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군가/해외)]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kDFVNhlBE7U, width=100%)] 2015년 [[승리의 날]] 퍼레이드 영상. BGM으로 웬만한 러시아 군가는 다 깔렸다. [[소련]] 군가는 군사국가 특유의 웅장한 선율과 위엄, 그리고 [[붉은 군대 합창단]]의 신묘한 가창력, 전통있고 매력 있는 [[러시아 민요]], [[우크라이나]] 민요와의 융합, [[러시아어]] 특유의 묘미가 결합되어 세계적으로 인기가 많은 편이다. 현재는 붉은 군대 합창단(Red Army Choir)이라는 이름이 더 유명한 [[알렉산드로프 앙상블]]이 소련의 군가와 [[우크라이나]], [[러시아 민요]], 전통 춤을 열심히 전파하고 있고, 공산주의 특유의 경직된 분위기가 70여년이나 유지되어 그 전통도 긴 편이라 2000년대에도 여전히 많은 곡들이 편곡되고 있다. [[소련]]에서 군가 등의 행진곡은 국가에서 장려한 문화에 속했기에 [[가요]]에도 많은 영향을 끼쳤으며 이것은 [[러시아 연방]]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러시아인]]들은 군가에 대해서 거부감이 없고 전통이자 문화로 보기 때문에 현재도 [[전승기념일]]등에 현대 가수들이 군가를 공연하거나, [[TV]] 등의 대중매체에서도 군가가 자주 방송되는 등 여파가 강력히 남아있다. 다만 확실히 젊은층으로 갈수록 군악에 대한 인기는 낮아진다. 때문에 러시아에서는 이전과 같은 클래식같은 웅장한 곡 대신 잔잔한 곡들을 내세워 홍보중이다. --뭐 어차피 젊은 층이건 중장년이든 좋아하는 사람은 좋아한다.-- == 역사 == [[소련]] 사회에서 군가는 문화의 하나로 자리잡았으나, 한번에 정립된 것은 아니며 여러 과정이 있었다. [[러시아 혁명]] 시기부터 소련 초기의 군가는 혁명가와 궤를 같이 했고, 여기에 [[러시아 내전]]이라는 상황과 맞물려 [[공산주의]] 사상과 혁명을 찬양하는 내용이 많았다. 군가이기도 하면서 혁명가, 민중가요인 셈.[* [[러시아어]]에서는 '군악'을 엄밀하게 표현하려면 'военный марш' 정도가 되는데 굉장히 문어적인 표현이고, 보통은 행진곡(марш)이라고 한다. 그러니까 [[한국어]]로는 군가, 군악이라고는 하지만 러시아에서는 군대와 상관없이 쓰일 수도 있다. 노동자들이 집회하면서 부르는 것도 марш이고, 시위대가 가두행진하며 부르는 것도 марш, 학생들이 운동회에서 부르는 것도 다 марш이다.] 그리고 다른 나라의 혁명가들도 번안되어 군대에서 많이 불렸다. [[러시아 혁명]]을 주도한 가장 중요한 세력 중 하나가 평화를 바라는 전선의 일반 병사들이었기 때문에, 혁명가는 이들 사이에서 크게 유행했다. [[적백내전]]이 끝나고 [[이오시프 스탈린]] 통치기로 들어가기 전에는 내전을 회고하는 군가들과 혁명가풍 군가가 여전히 대세였다. 1928년 10월 12일에는 그 유명한 [[알렉산드로프 앙상블]]이 12명의 단원과 함께 출범했다. 한편 [[이오시프 스탈린]] 시대로 본격적으로 돌입한 후에는 모든 문학, 미술, 음악이 그랬듯이 군가에서도 스탈린 찬양 일색으로 도배된다. [[대숙청]] 이 시기부터 본격적으로 소련의 [[프로파간다]]가 군가에 적극적으로 응용되기 시작했다. 특히 프로파간다를 목적으로 만든 영화의 [[OST]]들이 군가로 많이 활용되는데, [[세 전차병]]과 [[소련 전차병 행진곡]]의 경우는 '트랙터 운전수(Трактористы)'라는 1939년 소련 영화의 OST로 제작된 것들이다. [[러시아 내전]]의 영웅인 [[클리멘트 보로실로프]]나 [[세묜 부됸니]]를 찬양하는 군가도 많이 작곡되었는데, 직접적으로 찬양하는 곡도 있었고 이러한 고위 장교들이나 스탈린의 이름을 가사에 넣는 식이었다. 예외적으로 서정적인 곡들이 작곡되기도 하였으나 유명세를 떨친 곡은 드물다. [[1941년]]이 되자 소련은 [[독소전쟁|대조국전쟁]]이라는 국가 최대의 시련을 맞이하게 된다. 약 5년 동안 근 2700만명이 사망한 이 거대한 전쟁에서 군가가 중요하지 않았다는 것은 그야말로 넌센스일 터. 이 시기에 우리가 "마더 러시아의 위엄"이라고 칭송하는 군가들이 많이 작곡되었다. 스탈린 통치기였기 때문에 여전히 가사에는 스탈린 찬양이 많이 들어갔지만, 대체적으로 내용은 조국에 쳐들어온 독일놈들과 파시스트놈들을 까부수자는 내용이 주가 되었다.[* 대표적으로 [[포병 행진곡]]. 가사가 상당히 호전적이다. 요약하자면 '''조국과 가족을 건드리는 적들을 전부 포격으로 개발살을 내겠다'''는 것. 