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006aa6,#dddddd '''{{{+1 그리고 삶은 계속된다}}}''' (1992)[br]زندگی و دیگر هیچ | And Life Goes On[* Life, And Nothing More... 로도 표기된다.]}}}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그리고 삶은 계속된다.jpg|width=100%]]}}} || || '''장르''' ||{{{#!wiki style="margin: 0px 10px" [[드라마]], 모험}}} || || '''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압바스 키아로스타미]]}}} || || '''각본''' ||{{{#!wiki style="margin: 0px 10px" 압바스 키아로스타미}}} || || '''개봉일'''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이란 국기.svg|width=20]] 1992년 2월 1일,,(파지르 영화제),,[br][[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1992년 5월 18일,,([[칸 영화제]]),,}}} || || '''출연'''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르하드 케라드만드, 부바 베이여 외}}} || || '''상영 시간''' ||{{{#!wiki style="margin: 0px 10px" 95분}}} || || '''상영 등급''' ||{{{#!wiki style="margin: 0px 10px" '''[[전체 이용가|[[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2021.svg|width=30]] {{{#373a3c,#dddddd 전체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이란]]의 감독 [[압바스 키아로스타미]]의 지그재그 [[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영화)|3]][[그리고 삶은 계속된다|부]][[올리브 나무 사이로|작]] 중 두 번째 작품. [[칸 영화제]] 주목할 만한 시선 부문에 출품되었다. == 시놉시스 == * 출처 - [[다음 영화]] >'''절망이 휩쓸고 간 자리, 그 아이들은 어떻게 되었을까?''' > >테헤란 시 외곽의 톨게이트. 라디오에선 끊임없이 지진의 비극이 흘러나오고 있다, 집과 가족을 잃은 많은 사람들이 구호물자를 기다리고 있으며. 부모를 잃은 수많은 아이들을 입양해줄 것을 호소한다. 1990년 이란을 할퀸 대지진 소식에, 황급히 돌아온 [[압바스 키아로스타미|키아로스타미]]. 그는 <[[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영화)|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에 출연했던 소년들의 생사를 확인 못해 초조하다. 하지만 코케마을로 가기 위한 도로는 자동차의 행렬로 꽉 막혀있고 길은 어렵기만 하다. > >샛길을 돌아 마주치는 사람마다 <[[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영화)|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의 포스터를 보여주고 아이들이 살아있는지를 물어보지만 모든 것이 폐허가 된 채 그날의 삶조차 힘겨운 사람들은 아무도 답변해주지 않는다. 감독의 뒷 자석에 앉아 여정을 함께하던 어린 아들은 지친 나머지 잠이 들고...바위 더미에 묻힌 집들, 가족을 몽땅 잃고 고아가 되어버린 아이들, 가족이 전부 죽었다고 말하면서 물지게를 지는 할아버지. 이들이 만난 생존자들은 그 암담한 현실 속에서도 눈물을 흘리지 않는다. 눈물은 이미 말랐고 그들은 또 다른 삶을 꾸려간다. > >차는 점점 더 코케마을에 가까워지고 그들은 우연히 <내 친구..>에 할아버지 역으로 출연했던 루히씨를 만난다. 그들을 반기며 자신의 집으로 이끄는 노인. 그 지진 속에 노인은 살아남았고 집도 무너지지 않았다. 그렇다면 아마드는? 네마자데는? 