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국립박물관)] [include(틀:경주시의 관광)]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국립경주박물관 스카이 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국립경주박물관 본관.jpg|width=100%]]}}} || ||<-2> {{{#ffffff '''국립경주박물관 전경'''}}} || ||<-3> '''{{{#fff {{{+1 국립경주박물관}}}[br]國立慶州博物館 | Gyeongju National Museum}}}''' || ||<-2> [[파일:국립경주박물관 시그니처.svg|width=100%]] || [[파일:국립경주박물관 로고(정부상징).svg|width=100%]] || ||<-2> '''{{{#ffffff 시그니처 }}}''' || '''{{{#ffffff 정부상징 }}}''' || ||<-3>{{{#!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국립경주박물관, 너비=100%)]}}}|| || '''{{{#000 종류}}}''' ||<-2> [[박물관]] || || '''{{{#000 주소}}}''' ||<-2> [[경상북도]] [[경주시]] [[일정로]] 186 ([[인왕동]]) || || '''{{{#000 개관&주요 역사}}}''' ||<-2> [[1913년]]^^경주고적보존회 진열관 개장^^[br][[1975년]] [[7월 2일]]^^현재의 박물관으로 신축이전 개관^^[br][[1982년]] 안압지관 개관^^[br][[2019년]] 신라천년보고 개관^^[br] [[2022년]] 신라천년서고 개관|| || '''{{{#000 연락처}}}''' ||<-2> 054-740-7500 || ||<-3> [[https://gyeongju.museum.go.kr/|홈페이지]] [[https://gyeongju.museum.go.kr/kor/html/sub04/0401.html|소장품 검색]][br][[https://blog.naver.com/gymuseum|[[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height=20]]]] [[http://www.facebook.com/kgjnm|[[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height=20]]]] [[https://www.instagram.com/gnmuseum/|[[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height=20]]]] [[https://www.youtube.com/channel/UC2n7AjCn0j0Ie3fUDtvUM2w|[[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20]]]]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상북도]] [[경주시]] [[일정로]] 186 ([[인왕동]])에 있는, [[국립중앙박물관]] 산하 [[국립]] [[박물관]]. 경주 및 경상북도 지역에서 출토된 [[유물]]을 전시하는 박물관이며, 위치가 위치인 만큼 주로 [[신라]] 시대의 유물을 중심으로 전시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박물관 중에서 [[국립중앙박물관]] 다음으로 크고 유물이 많다. 경주는 수도였던 시대가 너무 오래전이라 [[건축물]] 등은 거의 소실됐기 때문에 유적지는 많아도 [[관광객]]의 눈을 사로잡을 화려한 볼거리가 좀 적은 편인데, [[금관]] 같은 화려한 세공 유물의 대부분이 박물관에 있어서 관광객들이 경주를 찾으면 으레 찾는 관광 코스 중 하나이다. == 연혁 == * 1913. 