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external/53b9bea80edc79704c0ac2b533d5a5e967643659ef4f975ec6f4d06ce732af9d.jpg|width=100%]] || ||<-3>
{{{#ffffff '''프로필'''}}} || || '''제목''' ||<-2> '''权御天下'''(Sun Quan The Emperor, 권어천하[* '천하를 통치하는 손권' 이나 '손권, 천하를 통치하다' 등으로 해석 가능 ]) || || '''가수''' ||<-2> [[뤄톈이]] || || '''작곡가''' ||<-2> 乌龟 || || '''작사가''' ||<-2> ST || || '''조교자''' ||<-2> 挨批熊 || || '''연주자''' || 笛 || 康师傅の海鲜面 || || '''마스터링''' ||<-2> 小新xin-kun || || '''일러스트레이터''' ||<-2> 酥妃 || || '''영상 제작''' ||<-2> 墨兰花语 || || '''페이지''' ||<-2> [[http://www.bilibili.com/video/av2075941/|[[파일:빌리빌리 아이콘.svg|height=24]]]] [[https://www.youtube.com/watch?v=hLfbcwf3Am0&feature=youtu.b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 '''투고일''' ||<-2> 2015년 3월 5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권어천하는 우귀(乌龟)가 작곡해 2015년 3월 5일에 뤄톈이의 [[VOCALOID 오리지널 곡]]이다. 비리비리와 유튜브에 업로드되어 있으며, 역대 중국 VOCALOID 오리지널 곡 중에서 가장 유명한 곡 중 하나이자 2번째 전설곡이다. == 상세 == 이 곡은 [[삼국시대(중국)|삼국시대]]를 배경으로 [[손권]]의 인생을 다루며 손권이라는 인물을 평가한다. 손권이 권력을 잡게 된 계기를 설명하고, 업적을 칭찬하며, 노후의 결정적인 실책도 드러낸다. 곡 내에서의 인물들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
무장 || 보컬로이드 || || 손권 || [[뤄톈이]] || || 조조 || [[하츠네 미쿠]] || || 유비 || [[KAITO]] || || 장수 || [[옌허]] || || 주유 || [[웨정링]] || || 노숙 || [[웨정룽야]] || || 여몽 || [[즈위모커]] || || 관우 || [[카가미네 린]] || || 장비 || [[카가미네 렌]]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나무위키 VOCALOID 프로젝트, version=550, paragraph=6.2)] 같은 시리즈로 조조의 생애를 다룬 조과천하라는 곡도 있다. [[https://youtu.be/uOyNsZjDfos]] == 영상 == * 유튜브 [youtube(hLfbcwf3Am0)] * [[http://www.bilibili.com/video/av2075941/|비리비리]] == 가사 == ||
