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구자욱/선수 경력)] ||<-5>
'''[[구자욱|{{{#ffffff 구자욱}}}]]{{{#ffffff 의 연도별 시즌 일람}}}''' || || [[구자욱/선수 경력/2018년|2018년]] || → || '''{{{#074ca1,#5ea2f8 2019년}}}''' || → || [[구자욱/선수 경력/2020년|2020년]] || [목차] == 개요 == [[삼성 라이온즈]]의 타자인 [[구자욱]]의 2019시즌을 정리해 놓은 문서다. == 소개 == 2018 시즌이 끝난 뒤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올해의 활약상을 점수로 매기면 0점"이라고 말했다. 지난 해 부상으로 많은 경기에 결장했던 것이 본인에게는 아쉬웠던 듯하다.[* 사실 2017년 시즌 같은 경우 부상없이 전 경기에 출장했는데, 홈런과 타점, 안타는 모두 커리어하이를 작성했지만, 초반에 못 했던 것, 정교함의 부족 등이 드러난 2017 시즌과 같은 모습이 보일까봐 일부 팬들은 걱정하는 중.] 시즌 후 스토브리그 기간 중 [[SK 와이번스]]로부터 홈런타자 [[김동엽(1990)|김동엽]]을 데려오면서 중심타선에서의 본인의 부담은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지난 시즌 후반기에 보여주었던 홈런쇼를 올시즌 내내 보여주는 것이 올시즌 구자욱의 숙제이다. 구자욱 본인도 그 점을 의식하고 있는 것인지, 이전에 비해 체중을 10kg 이상 증량하며 체력과 근력을 모두 잡겠다는 의지를 보이는 중. == 시즌 전 == === 스프링캠프 === === KBO 시범경기 === == 페넌트레이스 == === 3월 === 개막 시리즈동안 2번으로 출전하다 [[이원석(1986)|이원석]]이 허리 부상으로 빠져, 다음 [[롯데 자이언츠|롯데]] 시리즈에선 3번으로 출장했다. 3월 16일 ~ 17일 대구 LG전에는 출장하지 않았다. 3월 19일 사직 롯데전에서 3타수 3안타를 기록했지만 팀은 0-6으로 패배했다. 시즌 타율 .500 3월 20일 사직 롯데전에서 3타수 1안타 1득점을 기록했다. 시즌 타율 .455 3월 23일 창원 NC전에서 4타수 무안타로 부진했다. [youtube(5X5Xk8Z7C4k)] 3월 24일 창원 NC전에서 3타수 1안타 1득점 1타점을 기록했다. 3월 28일엔 5타수 3안타 1홈런 2타점을 기록하며 팀의 대승에 거들었다. ||<-16>
{{{#ffffff 3월 기록}}} || || '''경기''' || '''타수'''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득점''' || '''타점''' || '''볼넷''' || '''삼진''' || '''병살타''' || '''도루'''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 8 || 35 || 11 || 2 || 1 || 1 || 6 || 4 || 1 || 8 || 1 || 0 || .314 || .368 || .514 || .883 || === 4월 === 4월 3일 [[기아 타이거즈|기아]]전에 3번 우익수로 선발 출전해 3:4로 리드 중인 8회에 1타점 2루타로 쐐기점을 기록하며 승리를 확정짓는 데 일조했다. 4월 4일에는 3점 홈런을 두 개씩이나 쳐 내며 개인 통산 한 경기 최다 타점(7타점) 기록을 경신했다. 4월 12일 [[kt wiz|kt]]전에서 [[https://www.youtube.com/watch?v=4d0uGkmI5tI|제2의 전준우]]~~구레발~~가 되었다.[* 그래도 전준우가 타격 직후부터 기분을 내다가 낭패를 당했던 것과는 달리, 구자욱은 전력질주를 하며 2루 베이스로 향할 때 제스쳐를 취했다. 이미 그때쯤에는 로하스가 호수비로 구자욱의 타구를 건져낸 후였지만.] 그래도 3연전을 통틀어 13타수 6안타 3득점 1타점으로 활약하며 자기 몫을 충실히 해냈다. 4월 18일 [[키움 히어로즈|키움]]전에 목 부상으로 인해 선발에서 빠졌다. 이후 8회 말 3:3 1사 1루 상황에 대타로 나와 1타점 3루타로 역전을 시키는 수훈을 세웠다. 그러나 삼성은 9회에 실책으로 인한 [[장필준]]의 마무리 실패로 연장전까지 치른 끝에 4:5로 승리했다. 4월 20일 기준으로 타율 0.299 29안타 3홈런 17타점 17득점 OPS 0.875로 평범한 기록이나 WAR이 0.98으로 팀내 1위이다(...). 4월 21일 [[한화 이글스|한화]]전 5타수 4안타 1타점을 기록하며 [[덱 맥과이어|맥과이어]]의 [[노히트 노런]]을 도왔다. ||<-16>