경주고적보존회에서 옛 경주부 [[관아]]에 진열관을 설치해 유물전시 개시 * 1923. 10. 경주유물진열관 건립[* 1921년 우연히 발견된 [[금관총 금관]] 등 [[금관총]] 출토 유물을 진열하기 위해 만들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조선총독부박물관 경주분관 정문 국립중앙박물관.jpg|width=100%]]}}}|| || {{{#ffffff '''조선총독부박물관 경주분관 정문'''}}} || * 1926. [[조선총독부]]박물관 경주분관으로 개칭, [[광복]]까지 유지. * 1945. [[8.15 광복]] 후 국립박물관 경주 분관으로 개칭 * 1954. 10. 10. 어린이박물관학교 개교 * 1975. 07. 02. 현재의 박물관(인왕동)으로 신축 이전 개관[* 이전 후 기존 박물관 부지는 경주문화원으로 사용하고 있다.] * 1982. 07. 19. [[안압지]]관(월지관) 신축 개관 * [[2002년]] 신라미술관 신축 개관 * 2004. 11. 30. 수묵당 신축 개관 * 2005. 01. 31. 어린이박물관 개관 * 2008. 12. 24. 서별관 개보수 * 2010. 05. 08. 관람객 5천만명 돌파(1975년 이래) * 2019. 05. 23. 영남권 수장고 개관 * [[2020년]] 신라역사관 재개관 *[[2021년]] 신라천년서고 개관 * [[2022년]] 신라미술관 재개관(신라미술관 신축 개관 20주년) == 역대 관장 == * 최순봉(1945~1951) * 박일훈(1951~1952) * 진홍섭(1952~1961) * [[홍사준]](1961~1963) * 박일훈(1963~1973) * 정양모(1973~1975/1984~1986)[*국립중앙박물관장 이후 [[국립중앙박물관장]]으로 발령됨.] * 한병삼(1975~1984)[*국립중앙박물관장] * 이난영(1986~1993) * 지건길(1993~1997)[*국립중앙박물관장] * 강우방(1997~2000) * 박영복(2000~2004) * 김성구(2004~2007) * 이영훈(2007~2016)[*국립중앙박물관장] * 유병하(2016~2018) * [[민병찬]](2018~2020)[*국립중앙박물관장] * 최선주(2021~2022) * 함순섭(2022~)[* 전에 [[국립대구박물관]]장이었으며, 삼국시대 금관이 세부전공이다. 어릴 때부터 경주박물관학교에 다녔다고 한다.] == 관람 안내 == * '''관람 시간''': 오전 10시~오후 6시(토요일, 공휴일은 1시간 연장) * '''야간 개장 시간''': 오전 10시~오후 9시(3월~12월) * '''휴관일''': [[1월 1일]], [[설날]], [[추석]] === 입장료 === * '''상설전시''': 원래 경주시민만 무료였으나 2008년부터 '''전 관람객 무료.''' 단, 매표소에서 인원수대로 관람권을 받은 다음에 입장해야 한다. 그런데 2022년 6월 말 확인 결과 그냥 들어가도 된다. * '''특별전시''': 관람료가 부과될 수 있다고 입구 매표소에 적혀 있다. 대체로는 특별전도 무료 입장인 경우가 많다. 특히 해외 문화재를 소재로 한 전시가 그렇다. === 위치 === [[경주역]]에서 [[경주시 시내버스|버스]]를 타기엔 조금 가까운 듯하고 걷기엔 조금 먼 애매한 거리에 있다. [[경주시외버스터미널]]에서는 걸어가면 경주역 대비 10분 이상 더 걸린다. 경주역에서 박물관 사이에 유적이 많이 줄지어 있기 때문에, 시간과 체력이 충분하다면 주요 유적지를 한 번씩 들른다고 생각하고 [[대릉원]] 거쳐서 [[계림]], [[첨성대]], [[경주 월성|월성]], [[동궁과 월지]](구 안압지)를 들러가면서 걸어가도 된다. 혹은 1km 정도 떨어진 [[봉황대]]까지 버스나 택시를 타고 가서 거기서부터 대릉원을 거쳐 박물관까지 걸어가면 도중에 상당수의 유적지를 저절로 거치게 된다. 