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세계 각국의 프로레슬링 단체 그랜드 슬램, rd1=그랜드 슬램(프로레슬링) )] [목차] [clearfix] == 개요 == [include(틀:일본 프로레슬링 그랜드 슬램)] 일본 프로레슬링의 그랜드 슬램은 일본의 3대 메이저 단체 [[신일본 프로레슬링]]의 [[IWGP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전일본 프로레슬링]]의 [[삼관 헤비급 챔피언십]], [[프로레슬링 NOAH]]의 [[GHC 헤비웨이트 챔피언]]을 모두 차지해본 사람을 그랜드 슬래머라고 불린다. 여기에 태그팀 타이틀 부분을 더하면 슈퍼 그랜드 슬래머라고 불리우며, 태그팀 타이틀은 신일본 프로레슬링의 [[IWGP 헤비웨이트 태그팀 챔피언십]], 전일본 프로레슬링의 [[세계 태그팀 챔피언쉽]] & [[올 아시아 태그팀 챔피언쉽]], NOAH의 [[GHC 태그팀 챔피언십]]이다. 그리고 여기서 신일본 프로레슬링의 [[G1 클라이맥스]], 전일본 프로레슬링의 [[챔피언 카니발]], NOAH의 [[N-1 빅토리]](글로벌 리그)까지 다 우승한 사람을 울트라 그랜드 슬래머라고 부른다. 또 주니어급만 따로 보아 주니어 그랜드 슬램이 존재한다. 주니어급의 달성 조건은 일본의 3대 메이저 단체 신일본 프로레슬링의 [[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전일본 프로레슬링의 [[세계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쉽]], NOAH의 [[GHC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모두 차지해본 사람을 주니어 그랜드 슬래머라고 불린다. 여기에 [[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태그팀 챔피언십]]과 [[GHC 주니어 헤비웨이트 태그팀 챔피언십]]까지 모두 차지해본 사람을 주니어 슈퍼 그랜드 슬램이라고 불린다.[* 전일본 프로레슬링은 주니어 태그팀 챔피언십이 없기 때문에 제외.] 그리고 여기서 신일본 프로레슬링의 [[베스트 오브 더 슈퍼 주니어]], 전일본 프로레슬링의 [[주니어 BATTLE OF GLORY]], NOAH의 [[글로벌 주니어 리그]]까지 다 우승한 사람을 주니어 울트라 그랜드 슬래머라고 부른다. == 그랜드 슬램 달성자 == === 그랜드 슬램 === * [[사사키 켄스케]] - 2008년 9월 6일 [[모리시마 타케시]]를 꺾고 [[GHC 헤비웨이트 챔피언|GHC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획득하면서 달성. * [[타카야마 요시히로]] - 2009년 3월 14일 [[그레이트 무타]]를 꺾고 [[삼관 헤비급 챔피언십]]을 획득하면서 달성. * [[무토 케이지]] - 2021년 2월 12일 [[시오자키 고]]를 꺾고 [[GHC 헤비웨이트 챔피언|GHC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획득하면서 달성. * [[코지마 사토시]] - 2022년 4월 30일 [[시오자키 고]]를 꺾고 [[GHC 헤비웨이트 챔피언|GHC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획득하면서 달성. * [[나가타 유지]] - 2023년 2월 19일 [[미야하라 켄토]]를 꺾고 [[삼관 헤비급 챔피언십]]을 획득하면서 달성. === 슈퍼 그랜드 슬램 === * [[타카야마 요시히로]] - 2009년 3월 14일 [[그레이트 무타]]를 꺾고 [[삼관 헤비급 챔피언십]]을 획득하면서 달성. * [[코지마 사토시]] - 2022년 9월 25일 [[스즈키 히데키]] & [[티모시 대처]]를 꺾고 [[GHC 태그팀 챔피언십]]을 획득하면서 달성. * [[나가타 유지]] - 2023년 2월 19일 [[미야하라 켄토]]를 꺾고 [[삼관 헤비급 챔피언십]]을 획득하면서 달성. === 울트라 그랜드 슬램 === * [[나가타 유지]] - 2023년 2월 19일 [[미야하라 켄토]]를 꺾고 [[삼관 헤비급 챔피언십]]을 획득하면서 달성. === 주니어 그랜드 슬램 === * [[마루후지 나오미치]] - 2010년 1월 4일 [[타이거 마스크(프로레슬러)#s-2.4|타이거 마스크 4세]]를 꺾고 [[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획득하면서 달성. * [[타나카 미노루]] - 2019년 3월 10일 [[하라다 다이스케]]를 꺾고 [[GHC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획득하면서 달성. === 주니어 슈퍼 그랜드 슬램 === * [[타나카 미노루]] - 2019년 