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1 均質壓延裝甲, Rolled Homogeneous Armour(RHA)}}} [[전차]]나 [[장갑차]] 등의 기갑차량에 주로 쓰이는 [[장갑(무기)|장갑]]의 일종. 장갑 전체가 균질하게 [[압연]]공정으로 제조된 [[강판]]으로 이루어진 장갑이다. == 상세 == [[압연]]이란 [[밀가루]] [[반죽]]을 쭉 밀듯이 롤러로 상온이나 가열 상태의 금속재를 밀어서 원하는 두께와 강도로 만드는 것이다. 흔히 제철소 자료 화면에서 롤러로 줄줄이 밀려나오는 [[강판]]들이 바로 압연작업을 거치고 나오는 것. 압연장갑은 강재를 여러겹 겹쳐 압연과정을 거치면서 하나의 장갑판으로 일체화시키면서 동시에 그 구조를 균질화한 것이다. 균질압연강판은 그 특성상 용접면과 같은 접합부를 제외한 장갑판 전체가 동일한 방어력을 가지며, [[주조장갑]]처럼 불특정 부위에 기포같은 불량이 발생해서 그 부분이 취약해지거나 [[표면경화장갑]]의 경우처럼 열처리가 잘못되어 경화된 층이 떨어져나가거나 한 번 표면에 금이 가면 방호력이 급격히 떨어지는 등의 단점이 없기에 안정적인 방호력을 가질 수 있다. 거기에 원래부터 압연강판은 [[전함]]의 장갑을 만드는 데 기초 재료로 사용되는 등 수요가 많았기에 공급량도 많았고, 공정 자체의 생산성도 상당히 뛰어났기 때문에 [[강철]] 재질로서는 만들기 최적의 장갑이었던 것이다. 일반 [[강철]] 재질로 된 균질압연장갑도 기본적인 방호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강철에 강도나 인성을 더해주는 [[니켈]]이나 [[몰리브데넘]]같은 금속을 미량 첨가한 [[합금강]]을 사용하는 경우 특히 [[운동 에너지탄]]에 대해 탁월한 방어력을 자랑하게 된다. 균질압연장갑은 [[용접]]을 하느냐 [[볼트]]를 쓰느냐 [[리벳]]을 쓰느냐와 같이 장갑판끼리 접합하고, 분할된 장갑판 사이의 결합부를 고정하는 방식에만 차이가 있다. 이런 특성상, 피탄된 부위를 잘라내고 새로운 장갑재를 용접하거나, 파손 정도가 좀 심하면 기존 장갑판을 통째로 뜯고 갈아낼 수 있어서 수리 과정도 비교적 간단하다[* 다만 기존 장갑판을 거의 다 뜯어낼 정도의 큰 손상이면 수리하기보다는 차량을 폐기하고 부품 재생 절차로 들어가는 경우도 많다. 그리고 분할된 부품들이 접합되는 방식은 역으로 결합 부위가 취약하다는 의미라서 겉으로 드러나는 접합부위가 없는 주조장갑과 대비되는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현대에도 고정을 위한 접합부위가 장갑에서 방어력이 다소 떨어지는 부위인 경우가 많으나, 그래도 기술의 발달로 2차대전 시절만큼 크게 두드러지는 문제는 아니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이미 [[제1차 세계 대전]]말부터 균질압연장갑이 [[전차]]와 [[장갑차]]의 장갑으로 널리 사용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에는 [[6호 전차 티거|티거]]와 같이 장갑이 두꺼운 전차에 용접으로 접합되어 주로 사용되었다. 그리고 [[냉전]]이 시작되고 [[주력 전차]]의 시대가 온 뒤와 [[주조장갑]]이 많이 확산된 상태에서도 여전히 균질압연장갑이 적지 않게 쓰였고, [[2세대 전차]]를 만드는데까지 [[주조장갑]]과 함께 주로 쓰였다. 하지만 [[대전차미사일]]과 [[성형작약]] 등의 대전차 무기에 방어력의 한계를 드러내게 된다. [[냉전]]시대부터는 균질압연장갑만 하나로만 만드는 장갑의 한계가 드러나기 시작했기 때문에[* 특히 당시의 [[운동 에너지탄]]보다는 [[성형작약탄]]과 [[대전차미사일]]같은 폭발성 [[화학 에너지탄]]을 상대로 단일 강철 장갑이 쉽게 무력화 되었다.] 현재는 RHA 하나만으로 장갑을 만드는 경우는 없다. 대부분의 [[3세대 전차]]부터는 RHA 판 사이에 세라믹과 같은 고강성 에너지 흡수 재료를 넣은 [[복합장갑]]을 사용하며, RHA 강판은 이때 복합장갑의 구조를 잡는데만 대부분 쓰인다[* 다만 [[3세대 전차]]들도 매우 가파른 경사를 준 [[경사장갑]]으로 설계한 전면 상부 장갑은 균질압연장갑으로만 만들어도 방어력이 충분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다른 부위에는 [[복합장갑]]이나 [[반응장갑]]이 추가되어도 차체 전면 상부 장갑은 강도와 경도가 충분한 균질압연장갑인 고경도압연강판(High Hardness Armour, HHA)으로만 만드는 경우도 있다.]. 또한 균질압연장갑판 위에 폭발성/비폭발성 라이너를 넣는 [[반응장갑]]을 추가하여 방어력을 더 확보하기도 한다. 전차를 비롯한 여러 전투 차량의 차체에도 여전히 주된 구조 재료로는 RHA가 사용되고 있다. 한때 표준적인 장갑이었기 때문에 냉전기부터 등장한 [[반응장갑]]이나 [[복합장갑]]같은 다른 종류의 장갑들도 그 방어력 성능을 표현하는데는 균질압연장갑이 비교 대상이 된다. 주로 장갑재의 방어력이 두께 얼마 mm에서 '균질압연강판(RHA) 몇 mm와 동급'이라는 식으로 나타내고 있다. 다만 [[화학 에너지탄]](주로 대전차고폭탄)과 [[운동 에너지탄]]에 대해 각각 대응능력이 다르기 때문에 양쪽을 모두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 관련 문서 == * [[장갑(무기)]] * [[주조장갑]] * [[복합장갑]] [[분류:장갑(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