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워크래프트 3/언데드 스컬지)] [[파일:external/classic.battle.net/hauntedgoldmine.gif]] 건설비용: 금 225 / 나무 210 건설시간: 100초 체력: 950 아머: 건물(5) 기능: [[수행사제|애콜라이트]]가 [[금(워크래프트 시리즈)|금]]을 캘 수 있게 하는 건물 [목차] == 설명 == Haunted Gold Mine. Hunted가 아니다.[* [[유령의 집]]의 영어 철자가 Haunted Mansion이다.] 일단 가격이 미칠듯이 비싸다. [[오크 호드|오크]]의 [[그레이트 홀]]이 금 385, 나무 185이고 다른 건물도 마찬가지인데, 본진 역할을 하는 건물보다 딱히 싸지 않다. 물론 금이 덜 들어가지만 나무를 더 내야 한다. 그래놓고는 '''포탈 지원'''을 해주지 않는다. 포탈에 쓰일 [[네크로폴리스(워크래프트 3)|네크로폴리스]]까지 지으면 '''금 450, 나무 210'''으로 그레이트 홀보다 비싸지는 셈이다. 거기다 아래에 써 있듯 일꾼을 지켜주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앞에다가 타워도 몇 개 지어줘야 하는데, 언데드는 [[지구라트#s-2.1.1|타워마저도 전 종족 중 제일 비싸다.]] 이 정도면 대체 자원이 얼마나 깨지는 건지… 타워가 밥집도 겸하므로 인구수가 막히지 않게 타워도 일꾼이랑 같이 지켜야 하는 건 덤이다. 이쯤되면 단점 간에 시너지를 일으키도록 설계된 게 아닌가 의심이 될 정도. [[나이트 엘프 센티널|나이트 엘프]]와 비슷하게 일꾼이 그 자리에서 금을 캐는 방식이라서 비교당할 수밖에 없는데 나이트 엘프는 본진 건물을 지으면 거기서 인탱글드 골드 마인을 '''공짜로''' 만들어서 사용한다. 아니, 아예 광맥이 고갈된 본진 건물을 옮기면 '''본진 건물을 새로 지을 필요도 없다'''. 거기다 나이트 엘프의 [[위습(워크래프트 시리즈)|위습]]은 [[뿌리 내린 금광|인탱글드 골드 마인]]이라는 건물 안에 들어가서 금을 캐므로 위습이 테러당할 일이 없지만 [[언데드 스콜지|언데드]]는 돈은 돈대로 바쳐놓고는 '''얄짤없이 애콜라이트들이 노출되어 있는지라''' 그냥 털린다. 그래서 멀티를 완성해도 [[블레이드 마스터(워크래프트 3)|블레이드 마스터]], [[워든(워크래프트 3)|워든]] 같은 영웅이나 유닛에게 금을 채취하던 애콜라이트가 학살당해서 멀티를 제대로 돌릴 수가 없다. 결국 언데드가 멀티를 하기 어려운 이유는 이 헌티드 골드 마인 때문이다. 오죽했으면 애콜라이트가 돌아가면서 금을 캐는 [[회전목마]] 방식이 나왔겠는가? 아이러니한 것은 이렇게 일꾼들이 금광 안에 들어가면 보호받는 나이트엘프는 야언좆과 반대로 [[사나난]] 취급을 받았다는 것. 심지어 나엘은 위에서 포탈을 제공해주지 못한다는 단점마저 없다. 애초에 인탱글드 골드 마인은 헌티드 골드 마인과는 달리, '''공짜'''니까. 현재 사나난의 시대는 끝났다지만 그것도 지속적인 너프로 겨우 끝났고 야언좆은 아예 아직도 야언좆 소리를 계속 듣는다는 것을 생각할 때 이 차이가 얼마나 컸는지 짐작해 볼 수 있다. 짓고 나서도 위와 같이 방어에 애로사항이 꽃피지만 짓는 도중에는 더 취약한데 헌티드 골드 마인의 HP는 950이다. 비록 빌드 타임이 100초로 다른 종족의 홀보다는 20초 짧지만, 홀보다 낮은 HP로 인해 건설이 반 이상 진행되었어도 소수 병력에게라도 찔리면 얄짤없이 캔슬이다. 아니, 방어하고 대기타고 있어도 강제 어택 당하면 캔슬을 누를 수밖에 없다. 캔슬 못하면? 금 225랑 나무 210이 그냥 날아가는 거다. 