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국정교과서(주) 로고.jpg|width=300]] * 존속기간: [[1952년]] [[7월 15일]] ~ [[1999년]] [[5월 18일]]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과거 [[공기업]]이자 국정교과서 출판업체. 상위권자는 [[대한민국 교육부]]이며 현재의 [[미래엔]]의 전신체 기업이다. 당시 본사 소재지는 [[서울]] [[동작구]] [[대방동(서울)|대방동]] 60번지였으며, 노조는 [[한국노총]] 출판노련 소속이었다. == 사훈 == >'''창의, 성실, 화합''' >'''좋은 책은 어린이 교육의 길잡이 정성껏 만들어 제때에 보내자''' == 사가(社歌) == 작사는 변훈, 작곡은 이근배가 맡았다. ||(1절)[[한국어|우리말]] [[한글|우리글]]은 세계의 으뜸 / [[글자]]마다 담긴 슬기 뜻도 바르게 배움의 넓은 텃밭 심고 가꾸어 / 새 일꾼 꽃피우는 보람에 산다 (2절)하나를 배우면 열 아는 [[한민족|겨레]] / 남보다 앞선 걸음 뒤지면 큰일 새롭고 빠른 지식 고루 펴내서 / 큰나라 받칠 기둥 믿음이 되자 (후렴)자랑스런 문화창조 우리 손으로 / 공부하며 앞서가는 국정교과서 || == 역사 == [[1952년]] 7월 당시 [[문교부 장관]]령에 의거하여 설립된 '대한문교서적'을 모태로 한 국영기업으로 국정화로 발행된 [[교과서]]를 제작, 판매하였던 기업이다. [[1955년]] [[UN]] 산하 교육과학문화기구의 원조로 인쇄 공장을 설립하여 [[국민학교]][* 현재의 [[초등학교]]] 교과서를 제작, 발행하였고 [[저작권자]]인 [[문교부]]의 요청에 따라 국정교과서를 제작, 인쇄하는 역할을 하였다. [[1962년]]부터는 사명을 '국정교과서'로 바꾸었다. [[1998년]] 7월에 [[민영화]] 대상에 올랐으며[*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8070400209101001&ed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8-07-04&officeId=00020&pageNo=1&printNo=23925&publishType=00010|포철 한중 한국종합화학 한국종합기술금융 국정교과서 5개 공기업 즉각 민영화(1998.07.04 동아일보)]]], 그해 [[11월 5일]]에 [[교육부장관]]령에 따라 [[민영화]]되면서 민간 기업인 대한교과서[* 현 [[미래엔]]]에 인수되었으며[*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8110600329110016&editNo=40&printCount=1&publishDate=1998-11-06&officeId=00032&pageNo=10&printNo=16584&publishType=00010|국정교과서 '대한'에 매각(1998.11.06 경향신문)]] 기사에 의하면 [[한국산업은행]]에서 실시한 국정교과서 매각입찰에서 [[동아출판|두산동아]]와 [[미래엔|대한교과서 주식회사]]가 참여했는데 447억 4천 99만 2백원을 써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에 인수되었다. 이에 국정교과서 직원들은 반발해 [[11월 30일]] 신문광고에 "국민여러분!!! 이러한 사실을 알고 계십니까?"라는 국정교과서의 대한교과서 인수에 항의하는 광고를 냈다.[[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8113000209123014&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8-11-30&officeId=00020&pageNo=23&printNo=24053&publishType=00010|"국민여러분!!! 이러한 사실을 알고 계십니까?"(1998.11.30. 동아일보)]]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4289946|<공기업 민영화>-국정교과서 서울사무소(1998.07.03 연합뉴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8102800209102023&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8-10-28&officeId=00020&pageNo=2&printNo=24024&publishType=00010|국정교과서(주)민영화에 따른 우리의 결의(1998.10.28 동아일보 광고)]]], 이듬해인 [[1999년]] [[5월 18일]]에 합병과 동시에 주권등록이 취소되었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9051800099126008&editNo=15&printCount=1&publishDate=1999-05-18&officeId=00009&pageNo=26&printNo=10370&publishType=00010|코스닥 공시(1999.05.18 매일경제신문 기사 다섯 번째 항목)]]] 국정교과서 본사와 공장은 당시에는 [[대방동(서울)|대방동]] [[유한양행]] 옛 사옥 옆에 있었다가 이후 본사와 공장은 [[1991년]] 4월에 [[충청남도]] [[연기군]] 동면 내판리[* 현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내판리, 現 미래엔 조치원공장]로 통합되어 이전하였으며[*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3567972|국정교과서 사옥 및 공장 이전 준공식 (1991.04.03 연합뉴스)]] [[교과서박물관]] 전경 사이에 좌우에 준공기념수 밑에 준공기념식수와 창립기념식수 석판이 있는데 이 준공기념식수와 창립기념식수 석판에는 당시의 국정교과서 주식회사의 사장과 이사장, 당시 교육부 장관의 이름이 기재되어 있다. 과거 국정교과서 주식회사 시절의 흔적을 볼 수 있는 기념식수인데, 준공기념식수는 [[1991년]] [[4월 3일]]에 심어졌으며, 창립기념식수는 [[1993년]] [[7월 15일]]에 심어졌다.], 이후 뒷편에 있는 소건물로 이전하다가 옛 사옥은 현재는 철거되어 아파트 단지로 바뀌었다.[* [[1999년]]에 합병 당시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사옥으로 이전하였으며(1999년 당시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본사는 [[서초동]] 1361-4번지.), [[2002년]] 9월에 [[1982년]]부터 사용하던 [[서초동]] 사옥을 매각하고 지금의 [[잠원동]] 사옥으로 이전하였다.] 국정교과서가 입주하기 전에는 이곳에 마을 [[공동묘지]]가 있었다. 회사가 존속하던 시절에는 1978년부터 1992년까지 남자탁구팀을 운영했었다. == 역대 임원 == === 이사장 === [[1984년]] '정부투자기관관리기본법' 제정에 따라 이사장제가 신설되었으나, [[1997년]] 폐지됨. * [[이광표]] (1984) * [[오유방]] (1984~1988) * 정태수 (1988~1991) * [[이진(1942)|이진]] (1991~1992) * [[태기표]] (1992~1993) * 김상준 (1993~1997) === 사장 === * 조동식 (1952~1955/1957~1960) * [[백낙준]] (1955~1956) * 이세정 (1956~1957) * 최재유 (1957) * [[이춘기]] (1960~1961) * 정진숙 (1961~1962) * 정구중 (1962~1968) * [[신능순]] (1968~1969) * [[신형식]] (1969~1970) * [[양극필]] (1970~1972) * 나경민 (1972~1977) * 박우식 (1977~1980) * 정상만 (1980~1982) * 이광표 (1982~1984) * 박성규 (1984~1985) * [[이흥수(1928)|이흥수]] (1985~1988) * [[박경석(1937)|박경석]] (1988~1991) * 장병규 (1991~1993) * 조규향 (1993~1996) * 이수종 (1996~1997) * 김정길 (1997~1999) [[분류:대한민국의 공기업]][[분류:1952년 기업]][[분류:1999년 해체]][[분류:민영화된 공기업]][[분류:미래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