주변에 인왕동 사지(인용사지)가 있다. == 교통 == 시내에선 [[경주 버스 11|11번]]이나 600번대 노선, [[불국사]] 쪽에선 [[경주 버스 10|10번]]을 타면 박물관 바로 앞에서 내려준다. [[KTX]], [[SRT]]나 일반열차를 이용해서 갈 경우 [[경주역]]에서 내려서 [[경주 버스 700|700번]]을 타고 안압지 정류장에서 하차해서 직선으로 9분 정도 걸어가면 도착한다. [[경주 버스 50|50번]]을 이용했을 경우 신한은행사거리에서 내려서 내린 정류장에서 불국사행 11번 버스로 갈아타고 경주박물관 정류장에서 하차하면 된다. [[보문단지]] 쪽에서 갈 경우 보문단지, 육부촌 정류장에서 700번이나 10번을 타고 안압지 정류장에서 하차하면 된다. 가급적이면 경주역에서는 50번을 이용하자. 경주역 정류장에서 한 번 환승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서 그렇지. 11번 버스 타면 바로 박물관 앞에서 내려준다. [[교통카드]]가 없을 경우 그냥 700번을 타고 동궁과 월지 정류장에서 내려서 걸어가면 된다. 버스 기다리기 싫다면 택시를 타자. 요금은 3,400원밖에 안 나오며 시간도 9분밖에 안 걸린다.[* 경주 택시는 복합할증요금으로 인한 비싼 요금으로 악명 높지만 경주국립박물관은 경주시내에 있어서 복합할증도 안받는다.] [[불국사]] 쪽에서 갈 경우 불국사 주차장 앞에서 10번을 타고 국립경주박물관 정류장에서 하차하면 된다. [[포석정]]에서 갈 경우 500번 버스를 타고 경고지하차도 정류장에서 내린 후 건너편 정류장에서 11번 버스를 타고 경주박물관 정류장에서 하차하면 된다. === 주의 사항 === 가족 단위로 방문하는 입장객들 중에 [[킥보드]] 같은 놀이기구를 타고 들어가려는 사람이 있다. 입구에서 제지당하니 놀이기구는 밖에서 맡기고 들어간다. [[자전거]]도 진입 금지. [[유모차]]나 [[휠체어]] 같은 것은 허용. 휠체어는 입구에서 대여도 해준다. 또한 플래시/삼각대를 이용한 촬영과 상업적 용도를 위한 촬영은 금지되어 있다. 삼각대와 플래시는 다른 관람객의 시야에 불편을 주거나 유물을 훼손할 수도 있고, 관람 동선을 방해하기 때문. 하지만 삼각대와 플래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사진 촬영이 허용되기 때문에 사진을 찍을 땐 꼭 플래시를 꺼주자. == 시설 안내 및 소장품 == 국립경주박물관에는 크게 신라역사관과 신라미술관, 월지관(구 [[안압지]]관)과 옥외전시장으로 나뉘어 있다. 소장된 유물은 8만여 점으로 그중 3천여 점 상설 전시 중. || [youtube(5Zb3Z60Ffpg)] || 천 년이 넘는 유물들을 줍줍하는 모습. --[[https://bbs.ruliweb.com/community/board/300143/read/50488101|[유머] 경주에서 쓰레기 박스를 열면 생기는일]]-- 이러한 유물들은 대부분 공사 도중 출토되는 경우가 많다. 그 경우 공사가 중단되기 때문에, 옛날에는 집 짓다가 유물이 나오면 곱게 묻는 건 양반이고, 문화재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던 과거에는 원활한 공사 진행을 위해 [[반달리즘|깨부숴버리는 사람도 있었다고 한다]]. 21세기 현재는 사람들의 인식이 성장해 그런 일은 거의 없어졌다고 알려져 있지만, 아무튼 그 탓에 경주 지역은 공사를 해도 몇 년은 넉넉하게 잡고 하는 편이다. 먼저 공사 부지를 파면서 뭐가 파묻혀 있는지 조사하고, 그런 게 없거나 있어도 가치가 없는 것들이면 공사 진행, 흔한 토기 파편 같은 게 아니라 옛날 수레 같은 중요한 게 나오면 공사가 취소된다. 