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낙동강의 교량/부산경남)] [[파일:external/library.bsbukgu.go.kr/0305_6.jpg]] {{{+1 龜浦大橋 / Gupodaegyo(Way Bridge) }}} [목차] == 개요 == [[부산광역시]] [[강서구(부산)|강서구]] [[대저1동]]과 [[북구(부산)|북구]] [[구포동(부산)|구포동]]을 잇는 연장 1,765m, 너비 22m의 [[낙동강]]의 [[교량]]. [[1994년]] [[7월 30일]] 부분개통을 거쳐 [[1996년]] [[1월 5일]]에 개통되었다. [[14번 국도]]와 [[40번 부산광역시도]], [[낙동북로]]의 일부이다. == 역사 == 원래는 왕복 2차선에 불과하여 [[동래]] ~ [[김해시|김해]] 간의 급증하는 교통량을 다 소화해내지 못하여 [[헬게이트|지옥문]]이 열린 [[구포교|구포다리]]의 교통량을 분산하기 위하여 건설되었다. 그런 만큼 '''[[부산광역시|부산]]에서는 최초로 [[낙동강]]을 왕복 6차로'''로 횡단하는 다리로 건설되었다.[* 먼저 건설된 [[남해고속도로]]의 [[구포낙동강교]]는 왕복 4차로이다.] 이후 [[14번 국도]]는 이 다리를 경유하게끔 조정되었다. == 경유 노선 == * [[부산 버스 123]] ([[구산동(김해)|김해구산동]] ↔ [[구포동(부산)|구포]] ↔ [[하단역]]) * [[부산 버스 127]] ([[구산동(김해)|김해구산동]] ↔ [[내외동|내외신도시]] ↔ [[덕천역|덕천교차로]]) * [[부산 버스 307]] ([[해운대해수욕장|해운대]] ↔ [[동래역(도시철도)|동래]] ↔ [[김해국제공항|김해공항]]) * [[부산 버스 1004]] ([[구산동(김해)|김해구산동]] ↔ [[서면]] ↔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 * [[부산 버스 1009-1]] ([[강서공영차고지|강서차고지]] ↔ [[백양터널]] ↔ [[서면|서면(네오스포)]]) * [[부산 버스 강서5]] ([[대저1동|평강하리]] ↔ [[강서구청역(부산)|강서구청역]] ↔ [[구포시장]]) * [[부산 버스 강서7-2]] ([[녹산동#s-2.1.6|지사과학단지]] ↔ [[불암동]] ↔ [[구포시장]]) * [[부산 버스 강서11]] ([[구포시장]] ↔ [[김해국제공항|김해공항]] ↔ [[대저2동|신평마을]]) * [[부산 버스 강서13]] ([[하단역]] ↔ [[김해국제공항|김해공항]] ↔ [[덕천역|덕천교차로]]) * [[부산 버스 강서19]] ([[강서구청역(부산)|강서구청역]] ↔ [[구남역]] ↔ [[모라동|모라주공아파트]]) * [[김해 버스 8]] ([[삼계동|김해삼계동]] ↔ [[덕천동]] ↔ [[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 * [[김해 버스 8-1]] ([[삼계동|김해삼계동]] ↔ [[인제대학교]] ↔ [[덕천역|덕천교차로]]) * [[김해 버스 70]] ([[상동면(김해)#s-3.5|소락]] ↔ [[상동면(김해)#s-3.2|매리]] ↔ [[구포시장]])[* 일 4회 운행] * [[김해 버스 73]] ([[상동면(김해)#s-3.4|여차]] ↔ [[상동면(김해)#s-3.2|매리]] ↔ [[구포시장]]) * [[김해 버스 911]] (신어차고지 ↔ [[덕천역|덕천교차로]]) * [[김해 버스 912]] (신어차고지 ↔ [[덕천역|덕천교차로]]) * [[김해 버스 913]] ([[불암동|김해불암동]] ↔ [[강서구청역(부산)|강서구청역]] ↔ [[구포시장]]) 이외에도 부산사상 ~ 밀양 무정차 시외버스가 밀양행에 한해 구포대교를 건넌다. 과거 부산사상 ~ 동대구 1기 노선이 [[구포역(도시철도)|구포역]] 정차 관계로 이곳을 건넌 뒤 고속도로에 진입하였으나, 2기 노선에서는 삼락IC에서 고속도로를 타기에 건너지 않는다. 이후에 생긴 사상터미널발 [[경부고속도로|경부선]], [[중앙고속도로|중앙선]] 노선 및 [[7번 국도]] 노선도 좌석제로 신설되어 구포역을 경유하지 않음에 따라 구포대교를 경유하지 않는다. == 기타 == 다리 옆 계단을 이용하면 차로 옆 [[인도]]를 통해 걷거나 [[자전거]]를 이용하여 건너갈 수 있다.[* 다만 [[낙동강하굿둑]]과는 달리 자전거전용도로는 없으며 인도 폭도 좁아 보행자를 조심해야 한다. 