{{{#ffffff 东汉末 狼烟不休}}} || || 동한모 량얀부시우 || || [[후한]] 말, 전쟁이 끊이지 않아 || || {{{#ffffff 常侍乱 朝野陷 阿瞒挟天子 令诸侯}}} || || 창시루안 차오예셴 아만시에티엔즈 링주허우 || || [[십상시]]가 난을 일으키며 조야가 혼란에 빠지고 [[조조|아만]]은 [[헌제|천자]]를 끼고 제후들을 호령하는데 || || {{{#ffffff 踞江东 志在九州}}} || || 쥐쟝동 쥐자이쥐우저우 || || 강동을 차지하고 뜻을 구주에 두어 || || {{{#ffffff 继祖业 承父兄 既冕主吴越 万兜鍪}}} || || 쥐주예 청푸슝 지몐주우위에 완도우머우 || || 조상의 업을 잇고 [[손견|아버지]]와 [[손책|형]]의 뒤를 이어 오월과 많은 병사들의 주인이 되었네 || || {{{#ffffff 纵天下 几变春秋}}} || || 종톈샤 지볜춘취우 || || 그로부터 천하에 [[춘추|봄과 가을]]이 수 차례 변하매 || || {{{#ffffff 稳东南 面中原 水师锁长江 抗曹刘}}} || || 원동난 몐중위엔 쉐이스수어창쟝 캉차오리우 || || 동남을 평정하고 [[중원]]을 마주해 수군을 [[장강]]에 묶어 [[조조]]와 [[유비]]에 맞서 || || {{{#ffffff 镇赤壁 雄风赳赳}}} || || 젠츠비 슝펑지우지우 || || [[적벽대전|적벽을 제압]]하니 영웅의 기세가 당당하고 || || {{{#ffffff 夺荊楚 抚山越 驱金戈铁馬 灭仇雠}}} || || 둬징추 푸샨위에 추진거톄마 몌처우처우 || || [[형주]]를 빼앗고 [[산월]]을 누르며, 용맹무쌍하게 원수를 소멸하네 || || {{{#ffffff 紫发髯 碧色眼眸}}} || || 즈파란 비스어옌머우 || || 자색 수염에 청록색 눈동자 || || {{{#ffffff 射猛虎 倚黄龙 胆识过凡人 谁敌手}}} || || 셔멍후 이황롱 단스궈판렌 셰이디셔우 || || 사나운 호랑이를 쏘고[* 손권은 [[손권#s-4.1.3|사냥을 나가서 호랑이를 활로 쏘거나, 자기가 탄 말을 습격한 호랑이에게 쌍극을 던진]] 일화가 있다.] 황룡에 기대며[* 손권은 황제로 즉위하면서 연호를 황룡(黃龙)으로 고쳤다.] 담력과 식견이 보통사람을 넘어서니 그 누가 대적하리오 || || {{{#ffffff 御天下 半百之久}}} || || 위톈샤 반바이즈지우 || || 천하를 다스린 반백년의 시간 || || {{{#ffffff 选贤臣 任能将 覆江东云雨 尽风流}}} || || 슈엔샨첸 렌넝쟝 푸쟝동윈위 진펑리우 || || 현명한 부하를 택하고 능력있는 장군을 임명해 강동의 비구름을 덮고 바람을 그치게 하였네 || || {{{#ffffff 千秋过 再难回首}}} || || 쳰치우궈 자이난회이셔우 || || 천 년이 지나면 다시 되돌아보기 어려운지라 || || {{{#ffffff 问古今 兴亡事 几人耀青史 芳名留}}} || || 웬구진 싱왕스 지렌야오칭스 팡밍리우 || || 예로부터 흥망하는 일에서 역사에 이름 빛낸 자 몇이나 되던가 || || {{{#ffffff 笑谈间 云烟已旧}}} || || 샤오탄지엔 윈옌이지우 || || 웃으며 이야기 나누면 이미 다 옛일이라 || || {{{#ffffff 终留下 万古摊 生子该当如 孙仲谋}}} || || 종리우샤 완구탄 셩즈가이당루 순종모우 || || 마침내 남기는 비길 데 없는 찬탄, "아들을 낳으려면 [[손권|손중모]]는 되어야지![* 조조가 1차 [[유수구 전투]]에서 손권의 군세를 보며 감탄한 말.]" || || {{{#ffffff 运帷幄 英雄几拂袖}}} || || 윤웨이워 잉슝지푸시우 || || 계책을 구상하며 영웅이 소매를 떨치니 || || {{{#ffffff 阴谋 阳谋 明仇 暗斗}}} || || 인머우 양머우 밍처우 안더우 || || 은밀한 계책, 드러나는 계책, 분명한 적, 암투 || || {{{#ffffff 化作一江浊浪东流}}} || || 화줘이쟝줘랑동리우 || || 흐린 강물결 되어 동으로 흐르네 || || {{{#ffffff 君不见 军赤壁 纵野火 