이 때문에 '''경주에선 땅만 파면 유물이 나온다'''는 우스갯소리가 널리 알려져 있는데, 아래 신라미술관의 사례를 보면 완전 뻥은 아닌 것 같다. '''심지어 국립경주박물관의 경우조차 박물관 건설 당시 중요 유물들이 출토되었고, '남궁지인'이라는 글자가 새겨진 기와가 발견되었다.''' 그래서 이곳을 남궁이 있던 자리라고 추정하고 있는 마당인데, 경주는 신라의 1000년 수도였으니 더 말할 필요도 없다.--심지어 시내 한복판에 수도관 공사한다고 굴착했더니 유물이 나와 상권이 죽어버리는 경우도.....-- === 신라역사관 === [[파일:국립경주박물관 본관.jpg|width=450]] 舊 고고관. 경주박물관에서 가장 [[크고 아름다운]] 메인 건물이다. 전통 방식 건축으로 지었지만 매우 전통적이지 않은 건물이다. 1975년에 완공된 건물로 비교적 최근에 지어진 다른 지역의 국립박물관들에 비해 규모도 작고 건물도 낡은 편이다. 이 때문에 현재의 박물관 건물은 역사 도시 경주의 위상과 소장하는 유물의 격에 맞는 수준이라고 보기 어렵다는 의견이 꾸준히 나오는 중. 대신 내부는 대대적인 리모델링을 거쳤기 때문에 최신식으로 잘 꾸며져 있으며, 중국어와 일본어 설명을 추가하는 등 전시관 설명에도 많은 공을 들였다. 지붕 장식의 경우 [[황룡사]] 9층 목탑의 추정 상륜부에서 따왔다는 말이 있다. 4개의 전시실이 있고, [[선사시대]]의 도구부터 신라 시대의 유물들을 전시해 놓았다. 또한 국은 이양선 선생의 기증 문화재를 볼 수 있다. 전시실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것은 신라의 마지막 왕인 [[경순왕]]의 어진. 특히 역사관에는 [[대한민국의 국보|국보]] 제 188호 [[천마총]] [[금관]]과 [[대릉원]]에서 출토된 다른 유물 등의 신라 시대 예술품들이 인상적이며, 신라의 국제 관계를 암시하는 [[경주 계림로 보검|계림로 황금보검]]과 황남대총에서 출토된 서역풍 유리잔 등이 같이 전시되어 있기도 하다. 또한 국사 교과서에도 몇 차례 수록된 인형으로 장식된 신라 토기도 전시되어 있는데, 자세히 살펴보면 그중에 [[성관계]]를 즐기는(...) 토우(土偶)가 장식된 토기도 있다. === 신라미술관 === [[파일:국립경주박물관 미술관.jpg|width=450]] [[2002년]]에 신축한 비교적 새 건물이다. 1층에 불교미술 1실과 2실이 있고, 2층에 국은기념실(국은 이양선 선생의 기증 문화재 전시)와 황룡사실이 있다. 약 400점의 문화재가 있으며, [[대한민국의 보물|보물]] 제 336호 [[감은사]] 서탑 출토 사리장엄구 등이 있다. 공사 당시 신라 시대 도로 유적이 발견되어서 그 위를 [[아크릴]]로 덮고 빙 둘러 건물을 올렸다. 1층으로 들어가면 바로 바닥에서 관람할 수 있다(수레바퀴 자국). 불교미술 2실에는 일명 '[[삼화령 애기부처]]'로 알려진 삼존불이 있다. 정식 명칭은 [[경주 남산 장창곡 석조미륵여래삼존상|장창골미륵삼존불(長倉골彌勒三尊佛)]]. '삼화령'은 [[삼국유사]]에 나오는 생의(生義)라는 승려의 이야기에서 나오는 지명으로, 생의가 땅에서 파낸 미륵상을 삼화령 고개에 모셨는데 그 미륵상이 이 삼존불이라는 주장에서 나온 표현이다. 이 삼존불은 관람객들이 하도 발을 만져서 발 부분이 까맣게 때가 묻어 있다. 하지만 이 불상이 나온 북쪽 고개가 아닌, 현재의 영화대좌 터가 삼화령이라는 의견 또한 지배적이다. 내부 공사로 [[2022년]] 12월 11일 이후에 다시 공개가 되고 전시 유물이 일부 바뀌고 개편되었다. === 월지관 (구 [[안압지]]관) === [[파일:국립경주박물관 월지관.jpg|width=450]] 1982년에 [[김수근]]이 지은 건물로, [[동궁과 월지]](구 안압지)에서 출토된 유물들을 전시하고 있다.[* 김수근은 이 밖에도 [[국립진주박물관]], [[국립부여박물관]], [[국립청주박물관]]을 설계했다.] 