실제로 소련군은 2차대전 기간동안 참전했던 모든 국가들 중 가장 많은 야포를 보유했었고(약 50만 문), 소련군 포병대는 군가의 가사대로 독일군을 그야말로 찢어버리며 독소전쟁 승전에 지대한 공을 세운다.] 그 밖에도 [[전설적인 세바스토폴]]이라든지, [[모스크바 방위군 행진곡]] 등의 영웅적인 전투 현장을 노래한 군가나 [[볼고그라드|스탈린그라드]]나 [[상트페테르부르크|레닌그라드]]를 소재로 한 군가와 행진곡도 많이 작곡되었다. 이 시기에 전쟁에 끌려온 장병들은 지방 각지에서 끌려온 소련의 일반 농민이나 노동자였기에 러시아의 수준 높은 민요나 민중들이 부르는 투박한 가요들이 군가처럼 변해서 많이 불리기도 했다. 대표적인 예가 '마트베이 블란테르(Матвей Блантер)'의 재즈곡인 [[카츄샤]]이다. [[1938년]]에 작곡된 곡인데 독소전쟁기에 수많은 [[소련군]] 장병들에 의해 군가처럼 불리고 많은 바리에이션이 제작되었다. [[독립국가연합]] 지역에서만 300가지 정도의 변형판이 존재하고 해외에 퍼진 버전까지 생각하면 그야말로... 또한 전시를 기점으로 소련의 군가는 중요한 변경점을 맞이하는데, 바로 [[소련 공산당]]이나 [[공산주의]] 이념에 대한 맹목적인 선전보다는 [[고향]]이나 [[가족]], 조국에 대한 [[애국심]]과 같은 보다 인간적인 부분을 가사에 담는 쪽으로 노선이 바뀌게 된다. 전후 냉전의 주인공이 된 소련에서는 1956년의 스탈린 비판이 국가적 쟁점으로 떠오르게 되었는데, [[니키타 흐루쇼프]]의 제20차 공산당 대회에서의 스탈린 비판 이후 많은 군가의 스탈린을 찬양하는 가사가 개사되었다.[* 군가는 아니지만, 당장 [[소련 국가#s-1.1|소련 국가 1944년 판]]과 [[소련 국가#s-1.2|소련 국가 1977년 판]]만 비교해 봐도 스탈린에 대한 소련의 태도가 달라졌음을 알 수 있다.] 사실상 현재 [[러시아 연방]]에까지 이어지는 소련 군악의 문화적 정립이 이 시기부터 이루어진다. 또한 [[데탕트]] 시기였던 만큼 [[알렉산드로프 앙상블]]이 적극적으로 외화벌이를 뛰러 나갔기에 서방에도 많이 알려졌다. 시간이 흘러서 [[페레스트로이카]] 이후에는 [[런던]]이나 [[뉴욕]] 같은 적국의 심장에서 소련 군복을 입은 합창단이 라이브를 뛰는, 이전에는 상상도 못할 일들이 벌어지기도 했는데, 내한 공연도 했었다. 소련 군가는 [[냉전]]시기 공산권의 종주국답게 [[바르샤바 조약군]] 소속 국가들의 군가나 여타 노래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동독, 중국, 북한, 헝가리, 폴란드 등등 구 공산권 국가에서 자신들의 언어로 소련군의 군가를 개사한 예시가 많다. 전후에 [[전략로켓군]]이나 [[우주군]] 등이 새로 창설됨에 따라서, 이전에는 없던 군종에 대한 군가도 속속 등장하게 된다. 대체적으로 [[소련 해군]]가는 무겁고 웅장한 편이고, 공군가는 가볍고 신나는 곡조를 가진 편이다.[* [[승리의 날]] 붉은 광장 [[열병식]]을 보면 이 차이를 알 수 있다. 공군 다음으로 해군 수병(주로 발트함대)과 보병들이 등장할 때 군가의 무게감 자체가 확 다르다.] 또한 러시아 혁명 초기에 [[포템킨]] 함 반란 사건이라든지 아브로라 함의 포격이라든지 [[수병]]들이 많은 역할을 해주었기에 혁명을 소재로 한 군가에는 수병이 많이 등장한다. [[기병]] 군가는 말발굽 소리를 악기로 표현한 것이 포인트. 흥겨운 곡이 많고 주로 [[카자크]]를 소재로 하고 있다. [[알렉산드로프 앙상블]]의 군가 메들리 라이브를 통해 짐작해볼 때, 각 군을 대표하는 군가가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군대 전체를 대표하는 군가는 [[진격(군가)|진격]]이며, 육군을 대표하는 군가는 [[우리는 인민의 군대]]이고, 기갑부대는 [[세 전차병]], 포병과 전략로켓군은 [[포병 행진곡]], 해군은 [[만일 운이 좋다면]], 공군은 [[항공행진곡]], 방공군은 [[미사일 사수들의 노래]], 우주군은 [[우주군(군가)|우주군]]이다. 