铁锁连环}}} || || 쥔부지엔 쥔츠비 종예훠 티에숴롄환 || || 그대는 보지 못하였는가? [[적벽대전|적벽에 주둔하며 들불을 지르는데]] [[연환계|쇠사슬은 묶여 있던]] 것을 || || {{{#ffffff 也不见 御北敌 联西蜀 长江上鏖战}}} || || 예부지엔 위베이디 롄시슈 창쟝샹아오쟌 || || 또한 보지 못하였는가? [[촉한|서촉]]과 연합해 북쪽의 적을 방어하고 장강 위에서 크게 싸우던 모습을 || || {{{#ffffff 继遗志 领江东 屹立于 神州东南}}} || || 지이즈 링쟝동 이리우 션저우동난 || || 유지를 이어 강동을 통솔해 중국 동남에 우뚝 서고 || || {{{#ffffff 尽心力 洒英血 展伟业 剑气指苍天}}} || || 진신리 사잉쉬에 잔웨이예 지엔치즈창톈 || || 마음과 힘을 다하고 영웅의 피를 흩뿌리니 위업은 펼쳐지고 검기는 푸른 하늘에 곤두선다 || || {{{#ffffff 军帐内 公瑾智 张昭谋 奇策频献}}} || || 준장네이 공진즈 장자오모우 치처핀셴 || || 군막 안의 [[주유(삼국지)|공근]]은 지혜롭고 [[장소(삼국지)|장소]]는 계략에 밝아 뛰어난 계책을 자주 바치고 || || {{{#ffffff 沙场上 太史勇 甘宁霸 一骑当十千}}} || || 샤챵샹 타이스용 간닝바 이치당스쳰 || || 모래사장 위의 [[태사자]]는 용감하고 [[감녕]]은 으뜸가 [[일기당천|한 명이 능히 수천을 상대하네]] || || {{{#ffffff 纵使有 千万种 寂寞和 孤单相伴}}} || || 종시여우 쳰완종 지모허 구단샹반 || || 비록 수많은 적막과 고독만이 따를지라도 || || {{{#ffffff 既受终 冠帝冕 龙椅上 成败也笑看}}} || || 지셔우종 관디몐 룽이샹 청바이예샤오칸 || || 끝내 제위에 올라 면류관을 쓰고 황제의 의자 위에서 성패에 미소짓는다 || || {{{#ffffff 铁甕城 难攻易守}}} || || 톄웡청 난공이셔우 || || [[철옹성]]은 치기 어렵고 지키기는 쉬우니 || || {{{#ffffff 旌旗立 苍空蔽 逾百千雄師 万蒙舟}}} || || 징치리 창콩비 위바이쳰숑스 완멍저우 || || 깃발을 세우면 하늘이 가려지고 수백 수천 정병들이 많은 몽충선을 탔네 || || {{{#ffffff 善制衡 眼光独秀}}} || || 샨즈헝 옌광둬시우 || || 균형을 잘 맞추고 안목이 유독 출중하여 || || {{{#ffffff 擢鲁肃 劝阿蒙 聚贤成霸业 名利收}}} || || 줘루수 쳰아멍 쥐셴청바예 밍리셔우 || || [[노숙(삼국지)#s-1|노숙]]을 뽑고 [[오하아몽|아몽]]에게 [[괄목상대|학문을 권해]] 현인을 모아 패업을 이루어 명예와 이익을 얻었고 || || {{{#ffffff 固疆土 施德恩厚}}} || || 구쟝투 스더언허우 || || 국토를 견고히 하고 은덕을 두텁게 베풀어 || || {{{#ffffff 军心定 百姓安 富国又强兵 重耕耨}}} || || 쥔신딩 바이싱안 푸궈여우챵빙 종겅너우 || || 군심은 안정되고, 백성은 편안하며 [[부국강병|나라는 부유하고 또한 병사는 강해]] 밭 갈고 김매기에 힘쓰네 || || {{{#ffffff 交远好 未雨绸缪}}} || || 쟈오위엔하오 웨이위처우머우 || || 떨어진 자들과 교류하며 미리 준비하여 || || {{{#ffffff 联南洋 合林邑 行军远渡海 驻夷洲}}} || || 롄난양 허린이 싱준위엔두하이 주이저우 || || 남쪽 바다로 향해 [[참파|임읍]]과 닿았으며 멀리 군사를 보내 [[손권/남방 개척#s-4|바다를 건너 이주에 주둔했네]] || || {{{#ffffff 残垣下 枯木凋朽}}} || || 찬위안샤 쿠무댜오시우 || || 허물어진 담 아래에 고목은 시들어 노쇠했는데 || || {{{#ffffff 想当年 麦城边 截兵缚关羽 终其寿}}} || || 샹당녠 마이청볜 졔빙푸관위 종치셔우 || || 그 당시를 생각하니 맥성 변에서 퇴로를 막고 [[관우]]를 잡아 [[형주 공방전#s-5.3.3|그 목숨을 끝냈지]] || || {{{#ffffff 凭栏倚 橫看吴鉤}}} || || 핑란이 헝칸우거우 || || 난간에 기대어 오구[* [[춘추시대]]부터 오나라 지역에서 유행한, 칼날이 곡선으로 휘어진 형태의 칼.