그는 이 건물을 전통 창고에서 모티브를 얻었다고 한다. 들어가보면 상당히 특이한 구조인데. 입구에서 약간 내려간 곳이 1층이고, 계단을 타고 올라가면 2층이다. 여담으로 월지에서 출토된 신라 시대의 [[딜도|성인용품]]이 여기에 전시되어 있는데, 예전에는 설명이 쓰여 있지 않았다 하나 2015년 현재는 '나무남근'이라는 설명이 붙어 있으며 박물관 측에선 대놓고 써놓긴 민망했는지 나무 인형과 함께 제기로 분류하여 전시하고 있다. === 특별전시관 === [[파일:국립경주박물관 특별전시관.png|width=450]] 비정기적 특별전시를 하는 곳이다. 지하에는 어린이박물관이 있으며, 지하층 입구가 위 사진의 왼쪽 방향에 따로 있어서 거기로 들어가면 된다. 어린이박물관 관람에는 각종 체험활동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반드시 인터넷으로 예약을 하고 정해진 시간에 가야 한다. ==== 특별전시 목록 ==== * 세계유산 [[백제]](2017.03.07~05.07.) * 검은 구름 뿜어내는 벼루(2017.08.10.~10.9) * 신라왕궁 [[월성]](2017.11.28~2018.02.25.) * [[사천왕사]] 녹유신장상, 백년의 기다림(2018.03.15.~08.05.) * 말 갑옷을 입다(2020.6.12~8.23.) * 고대 한국 외래계 문물 - 다름이 만든 다양성(2021.11.24.~2022.03.20.) * [[낭산]], 도리천 가는 길(2022.6.15.~9.12.) * 금령 어린 영혼의 길동무(2022.11.22~2023.03.05) === 신라천년보고 === [[파일:국립경주박물관 영남권수장고.jpg|width=450]] 갈수록 늘어나는 영남권 유물들을 보관하기 위해 만든 일종의 [[문화재]] [[수장고]]이다. 경주 뿐만 아니라 영남 지역의 문화재들을 보관한다. 일반 관람객들도 구경할 수 있도록 개방형으로 만들었다. 각종 유물들을 보관하며, 데이터베이스 및 아카이브에 등록하는 작업, 그리고 간단한 유물 복원 작업(토기, 도자기 조각 찾아 맞추기 등등)을 하기도 한다. 박물관 가장 안쪽 구석에 있어 기타 전시관에 비해 비교적 한산한 편이다. 가장 최근에 만들어진 주요 건물인데, 수장고를 지은 부지 자체도 '인왕동 왕경 유적'이라 해서 동서-남북 도로로 구획된 방(坊) 유적이 확인된 곳이다. 건축 당시의 이름은 영남권 수장고였으나, 명칭 공모를 거쳐 건물명을 '''신라천년보고'''로 확정하였다. 석장사지,[[감은사지]], [[월성]] 해자, [[분황사]], [[황룡사지]] 등 경주 전역의 유적에 출토된 유물을 볼 수 있다. QR코드로 유물을 확인할 수도 있다. === 신라천년서고 === 신라천년보고로 수장고가 옮겨가면서 박물관 도록을 볼 수 있고 휴식공간으로 꾸며놓았다. 휴일, 공휴일은 열지 않고 평일만 오픈한다. === 옥외전시장 === 범종, [[불국사]] [[석가탑]]과 다보탑의 모형과 [[경주 고선사지 삼층석탑|고선사 터 삼층석탑]]([[대한민국의 국보|국보]] 제38호), 경주 전역에서 출토된 조각이나 건축 부재, [[흥선 대원군]] 시대의 [[척화비]] 등을 전시하고 있다. 어떤 견공 자제분께서 모형에 파란 페인트칠을 해서 훼손된 적도 있다. 지금도 얼룩이 남아 있는지 모형 탑에 푸르스름한 빛깔이 보인다. 목이 잘린 불상이 많이 있고, 기증자들에게 받은 문화재가 많다. ==== 범종 ==== [[대한민국의 국보|국보]] 제 29호 [[성덕대왕신종]]이 걸려 있는 누각으로 관람객들이 항상 붐빈다. 옛날에는 종을 직접 쳤다고 하나 종 보존 문제로 현재는 녹음된 소리[* 녹음된 소리는 국립경주박물관 홈페이지에서 다운이 가능하다. [[https://gyeongju.museum.go.kr/kor/html/sub07/0701.html?mode=V&no=3464&GotoPage=1|#]]]를 틀어준다. 