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냉전]][[분류:독일민주공화국]][[분류:독일의 역사]][[분류:서독-동독 관계]] [include(틀:독일 관련 문서)] [[파일:그뤼네스반트 로고.jpg|width=500&align=right]][* 그뤼네스반트 [[도이칠란트]]] [목차] [clearfix] == 개요 == 그뤼네스반트(Grünes Band)는 [[동서독 통일]] 후 비무장화된 [[동서독 국경]]을 현재 이르는 말이다. [[독일어]]로 '[[그린벨트]]'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나 우리가 생각하는 그린벨트와는 거리가 있다. == 만들어진 원인 ==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패한 [[독일]]은 [[연합국]]에 의해 [[동독]]과 [[서독]]으로 분단된 상황이었다. 원래 동독과 서독은 [[국경]]지역에 대한 감시가 심하지 않았고 별다른 경계선을 표시하지 않았는데[* [[한반도]]의 경우 [[삼팔선]]을 기준으로 분단되었을 당시에도 수 차례 국지전이 있었으며 [[6.25 전쟁]]이라는 큰 전쟁을 겪었기 때문에 폭 4km의 [[비무장지대]]가 설치되었지만 [[독일]]은 [[동족상잔]]을 겪지 않았기 때문에 굳이 설치할 필요가 없었다.] 동독을 떠나 서독으로 넘어가는 사람이 증가하면서 동독은 [[베를린]]에 [[베를린 장벽]]을 설치하고 국경지역에는 일명 '[[철의 장막]]'을 설치했다. [[파일:attachment/베를린 장벽/ConradSchumann.jpg|width=500]] 위의 인물은 [[베를린 장벽]]의 축조가 결정된 후 최초로 탈출한 '콘라트 슈만'이다. 동베를린과 서베를린의 경계에 대한 감시가 그리 심하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사진. == 당시 현황 == [[동독]]은 [[서독]]과 인접한 경계지역의 모든 [[숲]]을 없애버리고 자그마치 3000km에 이르는 [[철조망]]을 설치하였으며 차량진입방지참호 수백km, 감시탑 800여개를 설치하였고 [[지뢰]] 100만여개를 매설하였다. 이외에도 [[부비트랩]] 등 각종 장애물을 설치하여 동독에서 서독으로 넘어갈 수 없도록 여러 방안을 강구하였다. 그 결과 동독에서 서독으로 넘어가는 것이 매우 어려워졌고 500여 명 이상의 사람이 넘어가기 위해 이 곳을 지나다 사망했다고 한다. 반면 서독 쪽은 비교적 간략한 철조망이나 울타리 정도의 시설만을 갖추고 동독처럼 경계선 전역에 걸친 출입 금지 지역을 설정하지는 않았는데, 이는 동독 측이 별다른 군사적 도발행위를 하지 않았고[* 동독은 바르샤바 조약기구의 최전선에 해당하는 입지를 가진데다 소련의 영향력이 컸기 때문에, 소련이 자칫 서방과의 확전으로 이어질 수 있는 군사적 긴장감 조성을 억제했기 때문이다.] 불법 월경도 흔하지 않아 철저한 경비 활동을 할 필요가 낮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한반도]]의 [[비무장지대]]와 마찬가지로 [[인간]]의 발길이 끊기자 각종 동식물들의 낙원이 되었고 ~~역시 인간이 문제야~~ 멸종위기종도 서식할 정도로 중요한 생태계의 보고가 되었다. == 현재 상황 == [[파일:그뤼네스반트.jpg|width=500]] [[동서독 통일|독일의 통일]] 이후 [[철의 장막]]은 그뤼네스반트로 재탄생하게 된다. 우선 [[철조망]]을 걷어내고 [[지뢰]]를 제거하는 작업이 실시되었다. 지뢰의 경우 [[한반도]]의 [[비무장지대|DMZ]]는 항공기로 지뢰를 살포하다시피 했다면 [[동독]]은 지뢰를 어디에 묻었는지 기록해놓아 제거하는데 큰 어려움은 없었다고 한다.[* 지뢰를 매설하는 것도 나름의 규칙이 있다. 그리고 지뢰를 어디에 매설하였는지 철저히 기록해놓아야 하는데 이는 아군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하지만 [[6.25 전쟁]] 전후로 살포되다시피한 지뢰는 말 그대로 뿌려졌기 때문에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없으며 금속탐지기에도 감지되지 않는 지뢰이기에 제거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당시 국경순찰로는 탐방로로 바뀌었고 독일 정부에 의해 철저한 관리가 이루어지면서 현재까지도 [[독일]] 뿐 아니라 [[유럽]] 전체를 통틀어 생태계의 중요한 보고로 인정받고 있다. 하지만 일부 지역은 개인의 사유지로 다시 팔기도 하면서 전체의 약 30%에 이르는 지역은 사진과 같이 농지로 개간되기도 한다. 때문에 그뤼네스반트를 보존하고자 하는 모임에서는 기금을 마련하여 사유지를 매입하고 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