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육군편제단위)] [include(틀:해체된 대한민국 육군 사령부)] [목차] || [[파일:external/mmzone.co.kr/mmzimg1412482572717.jpg|width=100%]] || || {{{+1 軍管區司令部}}} military district command || == 개요 == [[대한민국 육군]]에 존재했던 [[사령부]]. 정식 명칭은 군관구사령부 였지만, 대부분 그냥 줄여서 '''관구사령부'''라고 불렀다. == 상세 == 1954년 [[제2작전사령부|2야전군사령부]]가 창설되어, 후방에 관한 업무를 분장하기 위해, 5개의 관구사령부가 창설 되었는데,[* 동시에 창설된건 아니고, 몇년동안 차례로 창설되었다.] 각각의 사령부는 당해 소관구역내의 육군 제부대에 대한 [[병참|군수]],[* 지금의 각 군수지원사령부 역할도 겸했다는 얘기다.] 군행정의 지원, 관할지역내의 정부 재산과 군시설보호 유지 관리, 그리고 군관구위수사령부로서 지역내의 위수업무, 예배속부대에 대한 교육훈련의 지휘 및 감독의 제임무를 수행했다. 부대 규모는 [[군단]]과 [[사단(군대)|사단]]의 중간 수준이며 [[사령관]]은 대부분 전방 [[사단장]] 보직을 마친 [[소장(계급)|소장]]이 맡았다. 보직 계급은 [[사단장]]이 [[준장]]이었고 군관구사령관이 [[소장(계급)|소장]]이었으며 보직 루트가 [[사단장]]([[준장]]) → [[부군단장]]([[준장]]) → 군관구사령관([[소장(계급)|소장]]) → [[군단장]]([[중장]])이었으나 군관구사령부가 폐지되고 [[사단(군대)|사단]] 바로 위가 [[군단]]으로 개편되자 [[사단장]]의 보직 계급이 [[소장(계급)|소장]]으로 오르고 보직 루트도 [[사단장]]([[소장(계급)|소장]]) → [[소장(계급)|소장]]급 참모 → [[군단장]]([[중장]])으로 개편되었다. == [[대한민국 육군]]의 군관구사령부 목록 == || [[파일:1군관구사령부.png|width=70%]] || [[파일:2군관구사령부.png|width=70%]] || [[파일:3군관구사령부.png|width=70%]] || [[파일:5군관구사령부.png|width=60%]] || [[파일:6관구사령부_부대마크.png|width=60%]] || || [[제1군관구사령부]] || [[제2군관구사령부]] || [[제3군관구사령부]] || [[제5군관구사령부]] || [[제6군관구사령부]] || * [[제1군관구사령부]]([[육군교육사령부]]): [[광주광역시|광주]]에서 창설, [[전라남도]](현 [[광주광역시]] 포함), [[전라북도]] 관할. 당시 예하 사단으로는 [[제31보병사단|31사단]], [[제35보병사단|35사단]].[* 당시 전주 주둔. 2013년에 임실로 이전.] 다른 군관구사령부에 비에 남은 사료가 적은데, 그나마 [[육군교육사령부]] 자료에서 여기저기 나타난다. 이를테면 [[상무지구|"육군교육사령부 및 제1관구사령부 창설식"]]이라거나. ~~그래서 [[자운대]]로 옮기고 자운대 골목대장을...~~ * [[제2군관구사령부]]([[육군군수사령부|군수기지사령부]]): [[부산광역시|부산]]에서 창설, [[경상남도]] 관할 (현재의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포함). 당시 예하 사단으로는 [[제39보병사단|39사단]].[* 당시 창원 주둔. 2015년에 함안으로 이전.] 1960년에 [[육군군수사령부|군수기지사령부]] 창설로 폐지되었다가 1974년에 재창설되었지만. 1982년 [[제53보병사단]](모체인 부산경비단은 1970년 창설)의 창설로 해체되었다. * [[제3군관구사령부]]: [[논산시|논산]]에서 창설, [[충청남도]](현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포함), [[충청북도]] 관할. 당시 예하 사단으로는 [[제32보병사단|32사단]][* 당시 조치원(현 세종시 조치원읍) 주둔. 이후 기계화사단으로 전방 재배치되었다가 향토사단 환원으로 지금의 둔산신도시 일대에 주둔하다가 현 위치(세종시)로 이전.], [[제37보병사단|37사단]]. * [[제5군관구사령부]]([[제5군수지원사령부]]): [[대구광역시|대구]]에서 창설, [[경상북도]] (현 [[대구광역시]] 포함) 및 [[강원도]] 남부내륙 관할. 당시 예하 사단으로는 [[제36보병사단|36사단]][* 지금의 안동 구70사단 부지에 주둔.], [[제38보병사단|38사단]][* 지금의 36사단 관할구역인 강원도 남부내륙을 담당], [[제50보병사단|50사단]].[* 당시 대구 용산동 주둔.] 참고로 5관구사의 사실상의 후신은 구11군단, [[제39보병사단|39사단]], 50사단, [[제53보병사단|53사단]], [[제5군수지원사령부|5군지사]]. 현재 5관구사령부 자리에는 5군지사가 주둔하고 있다. * [[제6군관구사령부]]([[수도군단|경인지역방어사령부]]): [[서울특별시|서울]]([[영등포]])[* 지금의 문래공원 자리. 그래서 문래공원 안에는 일명 "박정희 벙커"가 남아있다.]에서 창설, [[서울특별시]] 및 [[경기도]] 일부(특히 남부) 관할 (현 [[인천광역시]] 포함).[* 즉 [[제30기계화보병사단|30사단]]과 [[제33보병사단|33사단]] 관할 지역. 전방군단 지역인 경기북부 대부분이 빠졌다고 보면 된다.] 당시 예하 사단으로는 [[제30기계화보병사단|30사단]], [[제33보병사단|33사단]].[* 지금의 [[수도군단]] 예하 51, 55사단과 [[수도방위사령부|수방사]] 예하 52, 56사단이 창설(사단 증편)된 것은 1980년대의 일이다.] 1974년 [[수도군단]]으로 개편되면서 3군 예속. 참고로 [[5.16 군사정변]] 당시 박정희가 이 곳에서 쿠데타를 지휘했다. [[박정희]] 소장이 6군관구 사령관을 오래 지냈으며 [[김재춘]] 참모장이 쿠데타군의 핵심멤버였기 때문. == 여담 == 50년대에 창설되어, 80년대 초반에 해체되었기 때문에, 나이 좀 많은 사람들말고는 아는사람이 거의 없다. 그래서 노인들이 X관구사령부에 근무했다고 말하면 어리둥절한 경우가 많다. --그 노인은 [[기행부대]]에서 근무했다는 소리다.-- --[[땡보직]]-- [[분류:군단]][[분류:사령부]][[분류:군관구사령부]] [[분류:해체된 대한민국 육군 부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