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제헌 국회의원/경상남도)]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FFFFFF '''{{{+1 구중회}}}'''[br]'''具中會'''}}}}}}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구중회.jpg|width=100%]]}}} || || '''본관''' ||[[능성 구씨]][* 26세 '''회(會)''' 선(善) 항렬. [[LG그룹]] 창업주 [[구인회(기업인)|구인회]], '''100년 뒤'''에 태어난 [[iKON]]의 [[구준회]]와 같은 항렬이다.] || ||<|2> '''출생''' ||[[1898년]][* 1897년생 설도 있다.[[http://www.rokps.or.kr/profile/profile_view.asp?idx=1427&page=1|#]]] [[4월 21일]] || ||[[경상남도]] [[영산군(행정구역)|영산군]] 읍내면 동동[br](현 [[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 동리) || ||<|2> '''사망''' ||미상 || ||[[북한]] || || '''종교''' ||[[천도교]] || || '''상훈''' ||[[건국훈장]] 애족장 추서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전 [[독립유공자]], [[정치인]].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 독립유공자 [[구남회]]는 그의 친동생이다. == 생애 == [[1898년]] [[4월 21일]] [[경상남도]] [[영산군(행정구역)|영산군]] 읍내면 동동(현 [[창녕군]] 영산면 동리)에서 태어났다. [[영산초등학교|영산공립보통학교]]와 [[경성부]] [[보성고등학교(서울)|보성중학교]]를 졸업하였다. [[1919년]] 3월, 당시 천도교인이었던 그는 [[천도교]] 계통으로부터 거사 연락을 받고 같은 달 12일경 창녕군 영산면 동리에서 [[장진수(독립운동가)|장진수]]·김추은(金秋銀) 등 천도교인 23명과 함께 결사단(決死團)을 조직하고, 이튿날인 13일 영산면 남산에서 군중 400여명과 함께 주재소를 포위하고 일본인 상점을 습격하는 등 독립만세시위를 주동하다가 일본 경찰에 체포되었다. 그는 소위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10개월형을 선고받고 대구형무소에서 약 1년간 복역하였다. [[1921년]] [[일본]]으로 건너가 [[와세다대학]] 고등사범부 영문과를 졸업한 후 [[경성부]]에서 보성중학교 교원으로 수년 간 재직 하였으며, 이후 귀향하여 [[1926년]] 조선어강습 야학당을 세우는 등 농촌계몽운동에 투신하였으나, 일제의 탄압으로 [[1938년]]경 [[만주]]로 망명하여 농업에 종사하는 한편 피란동포 구제사업에도 진력하였다. 광복 후 [[밀양군]] 부북면 사립 정진학교[* 이후 부북초등학교 정진분교로 바뀌었다가 폐교됨.[[https://ko.wikipedia.org/wiki/%EB%B6%80%EB%B6%81%EC%B4%88%EB%93%B1%ED%95%99%EA%B5%90_%EC%A0%95%EC%A7%84%EB%B6%84%EA%B5%90|#]]] 교장, 목포여자중학교 교장, [[목포여자고등학교]] 교장, 마산중학교 교장을 역임하였다. [[미군정]]기에는 군정청 경상남도 고문, [[대한독립촉성국민회]] 밀양군지부 위원장,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의원을 지냈다.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경상남도 창녕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50년 [[6.25 전쟁]]이 발발하자, 주변 사람들의 피난 권유를 뿌리치고 "독립운동을 한 것이 무슨 죄가 되느냐"며 피난을 거부하며 계속 [[서울]]에 머무르다 그해 7월 [[납북]]되었다.[[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199710110029418274|#]] 1956년 7월 재북 평화통일협의회 상무위원에 취임하였으나, 이후 [[숙청]]되어 [[1959년]] 2월 이후엔 [[함경남도]] [[북청군]]에 있는 한 목장에서 노동자로 복역하였다고 전해진다.[[http://db.history.go.kr/id/im_101_00659|#]] [[대한민국 정부]]에서는 그의 독립운동 공적을 기리어 [[1989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으며, 이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 [[제헌 국회]] 활동 == 1948년 6월 2일 제1회 3차 본회의 당시 헌법급정부조직법기초위원 30인 으로 뽑혔다.[* [[류성갑]],[[김옥주]],[[김준연]], [[오석주(독립운동가)|오석주]],[[윤석구]],[[신현돈(정치인)|신현돈]],[[백관수]],[[오용국]],[[최규옥]],김명인,[[이종린(1883)|이종린]],[[이훈구(1896)|이훈구]],[[류홍렬]],[[연병호]],[[서상일]],[[조헌영]],[[김익기]],[[정도영]],[[김상덕(1892)|김상덕]],[[이강우(독립운동가)|이강우]],[[허정]],[[구중회]],[[박해극]],[[김효석(1894)|김효석]],[[김병회]],[[홍익표(1910)|홍익표]],서성달,[[조봉암]],[[이윤영]],[[이청천]]. ] == 여담 == * 그의 아들 구자호(具滋鎬)도 [[민주화추진협의회]] 대변인 등을 역임하는 등 [[정치인]]으로 활동한 바 있다. * 손자 구본준은 [[한겨레]] 기자로 일하다 [[2014년]] 사망했고 손녀 구정은은 [[경향신문]] 기자로 일하다 [[2020년]] 퇴직한 뒤 프리랜서 저널리스트로 활동하고 있다. == 선거 이력 == || 연도 || 선거종류 || 소속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선여부 || 비고 || || 1948 || [[제헌 국회의원 선거]] (경남 제10선거구(창녕군)) || [include(틀:무소속)] || '''19,430표 (38.12%)''' || '''당선 (1위)''' || '''초선''' ||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창녕군 출신 인물]][[분류:능성 구씨]][[분류:제헌 국회의원]][[분류:1898년 출생]][[분류:몰년 미상]][[분류:납북자]][[분류:보성고등학교(서울) 출신]][[분류:와세다대학 출신]][[분류:건국훈장 애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