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나주시]][[분류:전라남도의 박물관]][[분류:대한민국의 국립박물관]] [include(틀:대한민국의 국립박물관)] ||<-3> '''{{{#ffffff {{{+1 국립나주박물관}}}[br]國立羅州博物館 | Gwangju Naju Museum}}} ''' || ||<-3>{{{#!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국립나주박물관, 너비=100%)]}}}|| || '''종류''' ||<-2> 국립 [[박물관]] || || '''주소''' ||<-2>[[전라남도]] [[나주시]] [[반남면]] 고분로 747|| || '''개관''' ||<-2> [[2013년]] [[11월 22일]] || || '''연락처''' ||<-2> 061-330-7800|| ||<-3> [[https://naju.museum.go.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height=20]]]] [[https://blog.naver.com/najumuseum|[[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height=20]]]] [[https://www.facebook.com/najumuseum|[[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height=20]]]] [[https://www.instagram.com/najumuseum|[[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height=20]]]] [[https://www.youtube.com/channel/UCrFkNlY7L6qvTDxNy5Qyckg|[[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20]]]] || [목차] == 개요 == [[전라남도]] [[나주시]] 반남면 [[반남고분군]] 주변에 위치한 영산강고고학전문박물관이다. == 연혁 == * 2007.01 부지확정 * 2010.12.15 기공식 * 2013.8.31 최종 준공 * 2013.11.22 개관식 * 2023 개관 10주년 * 2023.12. 상설전시관 리모델링 == 역대 관장 == * 초대 박중환 (2013~2018)[* [[명화동 장고분]]을 발굴했으며, [[국립광주박물관]] 학예사, 이 박물관 관장을 거쳐 [[문화체육관광부]]에 있었다. 발굴조사 30주년 기념 학술대회 광주 월계동 1.2호 장고분의 비교 검토' 학술대회 좌장.] * 2대 은화수 (2018~2023)[* 현재 [[국립부여박물관]] 관장] * 3대 김상태 (2023~현재) == 전시 == === 상설전시실 === [[구석기시대]]부터 삼국시대의 [[마한]]과 [[영산강]] 유역의 [[고분]], 강의 길, 나주읍성 복원 등을 보여주고 있다. 본관 지하의 어린이박물관은 이전에 유물이 발굴에서부터 박물관에 전시되기까지의 과정을 보여주면서 [[큐레이터]]라는 직업을 소개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국공립박물관 중에서는 처음으로 '보이는 [[수장고]]'를 도입해, 관람객이 큐레이터의 작업 공간과 업무를 직접 보고 소통할 수 있다. [[2023년]] [[7월]] 현재 상설전시실을 개관 10주년을 앞두고 리모델링하고 있어서 12월에 다시 전시를 볼 수 있다. === 기획전시실 === 박물관이 개관하면서 [[나주시]]에 대한 전시를 하였다. [[전라도]]가 천년을 된 것을 기념해서 특별전시를 한때 열었고, 이 박물관을 기념하는 것으로 나주에 대한 전시, [[전라남도]]의 [[장흥군]]과 [[영광군]]을 주제로 열었다. 복암리고분군에 가까이 위치한 정촌고분군, [[일제강점기]]에 일본인 학자에 의해 발굴된 국보 제 295호 나주 신촌리 금동관을 메인 전시물로 하였다. 호남의 옛 부엌이라는 지금과는 테마로 호남의 옛 부엌으로 관람객들에게 보여주고 있다. ==== 기획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국립나주박물관/특별전)] == 소장품 == * [[나주 서성문 안 석등]] 박물관에 전시되기 전에 [[국립중앙박물관]] 옥외전시실에 전시되었다가 이 박물관 안에 전시되어 있다. * [[나주 신촌리 금동관]](국보 제 295호) [[일제강점기]] [[1920년대]]에 일본인 학자에 의해서 나주 신촌리 9호분을 발굴하였는데, [[광복]] 이후에 [[국립광주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에 전시되었다가 다시 박물관 개관 이후에 고향으로 와서 전시하게 되었다. * 독널 == 교통 == [[마한]]의 유적인 고분군 주변에 자리한 점은 국립나주박물관의 특색이라고 할 수 있다. 자가용으로 가는 게 편하다. 시내와 [[빛가람혁신도시]]는 거리가 있다 보니 마땅한 교통수단이 없다.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국립박물관 중에 교통이 안 좋은 박물관에 속하는데, 같은 [[호남 지방]]의 [[국립광주박물관]]보다 더 나쁘다. [* 그래도 박물관을 갈 수 있는 시내버스는 훨씬 많다.]나주시내에 있지 않고 [[나주역]]과 [[나주버스터미널]], [[영산포버스터미널]]에서 내려서 [[나주 버스 100, 101|101번 버스]]를 타고 신기 정류장에서 하차하면 바로 옆이다. [[나주역]]에서 탈 경우 역 바로 앞이 아니라 건너편 정류장으로 가서 탑승해야 한다.[* 이 버스를 기다리다가 최대 1시간 넘게 기다릴 수 있다. 국립나주박물관 카페테리아를 가기 전에 버스시간표와 버스도착을 알려주는 게 있으니 참고할 것.] == 여담 == * [[반남면]]은 [[반남 박씨]] 시조묘역과 자미산성이 있다. * 가을에는 옆에 핑크뮬리가 핀다. * 고분군이 주변에 자리하고 있어서 산책하기에는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