그리고 [[알렉산드로프 앙상블]]을 대표하는 군가는 [[알렉산드로프의 노래]]이며 공연은 항상 [[소련군 찬가]]를 부르는 것으로 시작한다. == 목록 == === [[러시아 제국]] === * [[프레오브라젠스키 연대 행진곡]] Марш Преображенского полка - [[17세기]][* [[러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행진곡이다.] * [[https://youtu.be/bbL9mzyC6eo|보르디노]] Бородино - [[18세기]] * [[거기 두 형제가 집으로 걷고 있었네]] Там шли два брата - [[19세기]] * [[카자크는 두나이를 넘었다]] Їхав козак за Дунай - [[18세기]] * [[https://www.youtube.com/watch?v=JIGWBOuAMl8|어떻게 우리는 시프카의 구름 속에서 버텼나]] Как стояли мы на Шипке в облаках - [[1878년]] * [[바르샤바 시민]] Варшавянка - [[1897년]] * [[동지들, 당당히 발맞추세]] Смело, товарищи, в ногу - [[1897년]] * [[https://youtu.be/nPTIAtGzD94|바랴그]] Варяг - [[1904년]] * [[https://www.youtube.com/watch?v=h9f8ZEGU20U|만주의 언덕에서]] на сопкахъ Маньчжуріи - [[1904년]][* [[러시아 내전]] 시기의 노래로 알려져 있으나 [[러일전쟁]] [[뤼순 공방전]]시기의 곡이다.] * [[https://www.youtube.com/watch?v=9gB1gFK0eMo|아무르 강의 물결]] - [[1906년]] * [[https://www.youtube.com/watch?v=dWuIug9iExY|니콜라예프 기병학교 사관생도의 노래]] (Песня юнкеров Николаевского кавалерийского училища - [[1910년]] * [[슬라브 여인의 작별]] Прощание Славянки - [[1912년]] === [[러시아 혁명]] 이후 === * [[부됸니 행진곡]] Марш Будённого - [[1920년]][* '우리는 붉은 군대의 기병대다(Мы – красная кавалерия)'라는 다른 이름이 있다.] * '''[[붉은 군대는 가장 강력하다]]''' Красная Армия всех сильней - [[1920년]] * [[https://youtu.be/QxoG2fdbbuE|우리는 거룩한 러시아를 위해 대담하게 전투에 나갈 것입니다]] Мы смело в бой пойдём за Русь Святую * [youtube(XlaMd3v_86I)] * [[계곡과 언덕을 넘어]](파르티잔의 노래) По долинам и по взгорьям - [[1922년]] * [[항공행진곡|모두 더 높이]] Всё выше[* 현 제목은 [[항공행진곡]](Авиамарш).] - [[1923년]](공군) * [[전진하라, 붉은 함대 장병이여]] Вперёд, краснофлотцы - [[1926년]](해군) * [[https://www.youtube.com/watch?v=tuysoNnRiwk|군용열차의 노래(보로실로프의 노래)]]Эшелонная Песня(Песня о Ворошилове) - [[1933년]], 배경은 [[러시아 혁명]]기의 [[볼고그라드|차리친]]에서 전개된 철도 전선(эшелонная война)에 관한 노래다. * [[초원(군가)|초원]] Полюшко-поле - [[1934년]] * [[타찬카]] Тачанка - [[1934년]] * [[쇼르스의 노래]] Песня о Щорсе - [[1935년]] * [[카자크의 노래]] Казачья песня[* 원 제목은 “Ой, заскучал один казак по дому. (오, 늠름한 카자크는 고향을 그리워하였다.)”] - [[1935년]] * [[넓구나 나의 조국]] Широка страна моя родная - [[1936년]] * [[https://www.youtube.com/watch?v=oYx6O2cn6Bs|포병의 노래]] - [[1937년]][* 유명한 포병 행진곡하곤 다른 노래다. 이곡도 좋은 노래라 나름의 인기가 많다.] * [[5월의 모스크바]] Москва майская - [[1937년]] * [[돈 강의 노래]] Донская песня - [[1938년]] * [[만약 내일이 전쟁이라면]] Если завтра война - [[1938년]] * [[카츄샤(노래)|카츄샤]] Катюша - [[1938년]][* --다만 이쪽은 워낙 대중적이라 [[민요]]에 가깝다.--많이들 오해하는 사실이지만 카츄샤는 대중가요로 출발한 노래다.](군 전체) * [[소련 전차병 행진곡]] Марш советских танкистов - [[1938년]](전차) * [[https://www.youtube.com/watch?v=kEwZkkgw9qE|기마 경비병]] Дозорная кавалерийская - [[1939년]] * [[세 전차병|전선의 구름들은 침울하게 떠다닌다]] На границе тучи ходят хмуро - [[1939년]][* 현 제목은 '[[세 전차병]](Три танкиста)'](전차) * [[https://youtu.be/VJYaJti6BPg|전차병의 노래]] Песня танкистов - [[1939년]][* 위 두 곡과는 다른 영화인 Танкисты(전차병)(1939)에서 OST로 쓰였다. 