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 등에서 무기 아이템으로 나오기도 한다.] 칼을 바라보며 || || {{{#ffffff 叹乱世 几时了 天下归一统 没其咎}}} || || 탄롼스 지스러 톈샤귀이통 메이치저우 || || 난세를 몇 번이고 탄식하나니, 천하가 통일되면 이런 재앙 없으리 || || {{{#ffffff 称帝王 壮心仍稠}}} || || 청디왕 좡신렁처우 || || 제왕을 칭하는 원대한 포부는 여전히 짙은데 || || {{{#ffffff 却无奈 自孤傲 同室亦操戈 子嗣斗}}} || || 쳬우나이 즈구아오 통시이차오거 즈스더우 || || 그러나 교만함을 어찌하지 못하니 [[이궁지쟁|한 집안에서 후계자들이 다투고]] || || {{{#ffffff 千年后 恚恨徒留}}} || || 쳰녠허우 회이한투리우 || || 천년 후[* 문자 그대로 '1000년'이라기보다는 오랜 세월, 또는 군주가 죽은 뒤의 일을 거론할 때에 이런 표현을 쓴다.] 원망만이 남네 || || {{{#ffffff 再何寻 军帐里 将士聚欢饮 赏箜篌}}} || || 자이허쉰 준장리 장스쥐환인 샹콩허우 || || 군막 안에서 장병들이 기쁘게 마시고 [[공후]]를 감상하던 것을 어떻게 다시 찾으리오? || || {{{#ffffff 运帷幄 英雄几拂袖}}} || || 윤웨이워 잉슝지푸시우 || || 계책을 구상하며 영웅이 소매를 떨치니 || || {{{#ffffff 阴谋 阳谋 明仇 暗斗}}} || || 옌머우 양머우 밍처우 안더우 || || 은밀한 계책, 드러나는 계책, 분명한 적, 암투 || || {{{#ffffff 化作一江濁浪东流}}} || || 화줘이쟝줘랑동리우 || || 흐린 강물결 되어 동으로 흐르네 || || {{{#ffffff 君不见 吕子明 踏轻舟 白衣渡川}}} || || 쥔부지엔 뤼즈밍 타칭저우 바이이두촨 || || 그대는 보지 못하였는가? [[여몽|여자명]]이 [[형주 공방전#s-5.3.2.3|가벼운 배에 발을 딛고 흰 옷을 입고 강을 건너던 것]]을 || || {{{#ffffff 也不见 陆伯言 烧连营 火光上冲天}}} || || 예부지엔 리우보얀 샤오롄잉 훠광샹충톈 || || 또한 보지 못하였는가? [[육손|육백언]]이 [[이릉대전#s-2.4|잇닿은 영채를 불태워 그 불빛이 하늘까지 닿던 것]]을 || || {{{#ffffff 善制衡 选贤臣 任能将 共谋江山}}} || || 샨즈헝 슈엔샨첸 렌넝쟝 공머우쟝샨 || || 균형을 잘 맞추며 현명한 부하를 택하고 능력있는 장군을 임명해 강산을 함께 도모했고 || || {{{#ffffff 听忠言 摒逆语 树威严 宝剑斫书案}}} || || 팅종옌 빙니위 슈웨이얀 바오졘줘슈안 || || 충언은 듣고 거스르는 말은 버리며 위엄을 세우고 [[적벽대전#s-3.2.2|탁자를 칼로 갈랐으며]] || || {{{#ffffff 夺荊州 抗刘备 合曹操 共克襄樊}}} || || 둬징저우 캉려우베이 허차오차오 공커샹판 || || 형주를 빼앗고 유비에게 대항했으며 조조와 합해 함께 [[양양(중국 도시)|양양]]을 [[번성 