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제주시의 읍]] [include(틀:제주시의 읍면동)] ||<-2>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svg|height=10]] [[제주시|{{{#000000,#dddddd 제주시}}}]]의 [[읍(행정구역)|{{{#000000,#dddddd 읍}}}]]'''[br]'''{{{+1 구좌읍}}}'''[br]舊左邑 | Gujwa-eup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제주시 구좌읍,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제주특별자치도]] || || '''행정시''' || [[제주시]] || || '''행정표준코드''' || 5011025600 || || '''관할 법정리''' || 12리 || || '''하위 행정구역''' || 12행정리 220반 || || '''면적''' || 185.93㎢ || || '''인구''' || 15,404명[* 2022년 8월 기준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o.kr/|주민등록인구 통계]]] || || '''인구밀도''' || 82.84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제주시 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김한규]] ,,(초선),, || ||<-2> '''제주특별자치도의원 | 구좌읍·우도면 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김경학(정치인)|김경학]] ,,(3선),, ||}}}}}}}}} || ||<|2> '''읍사무소''' || 일주동로 3116[* 세화리 1561-7] || || [[https://www.jejusi.go.kr/town/gujwa.do|구좌읍사무소]]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구좌읍.jpg]] 1980년 12월 1일에 읍으로 승격되었다. 제주도 동북부에 위치한다. 읍소재지는 세화리이다. [[만장굴]], [[김녕사굴]]과 [[비자림]], 해녀박물관 등의 명소가 있다. 세화리 뿐만 아니라 김녕해수욕장을 낀 김녕리도 제법 큰 마을이다. 읍의 동쪽 하도리에는 조선시대의 하도성지와 별방진이 있다. 제주도 읍면 중 유일하게 조선시대에 쓰던 면 이름과 똑같다. 조선시대에 제주목, 정의현, 대정현 세 고을을 각각 좌(左)면, 중(中)면, 우(右)면으로 나눠서 면을 만들었는데, 고종 때, 제주목 좌면과 우면을 둘로 나누면서 신(新)과 구(舊)를 붙여 신우면, 구우면, 신좌면, 구좌면으로 개칭하였다. 일제강점기에 세 고을을 통합하면서도 면명은 대부분 그대로 유지해서 휘하 면들이 이름이 비슷비슷한 카오스가 열려버렸다. 그나마 통폐합 당시 제주군 중면(현 제주시내)은 제주면, [[대정군]] 우면(현 대정읍)은 대정면, [[정의군]] 좌면(현 성산읍)은 정의면으로 바꿨고, 좌중우가 들어간 나머지 면도 1935년에 면소재지 등의 지명을 따서 구우면→한림면, 신우면→애월면, 신좌면→조천면으로 개칭 하였으나 어째서인지 구좌면만은 그대로 두었고, 그게 읍 승격 이후까지 이어져오고 있다. 다른 곳과 비슷한 원리로 개칭했다면 세화면→세화읍이 되었을 것이다. 구좌읍은 읍의 중앙부 해안마을인 행원리에 스마트그리드(풍력발전단지)와 구좌행원농공단지가 있고, 한동리에 제주용암해수산업단지가 운영되고 있음을 볼 때 제주도 관내에서는 좀 드물게 제조업 및 발전산업 같은 2차산업 육성지가 될 확률이 높은 곳이다. 제주도의 총체적 여건으로 볼 때 2차산업 육성이 매우 힘들지만. 2019년 12월 26일에는 동복리에 있는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준공식을 가지면서 봉개동에 있는 매립시설과 소각시설을 대체하게 되었다. 2021년 7월에 [[블루보틀]]의 제주도 첫 매장인 [[블루보틀 제주 카페|제주 카페]]가 생겼다. === 관할 리 === 왼쪽은 '''법정리''', 오른쪽은 법정리에 소속된 '''(행정리)'''로 정리하였다. * 김녕리(김녕리): 김녕초등학교 인근 제주동보건소가 위치해 있다.그리고 제주도 본섬만 따졌을 때 최북단이다. [[김흥준(군인)|김흥준]] 소장의 고향. * 덕천리(덕천리) * 동복리(동복리) * 상도리(상도리) * 세화리(세화리): '''구좌읍사무소''' 소재지. 細花里.[* 세화리에는 세화해변에서 약 7㎞ 떨어진 아끈다랑쉬오름부터 마을까지 이어지는 가느다란 숲을 '가는 곶'이라 불렀는데(곶은 제주어로 숲을 뜻한다.), 이를 한자로 옮기는 과정에서 곶을 꽃으로 해석해 ‘가는 꽃', 세화(細花)가 됐다고 한다.] 서귀포시 [[표선면]]에도 이름과 한자가 똑같은 세화리가 있으니 유의.[* 이 경우에는 세화1리, 세화2리, 세화3리라고 검색해야 나온다.][* 참고로 이 [[제주 버스 201|버스 노선]]이 표선면 세화리와 구좌읍 세화리 두 군데를 경유한다. ]1932년 세화리 장터에서 해녀 1만 7천 명이 모여 항일운동을 벌인 [[제주해녀항일운동]]이 일어난 곳이다.[* [[법정사 항일운동]], [[조천만세운동]]과 더불어 제주3대 항일운동으로 불린다.] 전국에서 유일하게 여성주도의 항일운동이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깊다. * 송당리(송당리): [[블루보틀 제주 카페]]가 있다. * 월정리(월정리): 김녕리 다음에 위치한 리. 해안도로 주변으로 해수욕장이 있고 카페와 식당들이 밀집해 있어서 청년층들이 많이 찾는 곳이다. * 종달리(종달리):성산읍과 가까운 곳일 경우 성산일출봉이 보인다. * 평대리(평대리) * 하도리(하도리): 해녀박물관이 있다. 주소는 해녀박물관길 26이며 그것 때문인지 해녀박물관으로 가는 [[제주 버스 260|시내버스 번호도 260번이다(...).]] * 한동리(한동리): 제주용암해수산업단지가 위치해 있으며 여기서 용암해수(염지하수)를 하루에 약 1만t을 취수하고 있다고 한다. * 행원리(행원리): 광해군이 제주에 유배왔을 때 상륙했던 곳이 행원포구라고 한다. 현재 광해군 기착비가 세워져 그 사실을 알려주고 있다. == 기타 == * [[소울메이트(영화)|소울메이트]]에서 하도리 일대와 별방진성, 하도 해변, 체오름[* 단, 이곳은 사유지라 허가 없이 출입할 수 없다.] 등이 촬영지로 쓰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