이후엔 잘 안불러지다가 사장된 듯하다. 지금은 유튜브에서도 희귀한 수준이고(정확히 일치하는 영상 중 풀버전 영상이 아주 조금뿐이다. 위 두 곡이랑 같이 짤막하게 [[https://youtu.be/OnZKfDnC5uk|무보컬 오케스트라 메들리로 나온 하나]] 포함.) Sovmusic이나 가야 쉽게 찾는다. 그마저도 적지만. 참고로 세 곡(소련 전차병 행진곡, 세 전차병, 전차병의 노래)은 당시엔 소련 3대 전차병가였다. 참고로 이 곡은 오케스트라 버전(메들리로 나온 그 무보컬 버전)이 아주 듣기좋다.](전차) * [[카자크, 우리 카자크]] Казаки-казаченьки - [[1939년]] * [[스무글랸카]] Смуглянка - [[1940년]] * [[열성당원 행진곡]] Марш Энтузиастов - [[1940년]] === [[겨울전쟁]] === * [[https://youtu.be/Wfs35AEypFw|우리를 환영해 주오, 아름다운 핀란드여]] Принимай нас, Суоми - красавица === [[독소전쟁]] === * [[나의 모스크바]] Дорогая моя столица - [[1941년]][* 민중가요이기도 하지만 독소전 모스크바 항전의 상징적인 노래이기도 하다.] * [[https://www.youtube.com/watch?v=KX468Egdhow|두 맥심]] Два Максима - [[1941년]] * [[모스크바 방위군 행진곡]] Марш защитников Москвы - [[1941년]] * [[성전(군가)|성전]] Священная война - [[1941년]] * [[잘가라 도시와 향촌]] До свиданья, города и хаты - [[1941년]] * [[https://youtu.be/xrx7SxjQgEk|작별 Yaxşı yol]] - [[1941년]][* 아제르바이잔 소비에트 공화국 시절의 군가로 아제르바이잔의 유명 작곡가 위제이르 하즈배요프(Üzeyir Hacıbəyov)가 스탈린의 요청으로 작사 작곡했다. 현재 아제르바이잔군 군가로도 쓰이는 중.] * [[https://youtu.be/EzbI6yBbkFs|라도가 호의 노래]] Песня о Ладоге - [[1942년]] * [[https://www.youtube.com/watch?v=abYv2weaGSg|다바토르의 카자크]] - [[1942년]] * [[소련군 찬가|무적이며 전설적인]] Несокрушимая и легендарная - [[1943년]][* 현 제목은 '[[소련군 찬가]](Песня о Советской Армии)'이다.](군 전체) * [[https://www.youtube.com/watch?v=it6dTgt_RtY&fbclid=IwAR3buw31SBqwC2GOW0L8Xcwg9QjJfTNL4vXoB3z0gv2g_H4Epoi8S5wYrx4|스탈린 동무는 멈추지 않는다]] - [[1943년]] * [[포병 행진곡]] Марш артиллеристов - [[1943년]](포병, 전략로켓군) * [[햇빛이 내리쬐는 목초지에]] На солнечной поляночке - [[1943년]] * [[우리의 조국이여 영원하라]] Да здравствует наша держава - [[1943년]] * [[우리의 근위대]] Наша гвардия - [[1944년]] * [[베를린의 카자크]] Казаки в Берлине - [[1945년]] * [[나는 베를린에서 왔다]] Ехал я из Берлина - [[1945년]] * [[https://www.youtube.com/watch?v=HlqkUXrAlTs&feature=emb_title|전선 운전병의 노래]] Песенка фронтового шофёра - [[1945년]] * [[https://www.youtube.com/watch?v=NifRRlx1W2I|아, 길이여]] Эх, дороги - [[1946년]][* 레프 오샤닌(Lev Ivanovich Oshanin)이 작성한 시를 바탕으로 아나톨리 노비코프(Anatoly Grigoryevitch Novikov)가 작곡했다.] * [[러시아 해방군|러시아 해방군가]] Гимн Русской Освободительной Армии * [[우리는 승리를 