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부산광역시 시내버스 회사)] [include(틀:연제구의 버스 회사)] ||<-2> '''국제여객 주식회사'''[br]'''國際旅客'''[br]'''Kookje Passenger Co., Ltd.''' || ||업종명|| 운수업 || ||설립일|| [[1968년]] [[9월 10일]] [* 정확하게는 주식회사 서호의 설립일이다. 물적분할로 설립된 국제여객의 설립일은 2017년이다.] || ||대표|| 류남주, 유창한 || ||주사무소|| [[부산광역시]] [[연제구]] [[월드컵대로(부산)|월드컵대로]] 420 ([[거제동]]) || ||전화번호|| 051-501-6310 || ||차량번호|| 시내: 부산 70자 10×× || ||면허대수|| 시내: 정규 48대, 예비 3대[br]마을: 5대, 예비 2대 || ||자본금|| 1억원 (2022.12) || ||매출액|| 141억 1,318만 5,973원 (2022) || ||영업이익|| 13억 6,208만 3,621원 (2022) || ||순이익|| 13억 8,258만 649원 (2022) || ||자산총액|| 99억 7,544만 8,929원 (2022.12) || ||주주|| 주식회사 서호: 100% || ||임직원|| 140명 || [목차] [clearfix] == 개요 == [[부산광역시]]의 [[버스 회사|시내버스 운수회사]]. 1968년에 창립한 회사이다. 본사는 [[연제구]] [[거제동]]에 위치한 [[연제공용차고지]]에 있다. [[사직 야구장]]을 가는 버스노선은 널리고 깔렸지만 주거지역인 사직2동을 경유하는 시내버스 노선은 [[부산 버스 10|10번]]과 [[부산 버스 210|210번]] 단 두 노선만 존재하며 이 두 노선을 가진 업체가 바로 국제여객이다. 사직2동 주민들은 다른 동네로 나가기 위해선 국제여객 노선과 차량을 이용할 수 밖에 없고 동네가 거의 아파트단지로 이루어져 수요가 무지막지한지라 국제여객의 미래를 밝혀주고 있는데 특히 10번의 경우 서면을 가는 노선인지라 과수요에 몸살을 앓는다. 두 버스의 노선 주변 학교가 사직초, 사직중, 사직여중, [[동인고등학교]], [[사직여자고등학교]]로 출근 시간에는 서서도 가기 힘들 정도로 붐빈다. 다만 연제공용차고지로 연장되면서 연제공용차고지에서 81번이나 54번, 83-1번, 133번[* 특히 이 노선은 앞선 셋과 달리 유일하게 서면롯데백화점을 경유한다.]으로 환승하여 서면으로 바로 갈 수 있게 되어 이용객이 분산되었다.[* 10번은 교대역, 거제리, 하마정으로 빙 둘러가나 저 세 노선은 연제공용차고지에서 환승해서 가면 초읍고개로 바로 질러가기 때문이다.] 금곡동차고지는 예전엔 삼진여객차고지의 무지개주유소 옆에 이웃하여 위치했으나 2009년에 해당 부지를 매각하고 금곡동 공창마을에 위치한 주차장을 임대하여 이용하였다.[* 해당 장소는 [[부산 버스 북구3|북구3번]]의 시종착 지점이다.] 허나 이 차고지도 [[2018년]] [[12월 31일]]에 임대계약이 종료되어 금곡동에서의 주박이 불가능하게 되었고 [[2019년]] [[1월 26일]]부터 해당 차고지를 이용하던 [[부산 버스 111|111번]]은 연제공용차고지에서 출발하는 [[부산 버스 111-1|111-1번]] 노선으로 분리하여 운행하게 되었다. 부산 시내버스 업체 중 가나다순으로 정렬하면 가장 먼저 오는 회사다.(맨 뒤는 [[화신여객]]) 그래서 1996년 면허 개정 때 10##의 면허를 받았다.[* 1996년 당시 가나다순으로 국제여객보다 앞에 오는 공항버스(우진공항버스)가 있었지만 당시 공항버스는 좌석버스만 운행했기 때문에 일반버스는 국제여객이 가장 앞 번호를 부여받았다.] 2017년 1월, 국제여객 주식회사는 [[물적분할]]을 실시해 시내버스 부문을 국제여객 주식회사로 분할설립했다. 분할 후 존속법인은 '(주)서호'라는 회사로 변경했고 택시업체 온누리택시 등은 '(주)서호'의 산하업체로 조직개편했다. == 차량 운용 == 특이했던 점이 있는데 오래전부터 소형을 제외한 '''전 차량''' [[자일대우버스]]를 운용했던 점이다. 본래 국제여객은 HD170, FB485, RB520, 에어로시티를 출고한 기록이 단 한 번도 없었으며, 시내버스 역사상 유일한 현대자동차가 딱 한 대의 1993년식 에어로시티 무냉방이었다.