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國]][[立]][[墓]][[地]] / National Cemetery[* [[국립현충원]] 및 [[국립호국원]]이 영문명칭으로 이것을 쓰고 있다.] 통상적으로 [[국가]]에서 운영/관리하는 [[무덤|묘지]]라는 뜻이나, 보통 국립묘지의 경우 국가를 위해 헌신 및 희생 등의 공로가 있는 사람만이 안장될 수 있기 때문에 대부분 국가에서 국립묘지에 안장된다는 것은 그 자체로 매우 특별하고 명예로운 대우이다. [[국가원수]], [[정부수반]], [[국회의원]], [[공무원]], [[경찰|경찰관]], [[소방관]], [[군인]], [[군무원]], [[교도관]]등의 [[국가유공자]], 국가로부터 [[훈장(상훈)|훈장]]을 서훈받은 사람 등이 사망 시 국립묘지에 안장될 자격이 있다. 다만 이런 조건은 나라마다 다르다. 국제 외교에서는 타국을 공식 방문한 국가원수나 사절단은 해당 국가의 국립묘지, 혹은 그에 맞먹는 추모 시설을 참배하는 것이 암묵적인 관례로 꼽힌다. == 대한민국의 국립묘지 == [include(틀:대한민국의 국립묘지)] 과거 [[국립현충원]]의 이름이 국립묘지였지만, 민주묘지나 [[국립호국원]] 등이 생김에 따라 사전적 의미 부합이 어려워져 현충원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현재 국립묘지라는 말은 민주묘지, 현충원, 호국원을 아우르는 의미로 쓰이고 있다. 대부분 국립묘지는 [[국가보훈부]]에서 담당하지만 예외로 [[국립서울현충원]]은 지금까지 [[대한민국 국방부|국방부]]에서 담당해 왔는데, 2023년 6월 5일 국가보훈위원회에서 소관 부처를 국방부에서 국가보훈부로 이관하기로 결정되었다. 국립묘지별 안장현황은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425|이곳]]에서 확인 가능하다. * [[국립현충원]] - [[국가유공자]]와 [[대한민국 대통령|대통령]] 등을 안장한 곳 * [[국립서울현충원]] * [[국립대전현충원]] * ~~[[국립연천현충원]]~~ - 국립묘지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법률 제16294호)에 따라 설치될 예정이다. * [[국립민주묘지]] - 민주열사들을 안장한 곳 * 국립 [[4.19 혁명|4.19]] 민주묘지 * 국립 [[3.15 의거|3.15]] 민주묘지 * 국립 [[5.18 민주화운동|5.18]] 민주묘지 * [[국립호국원]] * [[국립영천호국원]] * 국립임실호국원 * [[국립이천호국원]] * 국립산청호국원 * 국립괴산호국원 * 국립제주호국원 *-- 국립강원호국원(가칭) -2028년 개원예정-- * [[국립신암선열공원]] - 대구광역시 소재로 독립유공자 52분이 안장되어 있는 대한민국 최대 집단묘역이다. 2017년 10월 31일자 '국립묘지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개정으로 2018년 5월 1일부로 국립묘지로 승격되었다. 국립묘지와 비슷한 곳으로 다음과 같은 곳이 있다. * [[재한유엔기념공원]] - [[유엔]] 산하 별도의 관리위원회([[한국]], [[미국]], [[영국]], [[노르웨이]], [[튀르키예]], [[프랑스]] 등 [[한국전쟁]] 당시 참전 및 전사자를 배출한 11개국으로 구성되어 있다)에서 관리하는 관계로 국립묘지가 아니다. * 국립 망향의 동산 - 사망한 재외동포들을 안장하는 곳인데, 국립묘지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소정의 국립묘지는 아니며, [[보건복지부]] 에서 관리한다. 주로 [[일제강점기]] [[징용]] 등으로 인해 해외로 나가 영구 귀국한 동포들이 안장되었다.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 당시 사망자들을 위한 위령비도 있는데, 시신 수습을 하지 못했기 때문에 묘역은 없다. == 세계의 국립묘지 == 몇몇이 오해하지만, [[영국]]의 [[웨스트민스터 사원]]이나 [[일본]]의 [[야스쿠니 신사]] 등의 종교시설 내 묘지들은 국가에서 관리하지 않으므로 국립묘지가 아니다. 영국은 중앙에 국립묘지 하나가 있는것이 아니라 지역별로 전국에 여럿이 존재한다. 국립묘지는 해당 묘지가 세워진 나라가 망하면서 철거되거나 폐허로 방치되기도 한다. [[베트남 공화국]]의 [[비엔호아]](Bien Hoa) 국립묘지가 대표적인 예시로, 이 묘지에 안장되었던 장병들의 유해는 유가족들의 요청으로 해외에 이장되거나, 묘비에 새겼던 사진 속 얼굴이 훼손되고 잡초가 무성한 상태로 방치되어 있다. 명목상 [[적군묘지]]로 취급하여 그대로 두면서도 자연히 사라질 때까지 일부러 열악하게 관리하는 것으로 보인다. === [[미국]] === * [[알링턴 국립묘지]] * 앤더슨빌 국립묘지[* 남북전쟁중 남부연합의 가장 큰 포로 수용소가 있던 곳으로 이곳에서만 13,000명의 연방군 포로가 질병과 영양실조, 추위등으로 목숨을 잃고 매장되었다. 전후인 1865년 7월 26일 지정 현재까지 관리되어오고 있다.] === [[프랑스]] === * [[팡테옹]] === [[이탈리아]] === * [[산타 크로체 성당]] === [[아일랜드]] === * 글래스네빈 묘지 === [[캐나다]] === * [[비치우드 국립묘지]] === [[오스트레일리아]] === * 록우드 묘지 === [[멕시코]] === * [[멕시코 시티]] 국립묘지 === [[일본]] === * [[치도리가후치 전몰자 묘원]][* 많은 사람들이 [[야스쿠니]], [[순국7사묘]]라고 생각하지만 일본정부가 공식적으로 관리하는 곳이 이곳이다.] === [[중국]] === * [[바바오산 혁명공묘]] * [[충렬사]] === [[러시아]] === * [[레닌 영묘]] * [[크렘린 벽 묘지]] === [[북한]] === * [[대성산혁명렬사릉]] * [[애국열사릉|신미리애국렬사릉]] == 관련 문서 == * [[무덤]] [[분류:국립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