믿었고 알고 있었다]] Мы верили, мы знали победим * [[위대한 그 연대에게 경의를]] Поклонимся великим тем годам * [[https://www.youtube.com/watch?v=Ms_OqsSAPM8|41년의 병사들]] Солдаты сорок первого[* 보리스 알렉산드로프 작곡이며 정확한 작곡 연도는 인터넷에서 찾기가 어렵다.] === [[냉전]] 시대 === * [[전설적인 세바스토폴]] Легендарный Севастополь - [[1954년]](해군) * [[https://youtu.be/D-g4Nq4221k|[[연합군대의 노래]]]] Песня объединённых армий - [[1958년]][[https://m.youtube.com/watch?v=laTzaG8ISyM&t|번역본]] * [[진격(군가)|진격]] В путь - [[1954년]](군 전체) * [[모스크바 근교의 밤]] Подмосковные вечера - [[1955년]] * [[친애하는 발트함대]] Родной Балтийский Флот - [[1959년]](해군) * [[https://www.youtube.com/watch?v=FwjKpFTe9_I|낙하산 부대의 노래]] Песня парашютистов - [[1960년]](공수군) * [[나는 믿는다 친구들아]] Я верю, друзья - [[1961년]](우주군) * [[https://www.youtube.com/watch?v=sOM4MpN-ju0&pbjreload=10|앞날을 보는 이에게 영광을]] Слава впередсмотрящему - [[1962년]] * [[https://youtu.be/glh39Ibfd3s|병사는 언제나 병사다]] Солдат всегда солдат - [[1962년]] * [[병사들이 노래를 부를 때]] Когда поют солдаты - [[1963년]] * [[미사일 사수들의 노래]] Песня ракетчиков - [[1964년]](방공) * [[만일 운이 좋다면]] А если повезёт - [[1970년]](해군) * [[파도야 쳐라]] И пусть качает(해군) * [[우리에게는 승리가 필요하다]] Нам нужна одна победа - [[1970년]](공수군) * [[수병은 우리의 가족이다]] Экипаж - Одна семья - [[1970년]](해군) * [[https://www.youtube.com/watch?v=SpJFxuofwlo|친애하는 나의 모국]] Родная страна * [[나의 군대]] Армия моя - [[1970년]] * [[병사들은 나아갔네]] Шли солдаты - [[1970년]] * [[소녀여, 울지마오]] Не плачь, девчонка - [[1971년]] * [[또 다시 전투는 계속된다]] И вновь продолжается бой - [[1974년]] * [[https://www.youtube.com/watch?v=JHQfudp5dCI|우리는 노래 안에 남아있다]] В песнях останемся мы. - [[1975년]] * [[승리의 날(군가)|승리의 날]] День Победы - [[1975년]] * [[우리는 인민의 군대]] Мы - армия народа - [[1975년]](육군) * [[북방함대는 실망주지 않으리]] Северный флот - не подведёт - [[1980년]](해군) * [[https://www.youtube.com/watch?v=uWxXAQ4yCfk|길위에서]] В путь-дорогу - [[1980년]] * [[https://www.youtube.com/watch?v=i3s2ZqkfmX0|우리는 당에 맹세했네]] Клянемся, партия, тебе - [[1980년]] * [[주독 소련군 행진곡]] Марш ГCBГ * [[https://www.youtube.com/watch?v=5MvL9EzdCuA&t=118s|한국인 병사의 발라드]][* 시체가 나오는 장면이 일부나와 19금이다. 