실력이 짐승급이라 차량 속도와 차이가 별로 없는 경우 차도를 이용하는 것이 나으나, 별도의 주의사항이 있다.] '''[[낙동강하굿둑]]과 [[서부산낙동강교]]와 더불어 부산에서 낙동강을 잇는 교량들 중 보행자가 건너갈 수 있는 단 셋 뿐인 교량으로 이 교량은 [[북부산]]과 [[강서구(부산)|강서구]]를 잇는 매우 중요한 교통로 역할을 담당하고있다.''' 따라서 출퇴근 RH 시간대에는 한강 저리가라 하는 전자동 헬게이트 개막. 북구 방면 구포대교는 그 끝이 구포대교사거리로 이어지는데, 쭉 직진하게 되면 해피투모로우아파트, 솔로몬테마파크와 북구 학생문화예술회관, 유림노르웨이숲아파트로 이어진다. 이 아파트를 넘어서면 바로 구포3동의 포천사거리가 나오기 때문에 출퇴근시간에 구포3동 주민들이 많이 애용하는 도로이다. (유림아파트가 생기기 이전에 이 도로는 존재하지 않았기에 과거 구포3동 주민들의 출퇴근길은 지옥과도 같았다고 전해진다.)직진도로 외에도 좌우측으로도 교통량이 많은데, 좌측은 덕천동, 그리고 구포2동 중에서도 [[구명역]] 지역 주민들이 애용하는 도로이며 우측은 구포2동 중에서도 [[구남역]] 지역 주민들이 애용한다. 구포대교에서 구포대교사거리로 나왔을 땐 유턴도 가능하니 구포1동으로 가거나 [[가람중학교(부산)|가람중학교]]로 갈 생각이라면 참고. 2016년도부터 북구 방면 구포대교 진입로 인근에 나무데크로 [[계단]]을 만들어 [[대저생태공원]]에서 바로 구포대교로 진입이 가능해져 접근성이 훨씬 수월해졌다. 매년 봄철 유채꽃 축제가 열리면서 방문객들이 많아지자 편의를 위해 강서구청에서 나무데크를 만든 듯. [[투신 자살]] 사건이 많이 발생하여 [[자살 명소]]라는 오명이 생겼다.[[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300&key=20190829.22006012572|#]] 실제로 [[낙동강하굿둑]]은 뛰어내리기엔 높이가 너무 낮으며[* [[하굿둑]]이 있어서 곳곳에 감시를 위한 CCTV가 설치되어 있어 자살이 힘들다.] [[서부산낙동강교]]는 [[남해고속도로제2지선]] 교량이라 접근성이 좋지 않아[* [[삼락생태공원]]이나 [[맥도생태공원]]에서 걸어와야 하는데 너무 멀다.] 교량 높이가 충분히 높고[* 구포 구간에서 [[경부선]] 선로 위쪽을 그대로 넘어가는지라 교량 높이가 높게 건설되었기 때문이다.] 접근성이 좋은 구포대교가 자살 명소가 된 것이다. 더군다나 난간 높이도 낮아서 성인 여성이라 할지라도 충분히 난간을 넘어 뛰어내릴 수 있다. 때문에 난간 높이를 높히거나 곳곳에 [[CCTV]]를 설치해야 하는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 구포대교 구간을 쏘다니고자 하는 자전거가 차도로 다닐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실제로 시민단체에서 [[민원]]을 여러 차례 넣고 있으나 시정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인도 부분에 관리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아 난간 부분에 [[잡초]]가 무성히 피어있고 아스팔트가 곳곳에 깨져있는등 보강공사가 시급하다. == 주의사항 == * 자전거를 이용하여 건너는 경우, 특히 고속 주행으로 인하여 차도를 이용할 때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대저동과 구포동 나들목 부근 교각 이음새 자리에 큰 홈이 2군데나 파여져 있는데, 그 자리에서는 '''반드시 내려서 끌고 가야한다.''' 특히 타이어가 얇은 로드 바이크인 경우 무조건 내려서 끌고 간 뒤 다시 타고 건너야한다. 이를 무시했다가 홈 안에 바퀴가 들어가서 '''펑크나거나, 낙차 사고 등 큰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부산시내 방향이든 김해 방향이든 상관없다. 그러니까, 자전거로 구포대교를 건너고자 한다면, 진입할 때 한 번, 진출할 때 한 번, 총 2번 내려서 끌고 가야한다. 펠로톤을 만들어서 가는 경우에는 특히 주의해야한다. MTB도 로드 타이어보다는 굵긴 하지만 역시 사고가 날 수 있으므로 웬만하면 이음새 지점에서는 내려서 끌고 가자. 타이어가 상당히 굵은 [[팻바이크]]는 그냥 타고 통과해도 된다. == 관련 문서 == * [[교량]] * [[14번 국도]] * [[부산광역시도]] * [[낙동강]] [[분류:낙동강의 교량]][[분류:1996년 건설]][[분류:강서구(부산)의 도로]][[분류:북구(부산)의 도로]][[분류:14번 국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