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国際映画社''' '''MIC(Movie International Co.Ltd.)''' [목차] == 개요 == [[1979년]]부터 [[1985년]]까지 활동했던 [[일본]]의 [[애니메이션 제작사]]. 창업은 1974년으로, 이름에서 드러나듯이 당초 본업은 해외 영화를 수입해 배급하는 회사였다. 창업자인 츠보다 쥬조(壺田重三)를 포함한 회사 구성원 상당수가 닛카츠 관계자였던 것도 특징. 초기작들은 [[아시 프로덕션]]과 공동 제작한 작품들 위주였고, [[은하선풍 브라이거]]를 만든 1981년부터 본격적으로 단독 명의를 내걸고 활동했다. 오리지널 작품들이 이 회사의 대표작인 '''[[J9 시리즈]]'''를 비롯해 전부 [[거대로봇물]]이었기 때문에 80년대 초 로봇 애니메이션에 익숙한 사람이라면 한 작품 이상은 접해봤을 듯. 국제영화사 작품의 특징은 타 회사에 비해 '''본편 작화가 매우 떨어진다는 것'''을 [[야마모토 유우]]의 각본과 성우 연기와 BGM 같은 음향의 힘으로 커버했다는 것이다. 국제영화사는 영화 수입사이던 탓에 애니메이션 제작 노하우가 하나도 없었고 애니메이션을 만들 때 캐릭터 디자인, 오프닝, 변신 뱅크 같이 중요한 장면만 [[토에이]]에 하청을 넣고 본편 작화는 토에이와 같이 일하던 대원동화(현 [[대원미디어]])나 세영동화 등 [[한국]]측 회사에 하청을 맡겼다.[* 1980년대까지 한국 하청업체의 실력은 굉장히 형편없었다. 실력 개선이 이루어진 것은 2000년대부터로 이 때부터 [[디알무비]] 등 쟁쟁한 하청업체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당시 토에이는 한국 하청을 넣은 뒤 일본의 작화감독이 따로 작화를 수정했으나 국제영화사는 그러지도 않았다. 이 회사 작품의 스태프롤을 보면 일본인이 많아보이지만 그게 대부분 한국인 스태프들의 가명이었다고 한다. 그래서 오프닝/엔딩과 본편의 인물 작화간 괴리감이 상당히 격렬한 편이고, 로봇 합체/전투신 역시 당시 기준으로 견줘봐도 심심한 연출들이 많다. 그러나 이런 떨어지는 화면을 군상극이 강조된 각본과 각 주요 인물들의 개성, 풍부한 삽입곡 등의 요소로 갈음해 작품성을 확보했다는 것으로, 이런 요소들에 호응한 팬들의 동인 활동에 의해 초기 [[오타쿠]] 문화에 영향을 끼쳤다고도 평가받는다. 스토리 소재를 유명 영화나 연작 드라마 및 시대극으로부터 차용한 것이 많다는 것도 빼놓을 수 없는 점이다. 전성기에는 [[타츠노코 프로덕션]] 이상의 매출을 기록할 정도로 왕성한 모습을 보였고 말기에는 타카하시 아사오, [[도키테 츠카사]], [[니노미야 츠네오]], [[타니구치 모리야스]] 같은 실력파 애니메이터를 포섭해 [[마경전설 아크로번치]], [[아공대작전 스랑글]], [[초공속 갈비온]]에서는 많이 개선된 영상을 보여줬다. [* 어디까지나 많이 개선된 것이지 좋다고 볼 수는 없다. 작화 자체는 나쁘지 않으나 작화가 아무리 좋아도 이게 좋아보이려면 [[연출]] 쪽에서 상당한 후처리를 해야 되는데 후처리가 제대로 되어있지 않아 그 작화를 못 살린다.]그러나 1984년 최대 스폰서였던 완구회사 타카토쿠 토이즈가 도산하자 그 여파를 그대로 떠안아 급속도로 위기에 빠졌으며 결국 회생하지 못하고 1년 후 도산했다. 회사 법인 자체는 아직 남아 있으나, 기존작 판권만 관리하고 애니메이션 제작은 완전히 손을 뗀 상태.[* 따라서 2014년 신 J9 시리즈로 발표된 은하신풍 진라이거는 당시 각본가였던 야마모토 유우만 관여했을 뿐 이 회사와 무관한 프로젝트다.] == 작품 == 아시 프로덕션과 공동제작한 작품은 ☆표, 미완결작은 ※표로 구분한다. * '''1979년''' - [[왕고래 호세피나]](くじらのホセフィーナ) ☆[* 1981년, KBS 2TV 에서 방송. 공동제작 작품 판권은 현재 프로덕션 리드 소유.] * '''1980년''' - [[즛코케나이트 돈데라만챠]](ずっこけナイトドンデラマンチャ : 국내 방영명은 돈키호테) ☆ - [[우주전사 발디오스]] ☆※ - [[쌍둥이의 몬치치]](ふた子のモンチッチ) ☆ * '''1981년''' - '''[[은하선풍 브라이거]]''' - [[메챠코 도타콩]](めちゃっこドタコン) - [[작은 아씨들(애니메이션)#s-1|작은 아씨들]](若草の四姉妹) : 실제 제작은 [[토에이 애니메이션]](논크레딧). 국내에서는 [[KBS]]에서 2회 방영했다. - 하니하니의 멋진 모험(ハニーハニーのすてきな冒険 : 국내 방영명은 말괄량이 꽈리) * '''1982년''' - '''[[은하열풍 박싱거]]''' - [[마경전설 아크로번치]] - [[장난꾸러기 신 이야기 코로코로 포론]] - 사랑의 기적 닥터 노먼 이야기(愛の奇蹟 ドクターノーマン物語) : 크리스마스 단편 특집극. * '''1983년''' - '''[[은하질풍 사스라이거]]''' - [[아공대작전 스랑글]] (亜空大作戦スラングル : 국내 수입명은 슈퍼 고릴라) - [[나나코 SOS]] * '''1984년''' - 소야 이야기(宗谷物語) : [[쇄빙선]] 소야의 활동 내역을 애니메이션화한 반 논픽션 작품. - [[초공속 갈비온]] (超攻速ガルビオン) ※ : 국제영화사 최후의 로봇 애니메이션. 본래는 총 26화 예정이었으나 방영도중 타카토쿠가 도산하는 바람에 스토리 중반 무렵에 흐지부지 마무리되어 전 22화로 조기종영 하였다. 이후 전개 예정이었던 내용은 사운드 트랙의 라이너 노트 등으로 밝혀졌다. 발디오스처럼 극장판으로 어떻게든 마무리할 계획이었다고도 하지만, 그 역시 회사 자체가 도산해 이뤄지지 못했다. - 두 타카(ふたり鷹)[* 참고로 원작자가 그 [[에어리어88]] 작가 신타니 카오루다.] ※ [각주] [[분류:일본의 애니메이션 제작사]][[분류:일본의 없어진 기업]][[분류:1974년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