저화질에 피가 나오는 장면은 없으니 안심하고 보자. [[https://www.youtube.com/watch?v=W_zifo5JyzU|해외영상,19금이 안걸려있다,]]] Баллада о корейском солдате - [[6.25전쟁|1950~1953년]]으로 추정 === [[러시아 연방]] === * [[https://youtu.be/NlNvXgVhDEg|독일아 잘있어라]] Прощай, Германия! - [[1994년]] * [[러시아에 충성하라]] Служить России - [[2000년]] * [[육군과 해군]] Армия и Флот - [[2005년]](육군, 해군) * [[알렉산드로프의 노래]] Александровская песня - [[2013년]][* [[알렉산드로프 앙상블]]을 대표하는 군가이다.] * [[항공우주군 찬가]] Гимн Воздушно-космических сил - [[2017년]](항공우주군) * [[우주군(군가)|우주군]] Космические войска(우주군) == 군가 메들리 == || [youtube(8PJvxMiZurs, width=450)] || || 이 영상은 [[우주군(군가)|우주군]]이 포함된 영상이다. 최근엔 빠진 버전이 더 많이 불린다. || ||
<-2> 러시아군 군가 메들리(Вооружённые Силы России Попурри) || ||<-2> {{{#ffffff 순서는 러시아 육군 > 러시아 육군(기갑) > 러시아 전략로켓군 > 러시아 항공 우주군 > 러시아 해군 > (구)러시아 우주군 > 러시아군 전체 }}} || || 러시아 육군- [[우리는 인민의 군대]] || 러시아 육군(근위전차군)- [[세 전차병]] || || Стоим мы на посту, повзводно и поротно Бессмертны, как огонь. Спокойны, как гранит Мы - армия страны. Мы - армия народа. Великий подвиг наш история хранит. || Мчались танки, ветер подымая, Наступала грозная броня. И летела наземь вражья стая[* 이 노래의 배경이 되는 [[할힌골 전투]] 때와 달리 현재는 일본과 전쟁 수준으로 적대하진 않아서 가사가 바뀌었다. 이전에는 [[사무라이|самураи]]. ] Под напором стали и огня. И летела наземь вражья стая Под напором стали и огня. || || 불같이 불멸하고, 돌처럼 평온한 우리, 각 소대와 중대마다, 초소에 서 있다. 우리는 국가의 군대이고, 인민의 군대이다. 우리의 위대한 업적을 역사는 보우한다. || 전차들이 돌진하며 바람을 일으키고 가공할 기갑들이 진전했다네 적들은 강철과 포격 아래 쓰러졌다네 적들은 강철과 포격 아래 쓰러졌다네 || || Не зря в судьбе алеет знамя. Не зря на нас надеется страна. Священные слова "Москва за нами!" Мы помним со времён Бородина. || И добили — песня в том порука — Всех врагов в атаке огневой Три танкиста, три весёлых друга — Экипаж машины боевой! Три танкиста, три весёлых друга — Экипаж машины боевой! || || 깃발이 운명 속에서 괜히 붉은 것이 아니다. 조국이 우리를 괜히 기대하는 게 아니다. "우리 뒤에는 모스크바가 있다!" 숭고한 말을 우리는 보로디노 시절부터 기억하고 있다! || 그리고 이 노래는 보증한다네 적들은 모두 쓰러졌단 것을 세 전차병, 유쾌한 세 친구, 전투차량의 승무원들 세 전차병, 유쾌한 세 친구, 전투차량의 승무원들 || || 러시아 전략로켓군[* 원래는 포병이지만 2010년대 [[승리의 날]] 퍼레이드에서는 전략로켓군 소속 병력과 미사일 탑재 차량들, '''[[토폴-M|러시아의 최종병기]]'''가 입장할 때 쓰인다.]-[[포병 행진곡]] || 러시아 항공우주군-[[항공행진곡]] || || Пробьёт победы час, придёт конец походам. Но прежде чем уйти к домам своим родным, В честь армии Родной(нашего Вождя)[*A 현재는 독소전 버전과 냉전 버전 가사가 둘다 통용되고 있다.], в честь нашего народа Мы радостный салют в полночный час дадим! || Мы рождены, чтоб сказку сделать былью, реодолеть пространство и простор, Нам разум(Сталин)[* 대전기에 유일하게 바뀐 후 현재 원상복구된 대목이다.] дал стальные руки-крылья, А вместо сердца - пламенный мотор. || || 승리의 그 때는 울릴 것이요, 공세에도 끝은 다가오리니. 