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파일:5cb2ec160081e.png|height=30]] '''{{{+1 [[WK리그]] 해설 위원}}}''' || ||<-3> [[파일:권예은1.jpg|width=100%]] || ||<-2> {{{#ffffff ''' 이름 ''' }}} || '''{{{+1 권예은}}}[br]權睿恩 | Gwon Ye-Eun''' || ||<-2> {{{#ffffff ''' 출생 ''' }}} ||[[1991년]] [[5월 13일]] ([age(1991-05-13)]세) || ||<-2> {{{#ffffff ''' 국적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8]] [[대한민국]] || ||<-2> {{{#ffffff ''' 신체 ''' }}} ||163cm || ||<-2> {{{#ffffff ''' 직업 ''' }}} ||[[축구 선수]] ([[공격수]] / ^^은퇴^^)[br][[해설 위원]] || ||<-2> {{{#ffffff ''' 학력 ''' }}} ||[[오주중]] - [[동산정보산업고등학교|동산정산고]] - [[한양여대]] || ||<-2> {{{#ffffff ''' 가족 ''' }}} ||[[부모님]] - [[오빠]]^^(1986년생)^^ || ||<|2> {{{#ffffff ''' 소속 ''' }}} || {{{#ffffff ''' 선수 ''' }}} ||[[수원시시설관리공단 여자 축구단]] (2012~2016) || || {{{#ffffff ''' 기타 ''' }}} ||[[WK리그]] (2017~ / ^^해설 위원^^)[br][[tvN]] (2022 / ^^해설 위원^^)[* [[2022 AFC 여자 아시안컵 인도]] 해설위원을 맡았다.] || ||<-2> {{{#ffffff ''' 국가대표 ''' }}} ||6경기 ^^([[대한민국 여자 U-17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17]] / 2007)^^ || ||<-2> {{{#ffffff ''' 링크 ''' }}} ||[[https://www.instagram.com/kwon.yeeun/|[[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instagram.com/womanground_officia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한국여자축구문화진흥협회,, | [[https://www.youtube.com/channel/UCirrmCodLUL-2jmtZIx1dj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한국여자축구문화진흥협회,,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前 [[여자 축구]] 선수, 現 해설 위원. 최초의 [[WK리그]] 선수 출신 해설 위원이자 한국여자축구문화진흥협회인 우먼그라운드를 설립해 아마추어를 대상으로 여자 축구 보급에 힘쓰는 등 여자 축구계에서 선구자적인 행보를 이어나가는 인물. == 선수 경력 == 2012 WK리그 신인 드래프트에서 전체 8순위로 수원시시설관리공단의 지명을 받아 입단했다. 당시 수원시시설관리공단이 1차 지명으로 데려갔을 정도로 촉망받는 공격수였다. 당해 드래프트 전체 1순위는 신생팀 [[전북 KSPO]]의 지명을 받은 김상은[* 현재 [[세종 스포츠토토]] 소속]. 2012 드래프트는 이들 외에도 권은솜, 지선미, [[이민아]], [[서현숙(축구선수)|서현숙]], [[강유미(축구선수)|강유미]], [[문미라]] 등 현재 리그 정상급 선수로 발돋움한 선수들이 쏟아져 나온 해였다. 하지만 권예은은 입단 이후 잦은 부상에 시달리며 제 기량을 온전히 펼치지 못했고, 결국 2016 시즌을 마지막으로 짧은 선수 생활을 마무리했다. 하지만 이 시절 우연히 만난 인연이 훗날 권예은의 행보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 은퇴 이후 == 2017년 6월부터 WK리그 해설위원으로 투입되었다. [[2016 리우 올림픽]] 여자 축구 아시아 최종예선 당시 [[심서연]]이 객원 해설을 맡은 적은 있었지만, WK리그 선수 출신이 전업 해설위원이 된 사례는 권예은이 최초다. 12월에는 김태륭, [[김민구(해설가)|김민구]]와 함께 [[EAFF E-1 챔피언십 여자부/2017년|2017 EAFF E-1 챔피언십]] 해설을 맡으며 A매치 해설에도 데뷔했다. 이후 [[2022 AFC 여자 아시안컵 인도|2022 여자 아시안컵]]과 2023 [[아놀드 클라크컵]]등의 A매치에도 해설위원으로 활약하고 있다. 동시에 한국여자축구문화진흥협회 우먼그라운드를 통해 아마추어 여자 축구 보급에 힘쓰고 있다. 또한 과천시여성축구단 과천아리의 [[선수 겸 감독]]으로도 활동 중이다. == 여담 == * 해설위원을 시작했을 때 고생을 엄청나게 했다고. 본래 해설을 준비하던 케이스가 아니라 전임자가 나가면서 공석이 된 자리에 급하게 들어온 케이스였기 때문에 처음에는 카메라도 제대로 쳐다보지 못하고 자신이 무슨 말을 했는지도 잘 기억하지 못했다고 한다. 또한 매주 1~2회의 지방 출장[* WK리그 팀들은 서울, 수원, 인천뿐만 아니라 보은, 화천, 경주 등 수도권에서 대중교통으로는 내려가기 까다로운 곳들에 연고지를 두고 있다. 2018 시즌부터는 창녕까지 가세. 특히 보은, 화천, 그리고 창녕은 철도와 고속버스가 둘 다 없어서 시외버스에 의존해야 하는 상황이다.]이 이어지면서 링거에 의존하는 날들도 많아졌다고 한다. 2018 시즌부터는 중계진 뎁스가 늘어나면서 로테이션으로 해설을 맡는 중이다. 그리고 현재는 WK리그 가리지 않고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에도 참여하는 해설위원이 되었다. * 여자 축구 전문 콘텐츠 제작 채널인 '채널 임투파'에서 진행하는 플라스틱 줄이기 챌린지에 [[주수진]]과 함께 출연했다. [youtube(1GbKP2M-k5M)] [[분류:1991년 출생]][[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축구 선수]][[분류:공격수(여자)]][[분류:서울동산고등학교 출신]][[분류:한양여자대학교 출신]][[분류:수원 FC 위민/은퇴, 이적]][[분류:축구 해설자]][[분류:대한민국의 여성 유튜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