언데드가 약했던 예전에는 대다수의 사람들이 건설비용 중 금 비용만 낮춰주면 언데드가 멀티를 수월하게 할 수 있어 더 전략이 다채로워짐으로서 언데드가 약체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하기도 했다. --정확히는 언데드가 상향 먹은 게 아니라 유저들이 지옥같은 난이도에 적응한 거지만.-- 현재는 언데드 유저들의 실력이 상향 평준화가 되면서 언데드가 전 종족 상대로 괜찮다고 평가받고 있기에 멀티를 쉽게 할 수 있도록 만들어달라는 징징은 거의 사라졌지만, 여전히 애콜 방호 기능을 원하는 언데드 유저들은 많다. 실제로 헌티드 골드 마인에 일꾼 방호 기능을 줄 경우 언데드가 얻을 수 있는 장점이 매우 많은데, 1. 굳이 지구라트를 붙여 지을 필요가 없게 되므로 [[고블린 셰퍼]]의 테러에 지구라트가 2개씩 날아가는 문제도 해결된다. 2. 타워를 전진배치 시킬 수 있으므로 본진 홀의 칠링 공격과 타워를 끼고 농성을 하면 상대방이 언데드 본진에서 싸우기 버거워진다. 3. 초반 애콜라이트 보호를 위해 지어야 했던 지구라트 심시티와 네루비안 타워에 들어가는 자원을 유닛 생산이나 테크를 올리는데 쓸 수 있다. 이런 여러가지 장점을 한 번에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헌티드 골드 마인에 일꾼 방호 기능을 넣기가 애매하다. 단순히 약점만 사라지는 게 아니라 장점까지 여러개 얻는 거라… 여담으로 자원을 다 캐면 자동으로 언서먼되고 자원도 들어온다. 언서먼은 본래 건물 건설 비용의 일부를 되돌려주는 것이지만 본진 금광은 이게 공짜로 처음부터 지어져있으므로 타 종족은 얻을 수 없는 무료 자원이 더 있는 셈이다. 타 종족의 금광 채취 수단들에 비해 유일한 장점… 1.30 패치 이후로 가격이 싸지고 블라이트 범위가 줄어들어 몰래 멀티할 때 덜 들키게 되었다. 오리지널 베타 테스트 시절에는 인탱글드 골드 마인처럼 방호 기능이 있어서 애콜라이트가 들어가면 보호막이 생겨 헌티드 골드 마인이 파괴될때까지 안에 있는 애콜라이트가 공격받지 않았었다. 그러나 위의 설명대로 여러가지 장점들이 생기기 때문에 그로 인한 밸런스 문제로 인해 삭제한걸로 보인다. MBC Prime League V 및 MBC Game Warcraft League에서 쓰였던 [[https://liquipedia.net/warcraft/The_Blue_Rose|The Blue Rose]]는 누가 봐도 언데드를 죽이는 전장이었다. 금광 앞에 문이 파괴되기만 하면 금광이 앞으로 노출되는 것과 같아서, 언데드가 금광을 지킬 방법이 없었다. 이어 [[오데사]](Odessa)는 프라임 MBC Prime League 3~5 및 MBC Game Warcraft League에서 쓰였는데, 금광은 본진 안에 있었으나 전후좌우로 공간이 넓어 건물로 적들의 진입로를 막을 방법이 없었다. MBC Prime League 2~3에 쓰였던 Ilios(일리오스)도 예외는 아니다. == 프로게이머들의 해결책 == 상술한 문제점들로 인해 언데드는 멀티를 할 때는 1)몰래하거나, 2)주도권을 쥐고 상대방을 흔들어 소극적으로 만든 다음에 가져가는데 두 경우 전부 변칙을 쓰거나 상대방보다 실력이 높아야 해서 어렵다. 보통 멀티를 하기보다는 한 방 크게 모아서 한 타 싸움으로 끝내려고 하는 경우가 대다수. 