{{{#ffffff 4월 기록}}} || || '''경기''' || '''타수'''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득점''' || '''타점''' || '''볼넷''' || '''삼진''' || '''병살타''' || '''도루'''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 22 || 86 || 24 || 6 || 2 || 2 || 13 || 14 || 8 || 16 || 1 || 1 || .279 || .344 || .465 || .809 || === 5월 === 5월 3일 [[키움 히어로즈|키움]]전 2타수 1안타 1득점을 기록하였으나 두번째 타석에서 발목 보호대 쪽에 자신의 타구를 맞아 4회초 수비에서 [[박한이]]와 교체되었다. 다행히 단순 타박상으로 확인되었다. 5월 4일 키움전 4타수 2안타 2타점으로 결승타를 기록했다. 5월 8일 [[NC 다이노스|NC]]전 1회에 2루타를 때려낸 후 [[다린 러프|러프]]의 홈런으로 결승 득점을 기록했다. 5월 9일 NC전 3회 무사 1, 2루 상황에서 3루수 방면 번트 안타를 성공시키며 이후 [[다린 러프|러프]]의 만루홈런 때 득점을 기록했다. 8회에도 안타를 추가하며 3타수 2안타 2볼넷 1득점으로 활약했다. 5월 11일 [[롯데 자이언츠|롯데]]전은 선발에서 제외되었으나 8회에 [[최영진]]의 대타로 나왔다. 선두 타자로서 유격수 앞에 땅볼을 날린 후 1루로 전력 질주를 하다가 1루를 밟고 있던 [[채태인]]의 발에 왼발이 걸려 넘어져 오른 무릎을 바닥에 찧는 부상을 입었다. 다행히 큰 부상은 아니었고 [[이원석(1986)|이원석]] 타석 때 도루를 하는데 포수 [[나균안|나종덕]]이 송구 안타를 날려버려 3루까지 진루했다. 이후 [[김헌곤]]의 안타 때 홈에 들어오며 쐐기점의 득점을 기록했다. 그렇게 삼성 타선은 계속 폭발했고 타선이 일순해 2사 1, 3루 상황에 구자욱이 다시 타석에 들어섰고 2루타를 때려내며 타점까지 올렸다. 팀은 2-9로 승리했다. 5월 15일 [[두산 베어스|두산]]전 7회 초에 우측 솔로 홈런을 때려내며 [[조쉬 린드블럼|린드블럼]]의 [[퍼펙트 게임(야구)|퍼펙트 게임]], [[노히트 노런]], [[완봉승]]을 동시에 깨버렸다. 5월 21일 [[한화 이글스|한화]]전 득점권에만 2안타를 때려내며 3타점을 기록했다. [[파일:구자욱끝내기.jpg]] 5월 23일 한화전 3타수 무안타 1볼넷 후 도루 실패 등 침묵하다가 1:1로 팽팽하던 9회 말 선두타자로 나와 [[송은범]]의 직구를 걷어올려 '''데뷔 첫 끝내기 홈런'''을 때려냈다. 경기 후 인터뷰에서 당일 경기의 홈런의 기쁨보단 타격감을 올리는 게 더 고민이라는 인터뷰를 남겼다. 그리고 다음 날 [[키움 히어로즈|키움]]전에서 증명이라도 하듯 5타수 4안타 1홈런 4타점으로 활약했다. 하지만 투수진이 무너지며 경기는 10:5로 패배했다. 5월 25일 경기에선 4타수 1안타 1득점 1타점을 기록했지만 잘 맞은 타구가 [[이정후]]와 [[제리 샌즈|샌즈]]의 호수비에 [[https://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477&aid=0000185155|막혀]] 안타를 뺏긴 경우가 많았다. ||<-16>
{{{#ffffff 5월 기록}}} || || '''경기''' || '''타수'''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득점''' || '''타점''' || '''볼넷''' || '''삼진''' || '''병살타''' || '''도루'''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 26 || 95 || 27 || 5 || 1 || 3 || 13 || 15 || 9 || 14 || 1 || 5 || .284 || .346 || .453 || .799|| === 6월 === ||<-16>
{{{#ffffff 6월 기록}}} || || '''경기''' || '''타수'''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득점''' || '''타점''' || '''볼넷''' || '''삼진''' || '''병살타''' || '''도루'''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 24 || 97 || 28 || 5 || 0 || 5 || 15 || 17 || 8 || 23 || 1 || 1 || .289 || .343 || .495 || .838 || === 7월 === ||<-16>