[* 그마저도 [[학성여객]]에서 중고로 사온 차이며, 20세기를 못 넘기고 로얄시티로 교체해버렸다.] 그런데 2014년도 기점으로 자일대우버스 차량들의 품질 문제가 전국적으로 불거지면서 2015년 9월 말경에 뉴 슈퍼 에어로시티를 출고하였고 전량 210번에 투입하였다. 이는 대우버스의 출고 지연 사태로 인해 국제여객이 차량 대차에 차질이 생긴 탓에 현대자동차를 뽑았다고 한다. 신한여객이 2015년에 출고한 BS106도 사실 원래는 2014년말 및 2015년 초에 투입했어야 할 차량이었으니 말 다했다. 실제로 국제여객 대표이사가 동래10번에 카운티를 투입한 이후, 대우버스의 품질 및 사후 처리 문제로 시내버스 노선에도 현대자동차 투입을 고민했다고 하며 결정적으로 유로6 모델에서 요소수가 추가되면서 대우버스에 실망했으며 이때부터 현대버스 도입을 추진했다고 한다. 그리고 2015년 9월에 드디어 생각을 실행으로 옮긴 셈이다. 이로써 국제여객은 신차 출고로는 '''47년만의 첫 현대자동차 출고'''라는 기록이 세웠으며, 2015년 여름에 뽑은 NEW BS106 차량을 끝으로 완전히 현대자동차로 전향했다. 2018년에 개선형 차량을 도입하였고 이로써 부산에서 제일 마지막으로 신도색 차량을 뽑은 업체가 되었다. 2019년 9월에는 신도색 저상 역시 보유하게 되었다. 2023년 7월말 계열사인 (주)서호에서 [[범한자동차 E-STAR|범한자동차 E-STAR 8]]를 출고하여 첫 전기버스를 출고했으며[* 전기 충전은 저 멀리 [[양산물금신도시|양산신도시]]에 있는 [[양산시내버스공영차고지|증산공영차고지]]까지 가서 충전한다. 삼진여객 차고지에 전기 충전소가 없기 때문이다. 사실 북구3번 기점 금곡동에서 증산차고지는 그렇게 멀지않다.], 비슷한 시기에 시내 노선은 연제공용차고지의 좁은 부지로 인해 전기충전소가 설치되지 않아 뉴 슈퍼 에어로시티 개선형 저상을 도입했다. 이 때 대차로 자일대우 저상이 전멸했다. == 여담 == * 준 공영제 전에는 사직동 차고지에서 자사 노선들끼리 무료환승이 가능했었다. --해봐야 10번/10-1번이랑 210번이 전부였지만.-- * 준 공영제 이전의 [[대도운수]]와 같이 10번대 노선 번호를 선호하는 업체다. 자사 노선번호는 물론이고 면허번호까지 10xx번대다. * 과거에는 111번이 이 회사의 주력/간판 노선이었으나 111번 철수 이후에는 10번이 주력/간판 노선이다. * [[부산 버스 111-1|111-1번]]의 신설로 인하여 [[부산 버스 동래10-1|구.동래10-1번]] 이후로 약 9년 만에 [[금정구]]에 재진출하게 되었다. == 차고지 == * 본사([[연제공용차고지]]): [[부산광역시]] [[연제구]] [[월드컵대로(부산)|월드컵대로]] 420 ([[거제동]]) - [[부산 버스 10|10번]], [[부산 버스 111-1|111-1번]], [[부산 버스 210|210번]] 시종착/[[부산 버스 동래10|동래10번]], [[부산 버스 북구3|북구3번]] 주박 === 과거에 사용했던 차고지 === * 금곡영업소 1기: [[부산광역시]] [[북구(부산)|북구]] [[금곡대로]] 704 ([[금곡동(부산)|금곡동]]) - 2009년 상반기까지 사용했던 차고지이다. 금곡영업소 위치가 가람주차장(금곡영업소 2기)으로 바뀐 뒤 이 자리에는 LPG 충전소가 들어섰다. 여담으로 이 때에도 운행시간대에는 [[삼진여객]] 차고지에 주차해놓는 빈도가 높았다. * 금곡영업소 2기: [[부산광역시]] [[북구(부산)|북구]] [[금곡대로]]616번길 135 ([[금곡동(부산)|금곡동]]) - 2009년 하반기부터 2018년까지 사용했던 차고지이다. 역시 운행시간대에는 [[삼진여객]] 차고지에 주차해놓는 빈도가 높았다. 2018년 12월 31일에 해당 차고지의 임대기간이 만료되었으며 [[2019년]] [[1월 26일]]에 111번에서 철수하고 111-1번 분리노선을 운행하게 되어 연제공용차고지로 일괄 운용하게 되었다. 국제여객이 철수한 이후에는 [[부산 버스 북구3]]의 회차지 및 휴식 공간으로 사용되다가 2020년 12월 말부터 [[삼진여객]]이 59번, 126번, 북구7번/7-2번 전용 임시 차고지로 사용되고 있다. * 구.