전자의 경기 예시는 [[https://play-tv.kakao.com/embed/player/cliplink/37735808|WTL2 올스타전 결승전_ReprisaL(H) vs Believe(U) 1경기]] [[https://play-tv.kakao.com/embed/player/cliplink/41581960|AWL1 34위_Believe(U) vs Chobo(O) 3경기]] Shadow League 1차시즌 Trophy of Legend Infi VS Fov [[https://youtu.be/Baf8RJlivE4|1]] [[https://youtu.be/18Jufm9_4hs|2]] [[https://youtu.be/5iZz8wYYyuE|3]] [[https://youtu.be/JMy5KrZ-vWY|4]] [[https://youtu.be/poGjghVvq6k|Focus vs Rain]] [[https://youtu.be/SkSFDFTg5dM|MYM Lucifer vs mouz.ToD]] [[https://youtu.be/wefNzl210hA|ESL 2010 mouz.Hasu vs n/faculty/sokol 5set]] [[https://youtu.be/M9b7VpYmwtc&feature=c4-overview&list=UUam2aB0vAwcC8UnTm8SJu7A|WGT 2013 4강 패자조 Infi VS TeD 3경기]] [[http://v.youku.com/v_show/id_XMTIyOTIxNzQ4.html|Shadow League Trophy of Legend (传奇杯) Moon VS Fov 1경기]] [[https://youtu.be/U96Q1jkuI9g|Zotac Cup Round of 4 Believe(aRi) vs TyLoo_Th000 3set]] 후자의 경기 예시는 [[https://youtu.be/3dbIMVRlQSU|The War Cast - Lucifer (UD) vs Infi (HU) - G3 - WC3 #65]] [[https://youtu.be/eYIIXLflI9E|The War Cast - Lucifer (UD) vs Infi (HU) - G1 - WC3 #63]] [[http://www.soku.com/search_video/q_AWL%E8%81%94%E8%B5%9B%E5%8D%8A%E5%86%B3%E8%B5%9BLucifer%E5%A4%A7%E6%88%98%E6%9A%B4%E9%A3%8E%E4%BA%BA%E6%97%8FStoRm|AWL Lucifer vs StoRm 3,4,5]] [[https://play-tv.kakao.com/embed/player/cliplink/41582192|AWL1 34위_Believe(U) vs Chobo(O) 5경기]] [[https://youtu.be/x2iGJVOnNnI|Warcraft - Lucifer vs Nova]] [[https://play-tv.kakao.com/embed/player/cliplink/46374849|MainBlock AWC 16강 Yumiko VS Belive 3경기]] [[https://youtu.be/qVAyF_WhLrY|WEG 2005 Moon VS Lucifer]] [[https://youtu.be/CVQXmKqK6x0|Zotac Cup 269회 4강 th000 VS passion 1경기]] [[https://youtu.be/MNuZIFqKU_0|ZOTAC Cup 290회 TH000 VS TeD]] [[https://youtu.be/hS5JIVi_npc|Zotac Cup 256회 Lucifer -vs- TH000 결승 2경기]] [[https://youtu.be/v-GIN2JWJuE|Lucifer vs DongGuierJin]] [[노재욱(프로게이머)|노재욱]]이 [[World Cyber Games|WCG]] 2013 예선에서 미리 대기시킨 제플린으로 일꾼을 피난시켜 언데 금광의 약점을 보완했다. [[https://tv.kakao.com/channel/2658150/cliplink/53720794|#]] [[분류:워크래프트 3/건물]][[분류:스컬지(워크래프트 시리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