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해성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
[[파일:external/66.media.tumblr.com/tumblr_ofkcw24qrh1sqk8veo5_r1_540.png|width=auto&height=50]][[파일:두산 2019V6.png|width=auto&height=50]][br]'''KBO 리그 한국시리즈[br]우승반지''' || || '''[[2016 한국시리즈|{{{#ffffff 2016}}}]]''' || '''[[2019 한국시리즈|{{{#ffffff 2019}}}]]''' || ---- [include(틀:KBO 퓨처스리그 북부리그 홈런왕)] ---- ||<-5>
'''{{{#ffffff [[두산 베어스|{{{#ffffff 두산 베어스}}}]] 등번호 90번}}}''' || || [[김현수(1988)|김현수]][br](2006) || {{{+1 →}}} || '''{{{#000000 국해성[br](2008~2009)}}}''' || {{{+1 →}}} || 이창석[br](2010) || ||<-5> '''{{{#fff [[두산 베어스|{{{#ffffff 두산 베어스}}}]] 등번호 33번}}}''' || || [[채상병]][br](2007~2009.7.15.) || {{{+1 →}}} || '''국해성[br](2010~2015)''' || {{{+1 →}}} || [[정진호(1988)|정진호]][br](2016) || ||<-5> '''{{{#fff [[두산 베어스|{{{#ffffff 두산 베어스}}}]] 등번호 15번}}}''' || || [[오현택]][br](2013~2015) || {{{+1 →}}} || '''국해성[br](2016~2021)''' || {{{+1 →}}} || [[박성재(2002)|박성재]][br](2022.5.18.~2022) || ||<-5> '''{{{#fff [[롯데 자이언츠|{{{#fff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12번}}}''' || || [[김재유]][br](2020~2023.5.8.) || {{{+1 →}}} || '''국해성[br](2023.5.23.~2023)''' || {{{+1 →}}} || 결번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오부산의국해성.png|width=100%]]}}} || ||<-2> '''{{{+2 국해성}}}[br]鞠海成 | Kook Hae-Seong''' || ||<|2> '''출생''' ||[[1989년]] [[12월 8일]] ([age(1989-12-08)]세)|| ||[[전라북도]] [[군산시]]||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학력''' ||군산중앙초 - [[동인천중학교|동인천중]] - [[인천고등학교 야구부|인천고]]|| || '''신체''' ||180cm, 95kg, [[B형#혈액형]]|| || '''포지션''' ||[[외야수]][* [[좌익수]], [[우익수]] 모두 맡을 수 있다.], [[1루수]]|| || '''투타''' ||[[스위치 히터|우투양타]]|| || '''프로입단''' ||2008년 [[육성선수|신고선수]] ([[두산 베어스|두산]])|| || '''소속팀''' ||[[두산 베어스]] (2008~2021)[br][[성남 맥파이스]] (2022~2023)[* [[KBO 퓨처스리그 FA]] 미계약 시기] [br] [[롯데 자이언츠]] (2023)|| || '''등장곡''' ||[[Skrillex]] - 《[[Bangarang]]》|| || '''응원가''' ||{{{#!folding [ 이전 응원가 보기 ] '''[[두산 베어스]] 시절'''[br][[펠릭스 멘델스존|멘델스존]] - 《[[https://youtube.com/shorts/plP0--qeZdU?feature=share|노래의 날개위에]]》[*가사 오! 두산의 국해성! 오! 두산의 국해성! 오! 두산의 국해성! 오오오오~ (×2)][* 무려 데뷔 11년만에 나온 응원가로, 응원할 때 풍선을 드는 것이 특징이었다.]}}}|| || '''본관''' ||[[국(성씨)|담양 국씨]][* 장성-선전공파 34세 호(鎬) 항렬이나 항렬자를 쓰지 않았다. 다만 아버지 국중련(鞠重鍊)은 33세 중(重) 항렬을 사용했다.]|| || '''SNS''' ||[[https://www.instagram.com/kook_hae_seon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2]]]]|| [목차] [clearfix] == 개요 == 前 [[두산 베어스]], [[롯데 자이언츠]] 소속 [[외야수]]. == [[국해성/선수 경력|선수 경력]] == ||
