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마법사족]][[분류:오역]] [[유희왕/OCG]]의 하급 효과 몬스터 카드. [목차] == 설명 == [[파일:久遠の魔術師ミラ.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구원의 마술사 거울, 일어판 명칭=久遠(くおん)魔術師(まじゅつし)ミラ, 영어판 명칭=Milla the Temporal Magician, 레벨=4, 속성=빛, 종족=마법사족, 공격력=1800, 수비력=1000, 효과1=①: 이 카드가 일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상대 필드의 뒷면 표시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한다. 그 상대의 카드를 확인한다. 이 효과의 발동에 대하여\, 상대는 마법 / 함정 카드를 발동할 수 없다.)] ||<-5>{{{#!wiki style="margin: -5px -11px;" {{{#!wiki style="width: 100%;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left; vertical-align: top;background-color:#FFFFFF; border: rgba(255,165,0,1) solid 1px;" 유구한 시간을 관통해 온 신의 거울을 가진 소녀. 그 마력은 사람들이 가진 악의 실체를 드러내고 만다. 그녀가 원하든 원하지 않든 간에. ▶[[유희왕 크로스 듀얼|{{{#FFA500 유희왕 크로스 듀얼}}}]]의 [[플레이버 텍스트|{{{#FFA500 플레이버 텍스트}}}]] }}}}}}|| [[제너레이션 포스]]에서 등장한 하급 효과 몬스터. 일반 소환 성공시 상대 필드에 세트된 카드를 피핑하는 [[유발효과]]를 가졌다. 하급 어태커로서 충분한 공격력에 범용성이 뛰어난 효과를 지니고 있다. 소환만 하면 상대의 세트카드가 뭔지 확인할 수 있으며, 세트된 카드이기만 하면 되므로 마법/함정 카드뿐만 아니라 세트된 몬스터가 뭔지 확인하는 것도 가능. 세트된 몬스터가 리버스 효과 몬스터였더라도 리버스를 하는 것이 아니라 그냥 확인만 하는 것이기 때문에 리버스 효과가 발동되지 않는다. 또 강력한 점이 [[격류장]]이나 [[함정 속으로(유희왕/카드군)|함정 속으로 시리즈]]에 걸리지 않는다는 점. 이 카드의 소환 성공시 세트 카드를 확인하는 강제효과가 발동하고, 저런 카드들을 쓰려면 이 카드의 효과에 체인해서 쓰는 수밖에 없는데 이 카드의 효과에 상대가 체인을 거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저런 소환반응형 함정은 쓸 수 없다. 소환 자체를 무효화하는 [[신의 심판]]이나 [[신의 경고]] 정도는 돼야 막는 게 가능. 물론 이 카드의 소환에 체인해서 자신이 다른 카드의 효과를 발동하면 상대가 거기에 체인해서 격류장이나 함정 속으로를 발동시킬 수 있지만, 특별한 상황이 아닌 이상 그런 일은 없을 것이다. 단점은 역시 소환시에만 효과가 발동하는지라 특수소환하면 능력치밖에 없는 몬스터가 된다는 것. 또 어디까지나 확인만 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대 카드를 봤더라도 그 확인한 카드에 대처할 방안이 갖춰지지 않았다면 알면서도 당해야 한다. 이러다보니 하급 어태커로서의 안정성은 좀 떨어지더라도 그냥 직접 제거를 할 수 있는 [[마도전사 브레이커]]나 [[라이트로드|라이트로드 매지션 라일라]]에 먼저 손이 가는 경우가 많다. 물론 마법사족 통일 덱이라면 저 둘과 함께 써볼 만하지만. 원래 이름은 '구원의 마술사 미라'로 별 문제가 없는 이름이었으나 한글판에서는 구원의 마술사 '''거울'''이라는 [[충격과 공포]]의 이름으로 발매되고 말았다. 거울은 ミラー고, 이 카드의 이름은 끝에 장음 표시가 없는 ミラ인데다가 Mira는 [[스페인어]]로 "보다."라는 뜻이므로 당연히 [[오역]]이다. 그런데 이건 룰과 관련된 문제도 아니라서 수정될 일이 없을 듯하다. 참고로 한자 표기인 '久遠'은 도와주다, 구해주다의 의미를 가진 '救援'이 아니라 불교용어로서 '영원한'의 뜻을 가지고 있는 단어이다.[* 여담으로 인포시크 번역기로 번역하면 '영원의 마술사 미라'라고 나온다. ~~번역기보다 못한 대원~~] ~~대원의 발번역으로부터 내 안구를 구원해 줬어!~~ 일러스트가 [[령사|광령사 라이너]]와 닮은 점이 많고, 일러스트레이터도 [[후지와라 아키나]]로 추정되는지라 수많은 팬들의 추측을 불러일으키고 있지만, 자세한 관계는 불명. [[pixiv]]에서는 일러스트에서 뭔가 기분이 나쁜 듯한 표정을 짓고 있다고 해서 [[사디즘|S]]로 몰기도 하는 듯하다. 일러스트가 비슷한지라 팬아트도 많이 나온다. 크로스 듀얼에서 소환시 하품과 기지개를 펴며 소환되는걸 봐서는 그냥 피곤한 표정일지도 모르겠다. --슴가가 빵빵함에도 전혀 탄압받지 않았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제너레이션 포스|GENERATION FORCE]] || GENF-JP038 || [[노멀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수록 || || デッキカスタムパック01 || DC01-JP008 || [[노멀]][br][[패러렐 레어]] || 일본 || || || [[제너레이션 포스|Generation Force]] || GENF-EN038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수록 || || Battle Pack: Epic Dawn || BP01-EN168 || [[노멀]][br][[패러렐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수록 || || [[제너레이션 포스]] || GENF-KR038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관련 카드 == *[[패트롤 로보]] *[[우자트의 눈을 가진 남자]] *[[코브라맨 사쿠지]] 이놈은 리버스했을 때 효과가 발동하는 [[사이클 리버스]] 몬스터다. 속공성이 떨어지는 게 흠이다. 그래도 리버스하면, 세트된 카드를 전부 확인할 수 있으니까 잘 하면 써먹을 수 있을 지도 모른다. *[[비크로이드|패트로이드]] 1턴에 1번,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하기 때문에 이 카드가 오래 남아있다면 계속 써먹을 수 있기는 하지만, 과연 1턴 이상 버틸 수 있을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