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rd1=구충재, other1=드라마 '별난 가족'의 등장인물)] [include(틀:약리학)] [목차] == 개요 == '''구충제'''([[驅]][[蟲]][[劑]], antiparasitic; anthelmintic)는 몸 속의 [[기생충]]을 제거하기 위해 먹는 약이다. [[만병통치약]]이 아니니 함부로 먹지 않는 것이 좋다.[* 당연히 본연의 용도대로 용법과 용량을 지켜서 먹는 것에는 문제가 없다. '함부로'라는 이유가 붙은 이유는 아래에 나와있듯이 항암치료 등 검증되지 않은 효과를 기대하고 아무렇게나 먹는 경우가 발생해서 그런 것.] == 역사 == 의료와 위생수준이 열악했던 1950~70년대까지 대다수의 국민들은 정기적으로 대변검사를 본 뒤 그것을 토대로 배급받은 다량의 구충제를 복용하였다. 70년대를 배경으로 한 영화, 드라마에서 종종 볼 수 있는 장면. 이는 기생충이 사람과 사람간의 접촉 등으로 감염되기 쉬우므로 집단 단위로 기생충 감염 여부를 검사하고 구충제를 처방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었기 때문이다. 특히 학급에서 실시하는 대변 검사는 그 당시 널리고 널렸던 [[회충]] 박멸을 우선한 조치였다. 마을이나 동네 단위로 [[쥐]] 박멸을 하던 경험이 있다면 이해하기 쉬울 듯. 농축산업이 현대화되면서, 특히 화학[[비료]]가 널리 보급되면서 기생충 감염이 많이 줄어들었다. 현대 한국인에게는 [[디스토마]]류가 위험하지, [[회충]]류에 감염될 위험은 적기 때문에 약국에서 파는 [[알벤다졸]]계 구충제를 먹을 필요는 없다. 디스토마 등에 쓰이는 [[프라지콴텔]]은 원래 [[바이엘 주식회사|바이엘]]이 1970년에 개발했다가, 한국의 제약회사 [[신풍제약]]이 1983년 프라지콴텔을 내놓자 고소했다가 합성과정이 달라 패소하였다. 회충 대부분은 장에 존재하는데 불편함이 느껴질 때 구충제를 찾아도 괜찮다. 개회충 또한 대부분 장에서 서식하며 불편함을 일으키거나 문제 없이 넘어가는 경우가 많지만, 간혹 혈액을 타고 여러 장기로 이동해 손상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소의 생간을 먹을 경우에는 미리 구충제를 복용하는 것이 좋다. == 성분 == 주로 [[알벤다졸]](젠텔, 글락소스미스클라인), 메벤다졸, 플루벤다졸(후루버말, 얀센)이 쓰인다. 테오필린, [[프라지콴텔]](디스토시드, [[신풍제약]], [[바이엘 주식회사|바이엘]][* 1970년 중반에 처음 합성에 성공한다]), 카르바마제핀, 페니토인, 스테로이드 제제 중 [[덱사메타손]] 등의 성분이 들어간 약을 복용할 경우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의사 처방 없이 구매할 수 있는 구충제는 알벤다졸 혹은 플루벤다졸로 회충류에 효과가 좋은 약이지만, 현대 한국인들은 알벤다졸로 잡을 수 있는 회충이 아닌 흡충이랑 촌충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흡충이랑 촌충은 프라지콴텔이 아니면 잡을 수 없지만, 이건 내과가서 의사 처방 없이는 살 수 없다. 기생충에 걸리지 않았으면 구충제를 먹을 필요가 없고, 걸렸으면 알벤다졸로 안 잡히는 놈에게 걸렸을 것이니 역시 알벤다졸을 먹을 필요가 없다. 똥에서 무언가 움직이는 게 보였다면, 내과가서 프라지콴텔을 달라고 하자. [[간흡충]] 같은 [[흡충류]]들은 예방을 위해 먹는 구충제로 죽일 수 없기 때문에, 전문가의 진찰을 받아 처방전을 받은 후에 먹어야 한다. --물론 프라지콴텔 좀 먹으면 싹 쓸린다-- 구충제를 먹으면 대변에 기생충이 딸려 나오냐는 질문을 하는 사람이 있는데 옛날엔 그랬다. 예전에 쓰던 구충제는 기생충을 마비만 시켜서 산 채 대변으로 빠져나오게 했지만, 요즘 구충제는 기생충을 죽인다. 살아있을 때야 인간의 소화액을 방어하는 점액으로 체내에서 기생하는 게 가능했지만, 죽어버리면 얄짤없이 소화액에 녹아 흡수된다. ~~뜻밖의 [[충식]]~~ 그래서 대변으로 기생충이 나오지 않는다. [[임신]]을 했거나 수유 중일 때에는 구충제를 먹으면 안 된다. 2019년 9월 [[펜벤다졸]]이라는 동물용 구충제를 항암제처럼 쓸 수 있다는 소문이 유튜브에서 시작되어 품귀 현상을 겪기도 했다. 그러나 [[식약처]]에서는 해당 구충제의 성분이 항암 후보물질이 될 순 있으나 인체에 구체적으로 어떤 효능을 발하는지 정확히 검증되지 않았으므로 복용을 자제하라고 요청하였다.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5449578&plink=SEARCH&cooper=SBSNEWSSEARCH|기사]] 하지만 가망 없는 항암 치료에 고통받는 암 환자들은 여전히 펜벤다졸을 찾고, 암 투병 중인 개그맨 [[김철민(1967)|김철민]]이 펜벤다졸 복용 후 증상이 완화되었다는 소식을 SNS상에 알려 펜벤다졸을 제조하는 제약회사의 주가가 오르기도 했다. [[http://sports.chosun.com/news/utype.htm?id=201910300100237160016802&ServiceDate=20191029|기사]]. 그러나 실제로 효과는 입증할 수 없고 오히려 절대 권하지 않는다는 기사가 나왔다. [[https://n.news.naver.com/article/346/0000034211|#]] 그리고 김철민도 효과가 없었다고 인정하고 복용을 중단했고 2021년에 사망했다. 그 외에도 와중에 [[비염]] 치료에도 효과 있다는 또 다른 영상과 후기 글이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확산되기도 했다. [[http://news1.kr/articles/?3808137|기사]] == 관련문서 == * [[기생충]] * [[회충]] * [[연가시(영화)]] * [[윈다졸]] * [[펜벤다졸]] * [[알벤다졸]] * [[프라지콴텔]] [[분류:약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