<-4> '''통합 선수 경력 : [[국해성/선수 경력]]''' || ||<-4>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width=110]] || || [[국해성/선수 경력#s-3.1|'''{{{#white 2015년}}}''']] || [[국해성/선수 경력#s-3.2|'''{{{#white 2016년}}}''']] || [[국해성/선수 경력#s-3.3|'''{{{#white 2017년}}}''']] || [[국해성/선수 경력#s-3.4|'''{{{#white 2018년}}}''']] || || [[국해성/선수 경력#s-3.5|'''{{{#white 2019년}}}''']] || [[국해성/선수 경력#s-3.6|'''{{{#white 2020년}}}''']] || [[국해성/선수 경력#s-3.7|'''{{{#white 2021년}}}''']] || [[국해성/선수 경력#s-5.1|'''{{{#white 2023년}}}''']] || == 플레이 스타일 == 스위치 히터인지라 활용폭이 상당히 넓고, 거기에 장타 툴까지 겸비해서 빠른 발에 컨택트 능력이 좋은 좌타자 위주로 재편되고 있는 두산 외야진 사이에서[* [[김인태]], [[조수행]], [[정수빈]], [[안권수]], [[양찬열]] 등이다.] 확실한 차별점을 가졌던 선수이다. 무늬만 스위치 히터인 2018 시즌 흑역사 용병 [[지미 파레디스]]와는 다르게 양 타석에서 고르게 장타를 생산해낼 수 있는데, 이미 중학교 시절부터 양손으로 야구를 해왔던 국해성으로서 크게 어필할 수 있는 부분이다. 다만 2019 시즌엔 우타석에서는 약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심하게 말하면 그냥 '서 있을 수 있는 정도'.[* 좌타석에서 28타수 6안타, 우타석에서 7타수 무안타를 기록했다.] 그럼에도 스위치 히터를 고집하는 이유는 좌투수를 상대할 때 좌타석에 서면 공이 잘 보이지 않아서라고 한다. 또한 좌타 위주의 두산 타선에서 우타가 가능하다는 것은 꽤나 큰 장점으로 작용하기 때문. 다만 2020년에는 우타석에서의 생산력이 크게 개선된 모습을 보이며 진정한 스위치 히터로서의 모습을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23&aid=0003540597|다시 보이고 있다.]] [[김재환(야구선수)|김재환]]과 유사한 타격폼을 가지고 있는데, 중심을 조금 더 스트라이크 존 쪽으로 잡고 간결한 레그킥을 한 뒤 타격한다. 다만 김재환과는 달리 게스히팅을 하지 않으면 깎여 맞는 스윙 궤적을 가지고 있어 밸런스가 흔들리면 타격 침체가 오래 가는 유형이다.[* 본인도 자신의 이런 특성을 아는지 타석에서 볼카운트에 따라 노림수를 많이 가져간다고 발언하기도 했다.] 거기에 아마추어 시절부터 고질적인 문제로 꼽혀왔던 극악의 변화구 대처 능력이 아쉽긴 하지만 나름대로 프로 입성 이후 많이 개선되고 있다. 타구의 질이 매우 좋고 선천적인 힘이 좋아 맞기만 하면 양질의 타구를 쏘아올릴 수 있는 타자. 애초에 타격능력 몰빵 유망주였기 때문에 타격 외의 분야에서는 두각을 드러내지 못하고 있다. 발목 부상, 무릎 인대 손상 전력으로 인해 평범한 주력에 평범한 수준의 주루플레이를 선보이며, 수비범위가 매우 좁다. 다만 코너 외야는 그럭저럭 커버가 가능하고 타구 판단 능력 등은 부족한 경험으로 인해 조금 떨어지더라도 중학교 때까지 스위치 투수로 뛴 경력이 있어 보살은 꽤나 잡아내는 강견이다. 부상이 잦긴 했지만 어깨만큼은 튼튼한 듯. 또한 덩치와 파워에 어울리지 않게 잔부상이 많은 [[유리몸]]이다. 선수 경력 문서에 소개한 대로 팔꿈치 문제로 시카고 컵스와의 계약이 엎어진 뒤에도 국해성은 프로 선수 생활 내내 부상을 달고 살게 되는데, 입단하자마자 두번째 팔꿈치 수술, 2010년 발목 부상으로 인한 재활에 이어 3차 팔꿈치 수술 등 야수임에도 불구하고 투수의 메디컬 이력을 방불케 하는 수준의 부상을 당했다. 2018년 무릎 전방 십자인대 파열까지 잔부상도 아니고 정말로 야구선수로서 입을 수 있는 굵직굵직한 부상은 다 입어본, 상당히 안타까운 선수. 