주기적으로 종소리를 녹음한 테이프를 틀어주고 있으니 시간이 넉넉하면 종각 근처에서 기다려보자. 매 시각 정각, 20분, 40분 순서로 20분 간격으로 틀어준다. 근데 딱히 종 근처에 안 있어도 박물관 어디서든 들을 수 있다. ==== 석탑 ==== * [[경주 고선사지 삼층석탑]] == 여담 == * 박물관이 있는 자리 역시 단순한 빈 땅이 아니라 신라 시대에는 [[남궁]](南宮)이라는 [[궁전]] 구역의 일부였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박물관 동쪽에 별궁 [[임해전]], 서쪽엔 정궁 [[경주 월성|월성]]이 있어서 궁전 사이에 낀 형국일 뿐만 아니라, 월성과 [[남산(경주)|남산]]을 이어주는 [[월정교]]와 형태, 규모, 재료에서 [[쌍둥이]] 같은 [[일정교]]가 바로 박물관 부지와 남산을 이어주는 위치에 있고, 결정적으로 박물관 부지에 있는 신라 시대 [[우물]]에서 '남궁지인'이라 쓰인 기와가 출토되었다. 다만 삼국사기 등 기록에는 동궁이나 [[북궁]]은 나와도 [[남궁#s-2]]이 있다는 기록은 따로 없다. 수장고 내 유물의 안내문에서 '남궁,,,경주박물관 부지,,,'라고 대놓고 써 놓는 등 사실상 남궁의 존재와 위치는 거의 확실시되고 있다.[* 우물은 두 기가 발견되었는데 하나는 제사를 지낸 흔적과 토기등이 발견되었고 현재의 미술관 위치에서 발견된 ‘남궁지인’ 기와가 발견된 우물에선 어린 여자아이로 추정되는 인골이 국내 최초로 발굴되었다.][* 남궁지인 기와가 출토된 우물의 인골은 부장품을 살폈을 때 사고로 사망한 것이 아닌 인신공양의 제물로 던져진 것으로 추정되어 학자들을 경악케 했다] * 각급 학교의 [[여름방학]]과 [[겨울방학]] 기간은 물론이고 봄, 가을의 초등학교와 중학교, 고등학교의 [[소풍]]과 [[수학여행]]단, 대학의 고적 답사단, 계모임 단체 여행객, 외국 관광객들([[일본]], [[중국]], [[미국]] 등) 등 한겨울(12월에서 2월까지)을 제외하면 항상 인파로 들끓는다. 특히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과 신라 [[금관]], 성덕대왕신종 같은 인기 유물을 전시한 곳을 차분히 감상하기란 상당히 힘들다. 경주박물관을 차분히 감상하려면 겨울에 가거나, 행락철이라면 평일에 가는 것이 좋다. * 동선 및 동선 안내가 상당히 잘 되어 있다. * [[2016년 경주 지진]] 이후 박물관 측의 유물 보전 대책이 화제가 되었다. 미리 철저히 준비해서 유물들이 거의 피해를 입지 않았다. 2011년 내진 검사에서 건물이 최하 등급을 받자 17억을 들여서 대대적인 보강 공사를 했다. 그리고 지진 두 달 전에 [[울산]] 앞바다에서 진도 5.0의 지진이 나자 미리 중요 유물들을 낚싯줄이나 모래주머니로 고정하여 지진이 일어났음에도 불구하고 유물이 거의 피해를 입지 않았고, 지진 직후 나머지 유물들도 전부 고정했다. 지진에 대한 미흡한 대처로 수많은 단체들이 욕먹는 와중에 칭찬받은 몇 안되는 단체. 그래서 이후로 성덕대왕신종의 관련 건물은 보강 공사를 하였다. * [[설날]]이나 기타 [[명절]] 때 가면 [[떡국]], [[송편]], [[팥죽]] 등을 무료로 나눠준다. 하지만 줄이 매우 길고 맛이 떨어진다. * 2022년 5월 20일, 박물관 안내데스크에 출처 불명의 토기 유물 3점을 누군가가 남기고 갔다고 한다. 박물관 측에서는 이 유물을 남기고 간 사람을 수소문하는 중이다.[[https://gyeongju.museum.go.kr/kor/html/sub07/0701.html?mode=V&no=4748&GotoPage=1|#]][* 유물을 단순히 출토했다고 끝이 아니라 지층 깊이나 다른 유물과의 대조 등등 그런 걸 다 따져봐야 어떤 녀석인지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신원 불명의 기증자 역시 어떠한 이유에서(공사 중 출토) 유물을 출토했고, 유물을 깨는 것은 또 아니라고 생각하여 갖다 놨을 가능성이 높다.] * 2019년에 어린이박물관 캐릭터가 만들어졌다. 