{{{#ffffff 7월 기록}}} || || '''경기''' || '''타수'''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득점''' || '''타점''' || '''볼넷''' || '''삼진''' || '''병살타''' || '''도루'''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 6 || 27 || 6 || 1 || 1 || 0 || 2 || 1 || 1 || 3 || 0 || 0 || .222 || .250 || .333 || .583 || 7일 NC전 9회말 때 이원재의 타구를 잡기 위해 몸을 날렸다가 왼쪽 [[어깨]]를 다쳤다. 한동안 고통을 호소해서 결국 병원으로 후송됐는데, 다행히도 검진 결과 이상 없다는 소견을 받았다. 그러나 그와 별개로 어깨 상태가 안 좋아 9일 1군에서 제외됐다. === KBO 올스타전 === 베스트 12에 뽑혔지만 부상 때문에 경기에는 출전하지 못하고 식전 행사에만 참가했다. === 8월 === ||<-16>
{{{#ffffff 8월 기록}}} || || '''경기''' || '''타수'''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득점''' || '''타점''' || '''볼넷''' || '''삼진''' || '''병살타''' || '''도루'''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13일 [[벤 라이블리]]와 함께 1군에 등록됐다. === 9~10월 === ||<-16>
{{{#ffffff 9월 기록}}} || || '''경기''' || '''타수'''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득점''' || '''타점''' || '''볼넷''' || '''삼진''' || '''병살타''' || '''도루'''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16>
{{{#ffffff 10월 기록}}} || || '''경기''' || '''타수'''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득점''' || '''타점''' || '''볼넷''' || '''삼진''' || '''병살타''' || '''도루'''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 시즌 후 == == 총평 == '''122경기 475타수 127안타 15홈런 71타점 66득점 타율 0.267 출루율 0.327 장타율 0.444 11도루''' '''2022년과 함께 최악의 시즌으로,'''[* 일반적으로 2022년이 더 최악으로 여겨지지만, 2019년의 경우 비율스탯이 굉장히 나빴고 결국 WAR 기준으로는 2022년과 별다를 바 없는 시즌을 보냈다고 할 수 있다. 물론 2019년에는 더 많이 출장하기는 했다.] 그나마 [[2019년]]은 공인구 반발계수 여파로 인해 [[김재환(야구선수)|김재환]]이나 [[한동민]]처럼 작년까지 손꼽히던 홈런 타자들이 홈런 갯수가 눈에 띄게 떨어졌다는 것과 그 와중에도 홈런 15개를 친 것 정도를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겠다. 다만 시즌 내내 어퍼스윙 후 내야 팝플레이로 이어지는 타구들을 계속 보여주었던 것은 '''삼성 팬들의 뒷목을 잡게 하기 충분했고''', 이 부분은 [[구자욱]] 본인이 비시즌 동안 분명히 다시 생각해봐야 할 문제다. 무엇보다 한때 신인왕 경쟁을 했던 [[김하성]]을 생각하면.. 그 와중에 해를 넘긴 2월 8일 현재까지도 프런트와의 연봉 협상에 난항을 겪고 있다고 한다. 같은 신세였던 이학주는 2월 3일 9000만원에 계약하였다. 2월 10일에 연봉 협상을 끝냈다. 2021시즌 통산 첫 골든글러브를 수상한 이후, 이 당시를 회고하며 밝힌 바에 따르면, 2018년 완전히 멸망해버린 팀 공격력을 보고, 본인이 장타력을 확보한다면 어떻게든 팀이 내년엔 가을야구에 갈 수도 있을 거라는 생각과 함께 비시즌 중에 몸무게를 95kg 이상으로 불렸다고 한다. 심지어 이때 무리하게 먹고 운동하며 벌크업을 하다가 간 수치가 심각해져 응급실에 실려갔던 적도 있었는데, 그렇게 불린 것에 비해 성적이 안 나와서 정말 마음 고생이 심했다고 한다. 구자욱이 삼성에 얼마나 책임감이 컸는지를 새삼 느낄 수 있는 부분이다.--[[구자욱/2022년|그러나...]]-- ||<-16>
[[구자욱|{{{#ffffff 구자욱}}}]] {{{#ffffff 2019시즌 기록}}} || || '''경기''' || '''타수'''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득점''' || '''타점''' || '''볼넷''' || '''삼진''' || '''병살타''' || '''도루'''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 관련 문서 == * [[삼성 라이온즈/2019년]] [각주] [[분류:구자욱/선수 경력]][[분류:삼성 라이온즈/2019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