그러나 각자 사랑하는 고향으로 떠가기 전에, 우리 조국의 군대([[이오시프 스탈린|우리의 지도자]])와 우리 인민의 영광을 위해 우리는 한밤 중에 환희의 축포를 쏘아 올리리! || 공간과 광활을 초월하여 이야기를 진실로 만들기 위하여 우리는 탄생했다. 우리에게 이성이([[이오시프 스탈린|스탈린]] 동지께서) 강철의 날개를 주었고, 마음은 열렬한 엔진을 대신한다. || || Артиллеристы, точный (Сталин) дан приказ![*A 현재는 독소전 버전과 냉전 버전 가사가 둘다 통용되고 있다.] Артиллеристы, зовёт Отчизна нас! Из многих тысяч батарей За слезы наших матерей, За нашу Родину - огонь! Огонь! || Всё выше, выше, и выше! Стремим мы полёт наших птиц, И в каждом пропеллере дышит Спокойствие наших границ. || || 포병이여, 정확한([[이오시프 스탈린|스탈린]]의) 명령이 떨어졌다! 포병이여, 조국이 우리를 부르노라! 수천 문의 포신으로부터 우리 어머니들의 눈물에 화답하기 위해, 우리의 조국을 위해서 발포하라! || 모두 높이 높이 더 높이! 우리는 우리 새들의 비행을 속행시킨다. 그리고 각각의 프로펠러 안에서 우리 국경의 평온이 숨쉰다네! || || 러시아 해군-[[만일 운이 좋다면|만약 운이 좋다면]] || (구)러시아 우주군-[[우주군(군가)|우주군]][* 공군-우주군 분리 시절 군가라 이 곡은 메들리에서 빠질 때가 있다.] || || А к жизни на море Уже привычны мы. Пускай не боцманы пока, Пускай не мичманы. Но службу трудную Несём отлично мы. Вы так и знайте это там, на берегу. || Новый день над землёй встаёт, Новый век по планете шагает. Корабли, как прекрасных, серебряных птиц В дальний путь Земля провожает. Гениальность великих идей Циолковского и Королёва Сквозь года, перемены и смены вождей Побеждает снова и снова! || || 바다에서의 삶이라는 것에 우리는 이미 적응해 있다. 아직 갑판장이 아니라는 게 무슨 상관이며, 사관생도가 아니라는 것이 대수인가. 우리는 고단한 복무를 충직히 수행하고 있잖나. 육지에 있는 당신들은, 바로 이것을 알아 주시오. || 새로운 주광(晝光)이 지표 위에 일어서며, 새로운 세기가 행성을 가로지른다. 머나먼 여정으로 향하는, 마치 은빛 새처럼, 저 아름다운 우주선들과 지구가 배웅하고 있구나. [[콘스탄틴 치올코프스키|치올코프스키]]와 [[세르게이 코롤료프|코롤료프]]의 위대한 발상의 천재성은 세월과 변화, 그리고 지도자의 교체를 뚫고서 계속해서 승리하고 있노라! || || А служба службою везде - И на земле, и на воде, - И друга верного рука С тобой в любой беде. А если очень повезёт, Тебя дорога приведёт На доблечтный российский флот! || Космические войска – это наше надёжное завтра, Космические войска, замирают ракеты на стартах, Космические войска – воплощение мощи и силы, Космические войска – это гордость и слава России! || || 그러니 육상에서든, 해상에서든, 어디에서든 복무는 복무이며, 전우의 믿음직한 손은 어떠한 역경 속에서도 그대와 함께 한다. 그리고 매우 운이 좋다면, 길이 그대를 이끌어 주리라, 용맹스런 러시아 함대를 향하여! || 우주군, 그것은 우리의 굳건한 장래로다, 우주군이여, 로켓이 발사대에 도열해 있구나, 우주군은 힘의 권세의 표상일지니, 우주군, 그것은 러시아의 긍지이자 영광이도다! || || 러시아군 전체-[[진격(군가)|진격]] || || Путь далёк у нас с тобою Веселей, солдат, гляди!! Вьется, вьется знамя полковое Командиры – впереди || || 우리의 여정은 멀다. 