3월 10일 [[하라다 다이스케]]를 꺾고 [[GHC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획득하면서 달성. == 후보 == === 헤비웨이트 === ||<|2> {{{#ffffff '''후보'''}}} || [[신일본 프로레슬링|{{{#f8d010 '''신일본 프로레슬링'''}}}]] || [[프로레슬링 NOAH|{{{#009740 '''프로레슬링 NOAH'''}}}]] || [[전일본 프로레슬링|{{{#ed2121 '''전일본 프로레슬링'''}}}]] || || [[IWGP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f8d010 '''IWGP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 || [[GHC 헤비웨이트 챔피언|{{{#009740 '''GHC 헤비웨이트 챔피언'''}}}]] || [[삼관 헤비급 챔피언십|{{{#ed2121 '''삼관 헤비급 챔피언'''}}}]] || || [[스즈키 미노루|{{{#000 스즈키 미노루}}}]] || || {{{#000 2015년 3월 15일}}} || {{{#000 2006년 9월 3일}}} || || [[제이크 리|{{{#000 제이크 리}}}]] || || {{{#000 2023년 3월 19일}}} || {{{#000 2021년 6월 26일}}} || || [[아키야마 쥰|{{{#000 아키야마 쥰}}}]] || || {{{#000 2001년 7월 27일}}} || {{{#000 2011년 10월 23일}}} || || [[시오자키 고|{{{#000 시오자키 고}}}]] || || {{{#000 2009년 6월 14일}}} || {{{#000 2015년 1월 3일}}} || || [[후지타 카즈유키|{{{#000 후지타 카즈유키}}}]] || {{{#000 2001년 4월 9일}}} || {{{#000 2022년 2월 23일}}} || || || [[나카지마 카츠히코|{{{#000 나카지마 카츠히코}}}]] || || {{{#000 2016년 10월 23일}}} || {{{#000 2023년 11월 5일}}} || * [[스즈키 미노루]] - [[신일본 프로레슬링]]의 [[IWGP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획득하면 그랜드 슬램 및 슈퍼 그랜드 슬램을 달성할수 있다. * [[제이크 리]] - [[신일본 프로레슬링]]의 [[IWGP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획득하면 그랜드 슬램을 달성할수 있다. * [[아키야마 쥰]] - [[신일본 프로레슬링]]의 [[IWGP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획득하면 그랜드 슬램을 달성할수 있다. * [[후지타 카즈유키]] - [[전일본 프로레슬링]]의 [[삼관 헤비급 챔피언십]]을 획득하면 그랜드 슬램을 달성할수 있다. * [[시오자키 고]] - [[신일본 프로레슬링]]의 [[IWGP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획득하면 그랜드 슬램을 달성할수 있다. * [[나카지마 카츠히코]] - [[신일본 프로레슬링]]의 [[IWGP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획득하면 그랜드 슬램을 달성할수 있다. === 주니어 헤비웨이트 === ||<|2> {{{#ffffff '''후보'''}}} || [[신일본 프로레슬링|{{{#f8d010 '''신일본 프로레슬링'''}}}]] || [[프로레슬링 NOAH|{{{#009740 '''프로레슬링 NOAH'''}}}]] || [[전일본 프로레슬링|{{{#ed2121 '''전일본 프로레슬링'''}}}]] || || [[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십|{{{#f8d010 '''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 || [[GHC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십|{{{#009740 '''GHC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 || [[세계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십|{{{#ed2121 '''세계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 || || [[카네마루 요시노부|{{{#000 카네마루 요시노부}}}]] || || {{{#000 2001년 6월 24일}}} || {{{#000 2013년 2월 23일}}} || || [[오가와 