016년에 완공되었다. == 출신 인물 == ||<-2>
'''구영초등학교 출신인물''' || || [[김수지(다이빙)|김수지]] ||다이빙 선수 || || [[김지욱]] ||다이빙 선수, 모델 || || [[래원]] ||래퍼 || || [[박종윤(1982)|박종윤]] ||前 야구선수 現 [[김천대학교 야구부]] 감독 || || [[보은(CLASS:y)|보은]] ||가수, 걸그룹 [[CLASS:y]]의 멤버 || || [[이선호(정치인)|이선호]] ||前 울주군수 現 [[더불어민주당]] 울산광역시당 위원장 現 [[더불어민주당]] 울산 울주군 지역위원장 ||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 ||<-2>
{{{+1 {{{#373A3C,#dddddd '''굿모닝힐(20423·320424)'''}}}}}} || || {{{#000 일반}}}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5em" [[울산 버스 133|{{{#000 133}}}]]}}}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5em" [[울산 버스 233|{{{#000 233}}}]]}}}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5em" [[울산 버스 327|{{{#000 327}}}]]}}}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5em" [[울산 버스 358|{{{#000 358}}}]]}}}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5em" [[울산 버스 733|{{{#000 733}}}]]}}}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5em" [[울산 버스 807|{{{#000 807}}}]]}}}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5em" [[울산 버스 857|{{{#000 857}}}]]}}} || ||<-2>
{{{+1 {{{#373A3C,#dddddd '''우미린1차아파트(20421·20422)'''}}}}}} || || {{{#000 일반}}}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5em" [[울산 버스 133|{{{#000 133}}}]]}}}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5em" [[울산 버스 233|{{{#000 233}}}]]}}}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5em" [[울산 버스 327|{{{#000 327}}}]]}}}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5em" [[울산 버스 358|{{{#000 358}}}]]}}}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5em" [[울산 버스 733|{{{#000 733}}}]]}}}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5em" [[울산 버스 807|{{{#000 807}}}]]}}}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5em" [[울산 버스 837|{{{#000 837}}}]]}}}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5em" [[울산 버스 857|{{{#000 857}}}]]}}} || == 사건 사고 == *1998년 3월 19일, 구영초등학교 증축공사를 하던 20대 인부가 4층 옥상에서 추락해 사망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4371223?sid=102|#]] *1999년 2월 3일, 구영초등학교 뒷산에서 난 산불이 한시간만에 진화되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4426237?sid=102|#]] *2003년 8월 24일, 태권도대회에 참가한 구영초등학교 5학년 학생이 지정식당에서 식사를 하고 식중독에 걸렸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5/0000008146?sid=115|#]]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6A1FGk-R7UA, width=360, height=240)]}}} || || '''▲ 자료 영상''' || *2021년 4월 1일, 구영초등학교 앞에서 보이스피싱 수거책이 검거되었다. == 기타 == *2011년은 보수공사때문에 여름방학이 90일이었다.[[https://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110907000061|부산일보]][[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5127304?sid=102|연합뉴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mH4JdnBjO8, width=360, height=240)]}}} || || '''▲ 구영초등학교 브이로그 영상''' || *울산광역시 교육청 유튜브에 2021년 방송부원들의 브이로그 영상이 올라왔다. 영상에서 새로 리모델링된 학교 곳곳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 둘러보기 == *[[범서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