기뻐하라, 장병이여, 웃으라 연대의 깃발이 펄럭이고 지휘관이 앞장 서네. || || Солдаты, в путь, в путь, в путь... А для тебя, родная Есть почта полевая Прощай, труба зовёт Солдаты, в поход! || || 병사여, 진격, 진격, 진격하라...[* [[북한|윗동네]]에서는 이 항목을 '''척, 척, 척'''으로 번역해서 군가 덕후들의 뒷목을 잡게 만들었다(...)] 하지만 경애하는 너를 위하여 야전 우체국이 있다. 작별하라, 나팔이 부르니, 장병들이여, 공세에 나서자! || == 번외 == 아래 둘은 [[군가]]가 아니라 서구권 매체의 [[BGM]]이며, [[소련]]/[[러시아]]에서 작곡한 것도 아니다. * [[붉은 10월|붉은 10월 찬가]] Гимн Красного Октября - [[1990년]] 영화 [[붉은 10월]]의 주제곡 * [[Soviet March|소비에트 마치]] Советский Марш - [[2008년]] [[일렉트로닉 아츠|EA]]의 유명한 RTS 시리즈 [[커맨드 앤 컨커 레드얼럿 3]]의 메인 테마 == 여담 == * [[할리우드]] 영화에서 [[소련군]]이 나오는 장면에서 소련 군가가 [[BGM]]으로 깔릴 때가 많은데, 재현이 그렇게 잘 된 편은 아니다. 이것은 현실에 부합하면서도 좋은 음질의 판본이 없어서 발생하는 문제이기 때문에 비단 할리우드만의 문제가 아니기도 하다. [[알렉산드로프 앙상블]] 등을 초빙해서 새로 녹음하면 해결되겠지만 그렇게까지 돈을 쓰려는 제작자는 없다. 더군다나 지금 러시아는 사실상 [[공산주의]]와의 단절 노선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공산주의]] 이념이나 [[이오시프 스탈린]] 찬양이 한가득인 옛 군가를 부르라는 건 아무리 알렉산드로프 앙상블이라도 [[어른의 사정]]으로 힘들다. 그래서 과거에 녹음된 유명한 [[성전(군가)|성전]]이나 [[소련 국가]] 정도의 곡들이 [[클리셰]]처럼 계속 사용되는 것이다.[* 비슷하게 [[나치 독일]] 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영화는 재현을 하려면 [[호르스트 베셀의 노래]]가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이것을 녹음해 줄 오케스트라는 없다. 그래서 예전에 실제 연주된 낡은 판본을 사용하되 [[라디오]]라든가 [[LP]] 따위에서 흘러나온다 식으로 음질이 나쁜 것에 개연성을 부여하는 연출을 한다.] * 사실 [[BGM]]은 관객의 집중력을 높히고 분위기를 고조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음악이기에 효과가 중요하지 재현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작중에서 등장인물들이 노래를 부르거나, 연주하거나 라디오 등의 매체에서 흘러나온다는 식의 연출이 있는데 음악의 재현이 틀리면 그것은 [[창작물의 반영 오류|재현 오류]]지만 단순히 배경음악으로 깔리는 거면 상관이 없다. * [[소련 국가]]는 무조건 1977년판만 쓰는데 [[알렉산드로프 앙상블]]의 1977년 국가 판본이 워낙 좋아서 그렇다. 단, 일부 재현을 신경쓴 영화들은 스탈린 시대의 그것을 쓰기도 한다. * 군가라고 하기에는 애매하긴 하지만 [[러시아 연방]]에서는 일부 가수들에 의해서 애국주의 [[가요]]들이 많이 발표되고 있는데 사실상 군가나 다름이 없다. [[알렉산드르 수보로프|수보로프 대원수]](Генералиссимус Суворов), [[올레크 가즈마노프]]가 부른 [[전진하라, 러시아!]](Вперёд, Россия!) 등이 있다.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기점으로 러시아/구 소련 군가는 여러모로 부정적인 의미로 재조명받았다. 하지만 그러면서도 [[소련군]]과 러시아군은 다르다면서 소련 군가는 별 문제가 없다는 의견도 있다. 애초에 소련군이 러시아군은 아니긴 하니까 나름 일리 있는 생각으로 볼 수도 있긴 하다. 러시아는 엄연히 소련을 구성하는 수많은 나라들 중 하나였을 뿐 소련 그 자체는 아니였으며 [[소련 붕괴]] 후 러시아군이 질적으로 약화된 것도 사실이기 때문이다. 또 명심해야 될 사실 중 하나는 [[우크라이나 SSR]]은 [[러시아 SFSR]]에 이은 소련의 2대 후계국으로 [[소련]]에서 경제/문화/군사적으로 [[2인자]]일 정도로 중요한 지역이었기 때문에 소련 = 러시아라는 논리는 오류라고 볼수 있다. [[분류:소련 및 러시아의 군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