이 외에도 무릎 인대 손상, 손가락 골절 등의 부상 전력이 있다. 2020년 무릎 철심 제거 수술과 팔꿈치 뼛조각 제거 수술을 받았다. 선수의 SNS 계정에 올라온 사진을 보아 뼛조각이 상당히 컸던 모양.[[https://www.instagram.com/p/CVNtib9PC0_/|#]] 결국 이러한 아쉬운 모습들로 인해 두산에서 재능을 꽃피우지 못하고 팀을 떠나게 되었다. 유리몸만 아니었으면 웬만한 실력은 나왔을 것이기 때문에 안타까울 따름이다. 그래도 독립 리그를 거쳐 롯데로 입단하면서 프로 복귀에 성공함에 따라, 다치지 않고 제 컨디션을 꾸준히 유지한다면 다시 1군 무대를 밟을 수도 있을 것이다. 실제로 2023년 5월 24일 [[NC 다이노스]]전에서 6번 지명타자로 선발출전하며 1군 무대에 복귀했지'''만''' 또 햄스트링 부상으로 일주일도 채 안되어 다시 말소되는 등 롯데에서도 잔부상으로 인해 1군에서 모습을 많이 보이지 못하며 10월 중순에 방출되고 말았다. == 여담 == * 별명은 [[카를로스 벨트란]]에서 따온 '''국트란'''. 또한 잦은 잔부상으로 인해 1군에서 잘 보기 힘들고 사이버 홈런 사건으로 인해 '사이버 타자'라는 별명도 있다. * 성씨인 '국'씨가 보기 쉽지 않은 특이한 성씨다 보니 [[두산 베어스]] 팬들 중에는 이 성 때문에 국해성을 아는 팬들도 있었다. 같은 팀의 전직 선수인 [[사공엽]][* [[복성]] 사공에 외자 이름 엽을 쓴다.]과 비슷하다. * 상기한 이유 때문에 [[두산 베어스 갤러리]]에서는 ‘국’ 또는 ‘국가’로 불렸다. * 그라운드에서는 평상시 로봇처럼 감정이 섞인 표정이 거의 없다. 게다가 몸집도 상당히 큰 편인 데다가 등장음악마저 [[Skrillex|스크릴렉스]]의 [[덥스텝]] 음악 [[Bangarang]]이고, 한술 더 떠 전 시즌인 2016년에 쏘아 올렸던 데뷔 첫 사이버 홈런 때문에 팬들에게 강철로 만든 단단한 로봇이나 [[터미네이터]]같다는 소리를 많이 들었다. 그러나 외형과 다르게 은근히 [[유리몸]]이다. * 국해성의 아버지 국중련(鞠重鍊)은 [[군산상일고등학교 야구부|군산상업고등학교 야구부]] 출신으로 아마추어 때까지 선수 생활을 했었다.[* 1977년 [[청룡기]] 때 군산상업고등학교 야구부 소속 선수로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7061000239104004&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77-06-10&officeId=00023&pageNo=4&printNo=17284&publishType=00010|출전했었는데]] 이때 주장이 [[김성한]]이었다.] 또한 [[SSG 랜더스]]의 언더스로 투수 [[박종훈]]을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001&aid=0009501805|야구계에 끌어들인 장본인이라고 한다]].[* 국해성과 [[박종훈]]은 [[전라북도]] [[군산시]]에서 같이 산 적이 있다. 군산 지역 초, 중학교 유망주들이 타 지역으로 진학하는 사례가 많다. 자세한 내용은 [[군산상일고등학교 야구부]] 문서 참조.] * 중학교 때까지 [[스위치 투수]]로 뛰기도 했으며 보살로 주자를 아웃시킬 정도로 강견의 소유자다. * 헬멧이 좌우 검투사로 2개 있다. * 1군에 가끔 얼굴을 비추던 시절에는 1군 투수들이 생소해 애를 많이 먹었는데, [[민병헌]]이 상대 투수에 대한 정보를 줘서 도움이 많이 되었다고 한다.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진출 당시 2년안에 메이저로 올라가겠다는 목표를 잡았었으나, 아쉽게 좌절되었다. * [[배지환]]이 육성선수 자격을 인정해 달라는 가처분 소송을 제기하면서 국해성의 사례를 들기도 했다. * [[왼손잡이]]이지만 [[우투양타]]이다. 똑같이 스위치히터인 [[멜 로하스 주니어]]와의 공통점이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야구 선수 자녀]][[분류:1989년 출생]][[분류:2012년 데뷔]][[분류:군산시 출신 인물]][[분류:담양 국씨]][[분류:동인천중학교 출신]][[분류:인천고등학교 출신]][[분류:외야수]][[분류:우투양타]][[분류:스위치 히터]][[분류:OB-두산 베어스/은퇴, 이적]][[분류:롯데 자이언츠/은퇴, 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