이름은 '토우삼총사'로, 노란색 '도랑', 빨간색 '토랑', 파란색 '이랑'으로 구성돼있으며, 토우라는 설정답게 사람 모양 토우와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다. 출시 이후 굿즈도 만들어진 적이 있다. * 월지관과 신라역사관 안에 화장실이 없다. 신라역사관 밖에 나오면 화장실이 있고, [[이디야]] 국립경주박물관점에 화장실로 가야 한다. 신라미술관 안에는 장애인화장실이 있다. == 나무위키에 문서가 생성된 소장 유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분류:국립경주박물관 소장품)] * [[감은사지 서삼층석탑 사리장엄구]] * [[감은사지 출토 청동풍탁]] * [[경산 신라 토지대장 목간]] (소장 예정) * [[경주 계림로 금귀걸이]] * [[경주 계림로 보검]] * [[경주 계림로 수레모양 토기]] * [[경주 고선사지 삼층석탑]] * [[경주 교동 금제 드리개]] * [[경주 구정동 3호분 종장판갑]] * [[경주 남산 신성비]] * [[경주 남산 용장계 석조약사여래좌상]] * [[경주 남산 장창곡 석조미륵여래삼존상]] * [[경주 노서동 138호분 금귀걸이]] * [[경주 노서동 138호분 금반지]] * [[경주 노서리 상감 유리구슬]] * --[[경주 방형대좌 석조여래좌상]]--(반환 요청 중) * [[경주 백률사 금동약사여래입상]] * [[경주 북군동 기와집모양 토기]] * [[경주 사천왕사지 출토 녹유사천왕상전]] * [[경주 성곽 출토 신라 해시계]] * [[경주 송화산 석조반가사유상]] * [[경주 월성로 금구슬]] * [[경주 월성로 금귀걸이]] * [[경주 월성로 금목걸이]] * [[경주 월성로 금제 드리개]] * [[경주 월성로 유리잔]] * [[경주 월성 안계리 유리잔]] * [[경주 월지 금동 봉황 장식]] * [[경주 월지 금동 불상]] * [[경주 월지 금동용머리 장식]] * [[경주 월지 금동초심지가위]] * [[경주 월지 금동화불]] * [[경주 월지 꽃·새무늬 뼈장식]] * [[경주 월지 목간]] * [[경주 월지 보상화무늬 전]] * [[경주 월지 사자모양 곱돌향로뚜껑]] * [[경주 월지 순금 장식]] * [[경주 월지 유리잔]] * [[경주 월지 입수쌍조문 사자공작무늬 돌]] * [[경주 월지 치미]] * [[경주 인용사지 봉황무늬 전]] * [[경주 장항리 석조여래입상]] * [[경주 재매정지 출토 찰갑]] * [[경주 쪽샘지구 C10호분 신라 마갑]] * [[경주 쪽샘지구 C10호분 신라 찰갑]] * [[경주 찬지비]] * [[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 * [[경주 황남동 1호분 금귀걸이]] * [[경주 황남동 151호분 금귀걸이]] * [[경주 황남동 금제 드리개]] * [[경주 황남동 상감 유리구슬]] * [[경주 황룡사 구층목탑 금동찰주본기]] * [[경주 황복사지 금동 불상]] * [[경주 황성동 수로부인 여인상]] * [[경주 황성동 신라 거푸집]] * [[경주 황오동 5호분 금팔찌]] * [[경주 황오동 금제 드리개]] * [[경주 황용사 금동귀면]] * [[교동 금관]] * [[금관총 금관 및 금제 관식]] * [[금관총 금귀걸이]] * [[금관총 금동신발]] * [[금관총 금반지]] * [[금관총 금제 허리띠]] * [[금관총 금팔찌]] * [[금관총 유리잔]] * [[금관총 이모가이 말띠꾸미개]] * [[금관총 청동 자루솥]] * [[금관총 환두대도]] * [[금령총 