그 사랑스런 눈동자의 아이들은 어떻게 되었을까? == 등장인물 == * 파르하드 케라드만드 - [[압바스 키아로스타미]] 역 * 부바 베이여 - 푸야(극 중 키아로스타미 감독의 아들) 역 * 호세인 레자이 - 호세인[* 지나가듯 등장하는 단역이지만 후속작 [[올리브 나무 사이로]]에서는 이 역할을 연기한 배우가 주연으로 등장한다.] 역 == 평가 == > '''[[카예 뒤 시네마/연도별 베스트]] 1992년''' || '''{{{#white 순위}}}''' || '''{{{#000000 제목}}}''' || '''{{{#white 감독}}}''' || || 1 ||<(> [[용서받지 못한 자(미국 영화)|용서받지 못한 자]] ||<(> [[클린트 이스트우드]] || || 2 ||<(> 이방인 ||<(> [[사티야지트 레이]] || || 3 ||<(> '''[[그리고 삶은 계속된다]]''' ||<(> '''[[압바스 키아로스타미]]''' || || 4 ||<(> 부부 일기 ||<(> [[우디 앨런]] || ||<|3> 5 ||<(> 경계선 ||<(> 다니엘 뒤브루 || ||<(> 새비지 나이트 ||<(> 시릴 콜라르 || ||<(> 파수꾼 ||<(> 아르노 데스플레생 || ||<|2> 8 ||<(> 나비 사냥 ||<(> 오타르 이오셀리아니 || ||<(> 겨울 이야기 ||<(> [[에릭 로메르]] || ||<|4> 10 ||<(> [[고령가 소년 살인사건]] ||<(> [[에드워드 양]] || ||<(> 미소의 집 ||<(> 마르코 페레리 || ||<(> 신기루 ||<(> 장 클로드 기게 || ||<(> 참나무 ||<(> 루시앙 핀틸리에 || >'''그런 안목으로는 차라리 영화제를 하지 않는 편이 좋을 것이다.''' >---- > [[장 뤽 고다르]], <그리고 삶은 계속된다>가 [[칸 영화제]]에서 경쟁 부문이 아닌 주목할 만한 시선 부분에 초대되자 > 영화 속의 모든 것이 영화를 만든다. (중략) 그때 삶은 영화 앞에서, 뒤에서, 하지만 가로질러 가면서, 그리고 동시에, 게다가 함께 계속된다. 모든 질문은 삶을 프레임으로 만드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이 계속된다. >---- > 장 뤽 낭시(<무위의 공동체>를 저술한 프랑스의 철학가) > 그때 우리는 거의 포스트모더니즘에 넘어갈 뻔했다. 단지 돌부리에 걸린 것처럼 휘청거린 정도가 아니라 마치 늪에 빠진 것처럼 허우적거리고 있었다. 그 순간 번개처럼 나타난 <[[그리고 삶은 계속된다]]>는 우리 세대에게 한 줄기 섬광이었다. >---- > [[정성일]]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84692|출처]] 감독의 전작 [[클로즈 업(영화)|클로즈 업]]에 이어 영화 속 영화라는 소재를 다루는 메타픽션 영화. [[1990년 이란 지진]]으로 폐허가 된 이란의 모습을 묵묵하게 담아냄과 동시에 그 상처를 딛고 나아가려는 동력을 가진 영화로 평가받는다. == 기타 == * [[1990년 이란 지진]]으로 <[[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영화)|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의 촬영지인 코케 주변 지역이 황폐화되자 당시 [[압바스 키아로스타미]] 감독과 그의 11살 난 아들은 직접 코케로 차를 몰고 <[[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영화)|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의 두 주연 배우를 찾으러 갔다고 한다. 독일의 한 강연에서 그가 이 이야기를 했을 때 어떤 관객으로부터 '이 이야기를 영화로 만들어 보라'는 제안을 받았다고. * 비전문 배우를 주로 기용하는 [[압바스 키아로스타미]] 감독 답게 영화의 두 주연 배우 모두 비전문 배우이다. 감독 본인 역할을 맡은 파르하드 케라드만드는 금융 컨설턴트이고 아들 역할의 부바 베이여는 본 영화의 촬영 감독의 아들이다. [[https://www.imdb.com/title/tt0105888/trivia/?ref_=tt_trv_trv|출처]] [[분류:이란의 드라마 영화]][[분류:1992년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