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후한 말 조위의 인물, rd1=국연)] 麴演 (? ~ 220년) [목차] [clearfix] == 개요 == [[고대]] [[중국]] [[후한]] 말 [[삼국시대(중국)|삼국시대]]의 인물로 [[서량|양주]] 서평군 사람. == 생애 == [[남송]] 때 저술된 성씨급취편이라는 책에 따르면 [[국의]]와는 같은 일족이며, 서평, [[금성]]의 장수로 215년 여름에 [[장석(삼국지)#s-2|장석]], [[양규(삼국지)|양규]], 전악과 함께 [[조조]]에게 협력해 [[저족]]의 땅으로 달아난 [[한수(삼국지)|한수]]의 목을 참수해 그 목을 보내 그 공으로 관내후가 되었다. 그러나 220년에 조조가 죽자 [[반란]]을 일으켰다가 금성 [[태수]] [[소칙]]에게 진압되자 인질을 보내 용서를 청해 겨우 살아났으며, [[조비]]가 위왕이 되어 [[양주(중국)|양주]]를 설치하면서 추기를 [[자사(관직)|자사]]로 파견하자 국연은 ~~또~~ 다시 반란을 일으켰다. 이에 [[주취안|주천군]]의 [[장진(삼국지)#s-3|장진]], [[장액|장액군]]의 [[황화(삼국지)|황화]] 등도 반란에 호응하면서 [[우웨이|무위군]]의 세 이민족도 궐기하면서 큰 세력을 이루지만 토벌을 위해 [[위나라]] 조정에서 파견한 [[학소]], [[위평]]이 소칙의 설득으로 세 이민족들을 격파해 [[관구흥]]과 함께 장액군의 장진을 공격하면서 세력이 약해졌다. 이에 3천의 군사를 이끌고 와서 학소 등을 도와준다고 하면서 안에서 공격할 계획을 세웠지만, 회견을 가장해 소칙이 부르면서 유인되었다가 살해되었다. == 창작물에서의 국연 == || [[파일:국연.jpg|width=400]] || || [[삼국지 14]] 일러스트 || [[삼국지 시리즈]]에서는 [[삼국지 14]]부터 등장하고 능력치는 통솔 68, 무력 69, 지력 50, 정치 25, 매력 37이며 개성은 친강, 공명, 적도, PK에서는 강탈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아도, 정책은 침략황폐 Lv 2, 진형은 장사, 추행, 전법은 급습, 화시,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생명연장의 꿈|몰년은 이상하게도 220년에 죽었는데 221년까지 되어있다.]] 추행진이 있어서 보급로 끊기용으로 쓰인다. [[삼국지 조조전 온라인]]에서는 [[사마의]]전(중)의 2번째인 무위 반란 진압전에서 적으로 등장해 장액에 주둔하며, 능력치는 무력 70, 지력 40, 통솔 70, 민첩 40, 행운 60, 성격은 보통이다. 장액으로 인접시키면 부하가 다가온 것을 알리자 적군이 어찌 이 곳에 당도했냐면서 무위가 함락 위기인데도 군을 둘로 나누었다고 당황했다. 성문을 닫도록 지시했지만 닫히지 않자 당황하면서 뚫리면 죽음 뿐이라 여겨 부하들을 지휘하고 퇴각하면 기회라 여겼다고 탄식하면서 사망한다. 회심 대사는 이것이 [[선비족]]의 저력이다! [[삼국지: 한말패업]]에서 등장해 190년부터 215년 시나리오까지 한수군 소속의 장수이며, 군사 53, 무용 57, 지모 27, 정무 32, 인사 27, 외교 26의 능력치로 168년생으로 나온다. 소설 삼국지 생존왕에서는 송건이 하후연과 싸우기 위해 관서의 여러 세력들을 찾아가자 송건에게 협력했는데, 실패했을 때 목을 내놓을 인물이 필요해서 협력한 것을 밝힌다. 안준의 설득에 넘어가 화란과 함께 송건을 배신했지만 송건의 공격에 붙잡혀 다시 송건의 편이 된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국연, version=73)] [[분류:후한의 인물]][[분류:220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