다등식 등잔]] * [[금령총 수정 목걸이]] * [[꽃 장식 평탈칠기]] * [[도기 기마인물형 뿔잔]] * [[도기 서수형 명기]] * [[도기 연유인화문 항아리 일괄]] * [[만파식적]] 추정 옥피리 * [[명활산성비]] * [[목제 주령구]] 복원본 * [[문경 내화리 삼층석탑 사리장엄구]] * [[문무왕릉비]] * [[백화수피제 천마도 말다래]] * [[봉화 서동리 동탑 사리장엄구]] * [[분황사 모전석탑 출토 수정화주]] * [[분황사 중문지 치미]] * [[사람 얼굴 모양 신라토기]] (소장 예정) * [[서봉총 금관]] * [[서봉총 금귀걸이]] * [[서봉총 금그릇]] * [[서봉총 금반지]] * [[서봉총 금제 드리개]] * [[서봉총 금팔찌]] * [[서봉총 유리잔]] * [[서봉총 유리팔찌]] * [[서봉총 자루솥]] * [[성덕대왕신종]] * [[안압지 출토 금동판 불상 일괄]] * [[얼굴무늬 수막새]] * [[오구라 컬렉션]] 일부 * [[이차돈 순교비]] * [[임신서기석]] * [[전 경북 출토 금동관]] * [[죽제 금동천마문 말다래]] * [[쪽샘 44호 고분 비단벌레 금동 장식품]] * [[척화비]] * [[천마총 관모]] * [[천마총 금관]] * [[천마총 금귀걸이]] * [[천마총 금동 말띠드리개]] * [[천마총 금동 발걸이]] * [[천마총 금동솟을장식]] * [[천마총 금동장식 재갈]] * [[천마총 금동투조 말안장 앞뒤가리개]] * [[천마총 금동 투조장식 재갈]] * [[천마총 금반지]] * [[천마총 금제 관식]] * [[천마총 금제 허리띠]] * [[천마총 금팔찌]] * [[천마총 목걸이]] * [[천마총 백화수피제 채화판]] * [[천마총 야광조개국자]] * [[천마총 유리잔]] * [[천마총 은제 용무늬 허리띠]] * [[천마총 자루솥]] * [[천마총 환두대도]] * [[청동 옻칠 발걸이]] * [[토우장식 장경호]] * [[포항 대련리 금귀걸이]] * [[호우총 금반지]] * [[호우총 비단벌레 장식 금동 귀면문 화살통]] * [[황남대총 금맞새김판장식]] * [[황남대총 남분 금동관]] * [[황남대총 남분 금동신발]] * [[황남대총 남분 금반지]] * [[황남대총 남분 '마랑'명 주칠기 바둑알 통]] * [[황남대총 남분 유리잔]] * [[황남대총 남분 유리제곡옥부 목걸이]] * [[황남대총 남분 은관]] * [[황남대총 남분 은관모]] * [[황남대총 남분 은반지]] * [[황남대총 남분 은제 국자]] * [[황남대총 남분 은제 팔뚝가리개]] * [[황남대총 북분 고구려식 금동못신]] * [[황남대총 북분 금목걸이]] * [[황남대총 북분 금은제 그릇 일괄]] * [[황남대총 북분 금제 고배]] * [[황남대총 북분 금팔찌 및 금반지]] * [[황남대총 북분 유리구슬 거푸집]] * [[황남대총 북분 은제 관식]] * [[황남대총 북분 청동 세발솥]] * [[황남대총 북분 커트장식 유리잔]] * [[황남대총 비단벌레 장식 금동 말띠드리개]] * [[황남대총 비단벌레 장식 금동 말안장 뒷가리개]] * [[황남대총 비단벌레 장식 금동 발걸이]] * [[황남대총 비단벌레 장식 금동 허리띠 꾸미개]] * [[황남대총 비단벌레 장식 금동 화살통 장신구 및 멜빵]] * [[황남대총 은제 허리띠]] * [[황남대총 청동거울]] * [[황룡사 금당 치미]] * [[황룡사 금동반가사유상 머리]] * [[황룡사 장륙삼존불상 불두 파편]] * [[황룡사 청동거울]] * [[황룡사 활석 남근석]] == 관련 문서 == * [[국립중앙박물관]] * [[경주시/문화]] [[분류:경상북도의 박물관]][[분류:신라]][[분류:대한민국의 국립박물관]][[분류:경주시]][[분류:경상북도의 건축물]][[분류:공공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