요시나리|{{{#000 오가와 요시나리}}}]] || || {{{#000 2020년 1월 4일}}} || {{{#000 1995년 9월 10일}}} || || [[콘도 슈지|{{{#000 콘도 슈지}}}]] || || {{{#000 2012년 9월 29일}}} || {{{#000 2005년 10월 22일}}} || || [[스즈키 코타로|{{{#000 스즈키 코타로}}}]] || || {{{#000 2007년 4월 28일}}} || {{{#000 2015년 3월 27일}}} || || [[나카지마 카츠히코|{{{#000 나카지마 카츠히코}}}]] || || {{{#000 2009년 2월 11일}}} || {{{#000 2007년 2월 17일}}} || || [[켄도 카신|{{{#000 켄도 카신}}}]] || {{{#000 1999년 8월 28일}}} || || {{{#000 2002년 4월 13일}}} || || [[케니 오메가|{{{#000 케니 오메가}}}]] || {{{#000 2015년 1월 4일}}} || || {{{#000 2011년 10월 23일}}} || || [[울티모 드래곤|{{{#000 울티모 드래곤}}}]] || {{{#000 1992년 11월 22일}}} || || {{{#000 2013년 12월 15일}}} || || [[이시모리 타이지|{{{#000 이시모리 타이지}}}]] || {{{#000 2019년 1월 4일}}} || {{{#000 2013년 1월 27일}}} || || || [[타카이와 타츠히토|{{{#000 타카이와 타츠히토}}}]] || {{{#000 2000년 7월 20일 }}} || {{{#000 2001년 10월 19일}}} || || * [[카네마루 요시노부]] - [[신일본 프로레슬링]]의 [[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획득하면 그랜드 슬램 및 슈퍼 그랜드 슬램을 달성할수 있다. * [[켄도 카신]], [[케니 오메가]], [[울티모 드래곤]] - [[프로레슬링 NOAH]]의 [[GHC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획득하면 그랜드 슬램을 달성할수 있다. * [[오가와 요시나리]], [[콘도 슈지]], [[스즈키 코타로]], [[나카지마 카츠히코]] - [[신일본 프로레슬링]]의 [[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획득하면 그랜드 슬램을 달성할수 있다. * [[이시모리 타이지]], [[타카이와 타츠히토]] - [[전일본 프로레슬링]]의 [[세계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획득하면 그랜드 슬램을 달성할수 있다. === 과거 그랜드슬램 후보였던 선수들 === 현재 은퇴나 사망한 선수들중 메인 타이틀중 2개라도 획득을 하였던 선수들만 적는다. 위의 후보들 또한 그랜드 슬램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은퇴나 사망시 여기에 적도록 한다. ====# 헤비웨이트 #==== [[IWGP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획득 못한 경우 (■), [[GHC 헤비웨이트 챔피언|GHC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획득 못한 경우 (●), [[삼관 헤비급 챔피언십]]을 획득 못한 경우(★) 기준으로 표기. * [[미사와 미츠하루]](■) * [[코바시 켄타]] (■) * [[텐류 겐이치로]](●) * [[베이더(프로레슬러)|베이더]](●) * [[하시모토 신야]](●) ====# 주니어 헤비웨이트 #==== [[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획득 못한 경우 (■), [[GHC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획득 못한 경우 (●), [[세계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획득 못한 경우(★) 기준으로 표기. * [[수신 선더 라이거(프로레슬러)|수신 선더 라이거]](★) * [[코바야시 쿠니아키]](●) == 기타 == * 이외에도 신일본 프로레슬링에는 개별적인 남성 그랜드 슬램 달성자가 있으며, [[제이 화이트]]와 [[타나하시 히로시]]가 있다. * 여성 프로레슬링 단체는 아이스 리본 그랜드 슬램 달성자 [[후지모토 츠카사]]가 있으며, [[월드 원더 링 스타덤|스타덤]] 그랜드 슬램 달성자 [[이요 스카이|시라이 이오]], [[이와타니 마유]]가 있다. [[분류:프로레슬링 챔피언십]][[분류:그랜드 슬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