본사/사직주차장: [[부산광역시]] [[동래구]] [[사직북로]] 5번길 49 ([[사직동(부산)|사직동]]) - [[부산 버스 동래10|동래10번]] 주박 / 2021년 5월까지는 계열사인 온누리택시 차고지와 사설 주차장으로 사용되었다가[* 연제공용차고지로 본사를 이전하기 전에는 버스와 택시가 혼재하고 있던 상황이었다.] 현재는 (주)서호 본사 및 온누리택시 겸용 상가건물이 들어섰다. 택시는 지하 주차장에 주박한다. == 면허 체계 == * 부산 '''70''' 자 '''1001''' ~ '''1058'''호[* 국제여객 주 면허. 면허 58개 중 1006, 1018, 1035, 1036, 1037, 1044, 1045 까지 총 7개 면허는 말소되었다.] * --부산 '''71''' 자 11##호 전반부--[* 1100호대 후반부는 금강여객이 사용하였다. 현재는 국제여객 좌석차량은 없다.] * 구 번호판: 부산 5 자 27## == 차량운용대수 == * 시내버스 * 10번: 19대 * 111-1번: 15대 * 210번: 14대 * 예비차: 3대 * 도합: 51대 * (주)서호 마을버스 * 동래10번: 1대 * 북구3번: 2대 * 운행휴업면허: 2대[* 오시리아관광단지 수요응답형 버스인 타바라에 투입되어 3701호, 3702호로 면허전환되었다.] * 예비차: 2대 * 도합: 7대 == 운행 노선 ==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시내버스]] === ||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 || || '''[[부산 버스 10|{{{#3399ff 10}}}]]''' ||<|3> [[연제공용차고지]] || 부산의료원 -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아시아드주경기장]] - 사직초등학교 - [[사직 야구장|사직야구장]] - [[교대역(부산)|교대역]] - 법원검찰청.[[거제역]] - 하마정 - [[부전시장]] - [[서면]] - 중앙시장 - 문현교차로 - 대연SK뷰아파트 - [[대연역]] - [[경성대학교]] - 부경대용당캠퍼스 || 감만동 || 9~12 || || '''[[부산 버스 111-1|{{{#3399ff 111-1}}}]]''' || 부산의료원 - [[사직 야구장|사직야구장]] - [[미남역]] - [[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 - [[온천장역]] - [[부산대학교]] - [[산성터널(부산)|산성터널]] - 와석교차로.[[화명역(도시철도)|화명역]] - [[율리역]] - 금곡중학교 - 금곡주공1단지 || [[금곡역(부산)|금곡역]] || 9~11 || || '''[[부산 버스 210|{{{#3399ff 210}}}]]''' || 부산의료원 -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아시아드주경기장]] - 사직초등학교 - [[사직 야구장|사직야구장]] - [[미남역]] - 롯데백화점동래점 - (→ 동래전화국 →/← [[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 ←) - 동래시장 - 강변뜨란채아파트 - 토곡한양아파트 - [[망미주공아파트]] - 수영교차로.[[수영역]] - 수영만아이파크 || 민락수변공원 || 9~11 || === (주)서호 [[부산광역시 마을버스|마을버스]] === ||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 || || '''[[부산 버스 동래10|{{{#5bb025 동래10}}}]]''' || [[사직여자중학교|사직여중]] || [[사직초등학교]] - [[사직 야구장|사직야구장]] - [[여명중학교]] || [[교대역(부산)|교대역]] || 50 || || '''[[부산 버스 북구3|{{{#5bb025 북구3}}}]]'''[*공동배차 [[삼진여객|삼진버스]] 공동배차] || 금곡주차장 || 금곡중학교 - [[율리역]] - 금곡주공6단지 - [[율리역]] - 와석 - [[수정역]] - 덕천교차로 || [[구포시장]]종점 || 6 || == 폐선·철수한 노선 == * [[부산 버스 10#s-3|부산 버스 10(구)]] (사직동 ↔ 서면 ↔ 대연사거리)[* 현재의 10번은 10-1번에서 번호가 바뀐 것이며 10-1번과 노선은 크게 다른 점이 없었고 당시 10-1번과는 