공방전|공격했네]] || || {{{#ffffff 守夷陵 任陆逊 剿敌军 火计破蜀膽}}} || || 셔우이링 런리우쉰 차오디쥔 훠지포슈단 || || [[이릉대전|이릉 방어]]를 육손에게 맡겨 적군을 토벌해 [[이릉대전#s-2.4|화계가 촉의 기세를 무너뜨렸네]] || || {{{#ffffff 固江河 成帝业 立国家 终归于乱}}} || || 구쟝허 청디예 리궈쟈 종귀위란 || || 강을 따라 방어하고 제업을 이뤄내 [[오(삼국시대)|국가를 세웠으나]] 결국에는 [[오멸망전|혼란으로 돌아가니]] || || {{{#ffffff 光阴逝 千载过 功成者 都付笑谈间}}} || || 광인스 쳰자이궈 공청줘 더우푸샤오탄지엔 || || 세월은 흐르고 천 년이 지나 공적이란 것은 모두 이야깃거리나 되고 만다네 || || {{{#ffffff 君不见 军赤壁 纵野火 铁锁连环}}} || || 쥔부지엔 쥔츠비 종예훠 티에숴롄환 || || 그대는 보지 못하였는가? 적벽에 주둔하며 들불을 지르는데 쇠사슬은 묶여 있던 것을 || || {{{#ffffff 也不见 御北敌 联西蜀 长江上鏖战}}} || || 예부지엔 위베이디 롄시슈 창쟝샹아오쟌 || || 또한 보지 못하였는가? 서촉과 연합해 북쪽의 적을 방어하고 장강 위에서 크게 싸우던 모습을 || || {{{#ffffff 继遗志 领江东 屹立于 神州东南}}} || || 지이즈 링쟝동 이리우 셴저우동난 || || 유지를 이어 강동을 통솔해 중국 동남에 우뚝 서고 || || {{{#ffffff 尽心力 洒英血 展伟业 剑气指苍天}}} || || 진신리 사잉쉬에 잔웨이예 지엔치즈창톈 || || 마음과 힘을 다하고 영웅의 피를 흩뿌리니 위업은 펼쳐지고 검기는 푸른 하늘에 곤두선다 || || {{{#ffffff 君不见 吕子明 踏轻舟 白衣渡川}}} || || 쥔부지엔 뤼즈밍 타칭저우 바이이두촨 || || 그대는 보지 못하였는가? 여자명이 가벼운 배에 발을 딛고 흰 옷을 입고 강을 건너던 것을 || || {{{#ffffff 也不见 陆伯言 烧连营 火光上冲天}}} || || 예부지엔 리우보얀 샤오롄잉 훠광샹충톈 || || 또한 보지 못하였는가? 육백언이 잇닿은 영채를 불태워 그 불빛이 하늘까지 닿던 것을 || || {{{#ffffff 善制衡 选贤臣 任能将 共谋江山}}} || || 샨즈헝 슈엔샨첸 렌넝쟝 공머우쟝샨 || || 균형을 잘 맞추며 현명한 부하를 택하고 능력있는 장군을 임명해 강산을 함께 도모했고 || || {{{#ffffff 听忠言 摒逆語 树威严 宝剑斫书案}}} || || 팅종옌 빙니위 슈웨이얀 바오졘줘슈안 || || 충언은 듣고 거스르는 말은 버리며 위엄을 세우고 탁자를 칼로 갈랐으며 || || {{{#ffffff 纵使有 千万种 寂寞和 孤单相伴}}} || || 종시여우 쳰완종 지모허 구단샹반 || || 비록 수많은 적막과 고독만이 따를지라도 || || {{{#ffffff 既受终 冠帝冕 龙椅上 成败也笑看}}} || || 지셔우종 관디몐 룽이샹 청바이예샤오칸 || || 끝내 제위에 올라 면류관을 쓰고 황제의 의자 위에서 성패에 미소짓는다 || || {{{#ffffff 固江河 成帝业 立国家 终归于乱}}} || || 구쟝허 청디예 리궈쟈 종귀위란 || || 강을 따라 방어하고 제업을 이뤄내 국가를 세웠으나 결국에는 혼란으로 돌아가니 || || {{{#ffffff 光阴逝 千载过 功成者 都付笑谈间}}} || || 광인스 쳰자이궈 공청줘 더우푸샤오탄지엔 || || 세월은 흐르고 천 년이 지나 공적이란 것은 모두 이야깃거리나 되고 만다네 || [[분류:VOCALOID 오리지널 곡/201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