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nclude(틀:체스게임, info=, a8= , b8= , c8= , d8=XX, e8= , f8= , g8= , h8= , a7=XX, b7= , c7= , d7=Bw, e7= , f7= , g7= , h7= , a6= , b6=Nb, c6= , d6= , e6= , f6=XX, g6= , h6= , a5= , b5= , c5= , d5= , e5=Rb, f5= , g5= , h5= , a4= , b4=XX, c4=Pb, d4=QW, e4= , f4=Bb, g4=XX, h4= , a3= , b3= , c3= , d3=Qb, e3=Rw, f3= , g3= , h3= , a2= , b2=Nw, c2= , d2=XX, e2= , f2=XX, g2= , h2= , a1=XX, b1= , c1= , d1= , e1= , f1= , g1= , h1= , caption=)] || || 그래스호퍼의 행마 || [목차] [clearfix] == 개요 == Grasshopper. 변형 체스의 기물 중 하나로, [[퀸(체스)|퀸]]과 같이 모든 방향 이동할 수 있으나 이동할 때 [[장기]]의 포[* 다만 포와도 행마법상 차이점이 존재하는데, 포는 평상시에는 직선 이동만이 가능하고 궁성 내부에서만 대각선으로도 이동이 가능해지지만, 그래스호퍼는 뛰어넘을 수 있는 기물만 존재한다면 직선과 대각선 모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다만, 뛰어넘고 바로 그 다음 칸에만 놓을 수 있다. 또한 포는 같은 포를 잡을 수 없고 뛰어넘을 수도 없지만, 그래스호퍼는 같은 그래스호퍼를 잡을 수 있고 뛰어넘을 수도 있다.]처럼 반드시 다른 기물 하나를 뛰어넘어야 한다. == 특징 == 기물을 뛰어넘어야만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퀸보다는 약하지만, 여러 전술에 활용도가 높아 가치가 그렇게까지 낮지는 않다. 하지만 마이너 피스이기 때문에 대략적인 가치는 5~6점 정도이다. 이러한 특이한 행마 덕분에, 기물들이 많이 남아 있지 않을수록 강한 다른 기물들과는 달리 [[캐논(체스)|캐논]]과 마찬가지로 '''기물들이 많이 남아 있을수록 강하다.'''[* 다만 캐논과는 행마법이 또 다른 게, 캐논은 적의 기물을 포획할 때만 다른 기물을 뛰어넘어야 하고 적어도 평상시에는 단독 행마가 가능하지만, 그래스호퍼는 평상시에도 무조건 다른 기물을 뛰어넘어야만 하며 '''절대로 단독 행마를 해서는 안 된다.''' 다만 캐논은 [[룩(체스)|룩]]처럼 직선으로만 움직일 수 있고 대각선으로는 움직이지 못하는 데 반해 그래스호퍼는 뛰어넘을 수 있는 기물이 있기만 하다면 [[퀸(체스)|퀸]]처럼 직선과 대각선 모든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기에 실질적인 가치는 그래스호퍼가 더 높다.] 또한 [[아마존(체스)|아마존]]을 아마존의 공격 범위 밖에서 공격할 수 있는 몇 없는 기물 중 하나이기도 하다. == 여담 == 체스 퍼즐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변형 체스 기물 중 하나이다. 체스 사이트 [[Chess.com]]의 변형 체스들에서 킹의 역할로 자주 등장하는 기물이다. 그래스호퍼는 상대의 그래스호퍼의 공격 범위 밖에서 상대의 그래스호퍼를 공격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래스호퍼가 로얄 기물[* 기존 체스의 킹과 같이 잡히기 직전 상태에 처하면 지는 기물]인 경우 그래스호퍼가 그래스호퍼를 체크하는 것도 가능하다. [[분류:변형 체스 기물]][[분류:나무위키 체스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