달리 기점행 노선은 문현초등학교, 문현여고를 경유하지 않고 문현현대아파트(1차)에서 문현삼거리 정류장으로 바로 통과하였다. [[2007년]] [[5월 15일]]에 준공영제가 시행되면서 10-1번에 통폐합 되었다.] * [[부산 버스 110]] (구포 ↔ 만덕1터널 ↔ 전형포금) * [[부산 버스 111]] (금곡동 ↔ 미남역 ↔ 부산진시장) ※ [[삼진여객]]과 공동배차[* [[2019년]] [[1월 26일]]에 111번 배차에서 전면 철수하고 신설된 [[부산 버스 111-1|111-1번]]을 단독으로 운행하게 되었다.] * [[부산 버스 121]] (금곡동 ↔ 동래역 ↔ 부산대) ※ [[대도운수]], [[삼진여객]]과 공동배차 * 부산 버스 211 (사직동 ↔ 온천장 ↔ 충렬사)[* 210번과는 다르게 [[우장춘로]]로 운행되었다.] * [[부산 버스 210#s-3.1|부산 버스 235]] (사직동 ↔ 연산토곡 ↔ 해운대신시가지) ※ [[부일여객]], [[세익여객]]과 공동배차 * [[부산 버스 510]] → [[부산 버스 동래10-1]] (교대앞 ↔ 금강공원 ↔ 온천장역) * 부산 버스 북구5 (금곡동(공창마을) ↔ 구포시장)[* 국제여객이 단독 운행했던 금곡동 마을버스 노선이었다. 북구3번과 통폐합되었다.] == 현재 보유차량 == === [[현대자동차]] === * [[현대 카운티|현대 뉴 카운티 디젤]] * [[현대 카운티|현대 카운티 뉴 브리즈 디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도시형버스 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2차 F/L 도시형버스 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2차 F/L 천연가스버스]] === [[자일대우버스]] ===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090 로얄미디 F/L 천연가스버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NEW BS106 뉴 로얄시티 천연가스버스]] === [[범한자동차]] === * [[범한자동차 E-STAR|범한자동차 E-STAR 8 전기버스]] == 과거 보유차량 == === [[자일대우버스]] === * [[대우버스 BM090|대우 BM090 로얄미디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090 로얄미디 디젤]] * [[새한 BD|GMK BD50DL 디젤]] * [[새한 BD|GMK / 새한 BD098 디젤]] * [[새한 BU|새한 BU110 디젤]] * [[자일대우버스 BF|새한 / 대우 BF101 디젤]] * [[자일대우버스 BV|대우 BR101 디젤]] * [[자일대우버스 BV|대우 BV101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5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6 하이파워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6 로얄시티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6 로얄시티 F/L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6 로얄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10CN F/L 천연가스버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NEW BS110 천연가스버스]] === [[현대자동차]] === * [[현대 카운티|현대 E-카운티 F/L 디젤]] * [[현대 에어로시티|현대 에어로시티 540L 디젤]][* 딱 1대 존재했다. 자세한 건 '차량 운용' 문단 참조.] [[분류:버스 회사]][[분류: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회사]][[분류:부산광역시의 마을버스 회사]][[분류:1968년 설립]][[분류:연제공용차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