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000FF><:> '''{{{#fff {{{+2 그랜드 라인 }}} [br] Grand Line}}}''' || ||<-2> [[파일:external/www.teamliquid.net/276_Grand%20Line.jpg|width=400]] ||<-2> [[파일:external/repdepot.net/2369.jpg|width=400]] || ||<:><-2> 그랜드라인1.0 ||<:><-2> 그랜드라인 SE || ||<-4><#FF2400> '''{{{#white 사용된 공식 리그}}}''' || ||<-4><:>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4, 5 라운드[br][[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1, 2 라운드 || ||<-4><#FF2400> '''{{{#white 모든 버전에서의 종족별 밸런스}}}''' || ||<-2> 그랜드 라인 ||<-2> 그랜드 라인 SE || || 테란 : 저그 || 7 : 6 || 테란 : 저그 || 37 : 24 || || 저그 : 프로토스 || 5 : 3 || 저그 : 프로토스 || 16 : 8 || || 프로토스 : 테란 || 14 : 12 || 프로토스 : 테란 || 21 : 20 || [목차] == 개요 ==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4라운드부터 사용된 맵. 데이터에서 보듯이 테사기 맵중 하나. 사막(desert) 타일셋을 이용해서 만든 맵으로 [[철의 장막(스타크래프트)|철의 장막]]을 연상시킨다. 마치 만화 [[원피스(만화)|원피스]]에 나오는 [[위대한 항로|그랜드 라인]][* 정확히는 [[레드라인]].]처럼 맵 전체를 가르는 거대한 능선이 있다. 맵 이름도 같은 걸 보면 모티브가 아닌가 싶지만, 그랜드 라인은 만화와 관계 없이 그냥 거대 산맥을 뜻한다고 한다. == 상세 == 스타팅 포인트에 따라서 경기 형태가 3가지 형태로 나뉜다는 게 큰 특징. 위치에 따른 유불리도 심한 편이어서 [[테프전]]에서 가로 형태로 배치되면 [[테란]]이 전진하면서 언덕을 장악하고 12시와 6시 멀티를 먹을 수 있기 때문에 테란이 다소 우세하다. 가운데 산맥 부분은 대부분 건물을 지을 수 없는 지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테란을 견제하기 위함인 듯. 실제로 이것 때문에 피본 테란이 많다. [[광물(스타크래프트 시리즈)|미네랄]] 멀티가 스타팅 포인트 바로 옆에 있고 입구 막기가 좋다는 점, 섬멀티의 중요성이 높은데 수비하기가 좋다는 점 등이 맞물려 멀티를 가져가기는 쉬우나 깨뜨리기는 어렵다는 특징이 있어 장기전이 자주 나온다. [[도재욱]]이 이 맵에서 꽤 좋은 성적을 거두었기에 그랜\''''도''''\ 라인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5라운드에 들어서는 그랜드 라인 SE 2.0라는 이름으로, 가운데 지형이 약간 수정되어 나왔다. 이 맵에서 벌어진 명경기로는 통칭 '''[[정찰기(스타크래프트 시리즈)|다다다다다]]''' 사건으로 유명한 [[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 vs. [[윤용태]]와의 [[https://www.youtube.com/watch?v=vP-4TFuu-es|경기]]가 있다. 그리고 [[구성훈]]의 [[YOU JUST ACTIVATED MY TRAP CARD]] 세레머니로 유명한 vs. [[박재혁(1987)|박재혁]]과의 [[https://www.youtube.com/watch?v=U5ugEQYIjXI&t=1625s|경기]]가 있다. [[이경민(프로게이머)|이경민]]이 5시멀티를 캐리어 컨트롤과 하이템플러로 철통방어하면서 김도우를 이겨낸 [[https://youtu.be/SEGsM4xLj-0|경기]]가 있다. [[WCG]] 2010 한국대표 선발전 결승 [[리쌍록]] [[https://youtu.be/7fAayHD_qNo|1경기]]도 유명하다.[* 영상 조회수가 스타크래프트 경기영상 치고는 상당히 높은 '''200만 회''' 이상이다.] 아무래도 WCG는 비공식전으로 취급되어 공식 개인전보다 다소 낮은 대접을 받는 경향이 있는데다 경기 자체의 중요도도 아주 높지는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아니 오히려 그랬기 때문인지 [[이영호]], [[이제동]] 모두 [[날빌]] 없이 정석적인 운영으로 승부하여 전 멀티를 다 먹고 [[전투순양함|배틀크루저]]와 [[포식귀|디바우러]]까지 쌓이는 장기전이 나왔다. 과연 [[리쌍록]]다운 명경기라는 평가를 받았으며 결과는 꾸준히 병력을 지키며 뒷심을 유지한 이영호의 승. 이영호 또한 이렇게까지 장기전이 나올 줄은 몰랐는지 승리 직후 질렸다는 듯 허탈한 웃음을 지었다.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시즌 1, 2라운드에서는 앞마당 입구가 완전히 막히지 않는 2.2 버전으로 쓰였고 3라운드에서 [[라만차]]로 교체되었다. 그 뒤로 잘 쓰이지 않다가 [[무 프로리그]]에 투입되어 [[김윤중(프로게이머)|김윤중]]과 [[이영호]]의 4강전 경기 등 명경기를 만들어내며 호평받았고, [[신한금융투자 무 프로리그 시즌2]]에 다시 투입되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그랜드 라인, version=19)] [각주] [[분류:스타크래프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