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강의 댐)] ||<-2> '''{{{+1 군남댐}}}'''[br]郡南댐|Gunnam Dam || ||<-2>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군남댐.jpg|width=100%]]}}} || || '''국가''' ||[include(틀:국기,국명=대한민국)] || || '''착공''' ||[[2007년]] [[10월]] || || '''완공''' ||[[2010년]] [[6월 30일]] || || '''관리기관''' ||[[한국수자원공사|[[파일:한국수자원공사 CI.svg|height=20]]]] {{{-1 군남댐 관리단}}} || || '''유형''' ||홍수 예방, 비상용수 확보 || || '''하천''' ||[[임진강]] || || '''주소''' ||[[경기도]] [[연천군]] [[군남면(연천)|군남면]] 선곡리 || |||| [include(틀:지도, 장소=군남댐, 너비=100%, 높이=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임진강]] 남한 최전방에 위치한 댐이다. [[북한]] [[황강댐]]이 무단방류나 수공을 시도하면 최전선에서 방어할 수 있는 댐이지만, 남한 군남댐은 상류에 있는 북한 황강댐에 비해 5분의 1 수준밖에 되지 않아 북한이 만수위에서 통보 없이 무단 방류하면 임진강 하류의 어구가 손실되는 등 피해가 불가피하다. 군남댐의 규모를 높이면 북한 지역이 수몰되므로 북한을 자극하지 않고자 [[노무현]]정권에서 현재의 규모로 제한하였다는 주장이 있다.[[http://month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nNewsNumb=200910100009|#]] 물론 북한 황강댐의 위협을 막을 수준으로 댐 규모를 높이면 북한 뿐 아니라 남한 지역도 댐 주변 많은 지역이 침수된다. 대한민국은 북한 측에 방류시 통보를 요청했지만 실제 통보는 잘 되지 않아 임진강 하류 어민들은 장마철엔 항상 공포에 떤다. 2009년엔 무단방류 때문에 6명이 사망하는 인명피해도 일어났다.[[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375235.html|#]] 황강댐 방류시 물이 군남댐까지 도착하려면 6~9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사전통보만 하면 대비하는 데 문제가 없으나, 사전통보를 하지 않을 경우 군사분계선 지점에 설치된 횡성수위국(필승교)에서 확인하여야 한다. 이러면 우리에게 주어진 시간은 약 30여 분밖에 없으므로 그대로 당할 수밖에 없다. 실제로 2020년 8월 3일, 중부지방 폭우에 따라 황강댐 수문을 개방해 무단방류를 한 것으로 추정되나 이를 대한민국에 알리지 않았다. [[https://www.youtube.com/watch?v=MUSTRaYHmKQ|관련 기사]] 2022년 6월 말, 폭우로 인해 [[북한]]이 합의를 어기고 [[황강댐]] 무단 방류를 시작했으며 이에 따라 군남댐도 수문을 개방해 방류를 시작했다. [[https://news.jtbc.joins.com/html/517/NB12064517.html|#1]] [[https://imnews.imbc.com/replay/2022/nwdesk/article/6383806_35744.html|#2]]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6806439|#3]]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498832|#4]] 이후 2022년 8월 8일에도 폭우로 인해 수문을 전부 개방해 방류를 시작했다. [[https://imnews.imbc.com/replay/2022/nwdesk/article/6396235_35744.html|#1]]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528079|#2]] [[분류:한강의 댐]][[분류:2010년 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