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러시아 제국의 정치인]][[분류:러시아 제국의 군인]][[분류:러시아 내전/군인]][[분류:1890년 출생]][[분류:1946년 사망]][[분류:총살형된 인물]] ||<-2> '''{{{+1 그리고리 미하일로비치 세묘노프}}}[br]Григо́рий Миха́йлович Семёнов'''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aman_semenov.jpg|width=100%]]}}} || ||<|2> '''출생''' ||[[1890년]] [[9월 25일]]|| ||[[러시아 제국]] 동시베리아 [[자바이칼 지방]]|| ||<|2> '''사망''' ||[[1946년]] [[8월 30일]] (향년 55세)|| ||[[소련]]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모스크바]]||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제국)] → [[러시아 공화국]] || || '''신체''' ||172cm, 68kg, B형[* 약 5피트 8인치, 1946년 총살 이후 부검 결과.]|| || '''직업''' ||군인, 정치인|| || '''소속''' ||러시아 백군[br]러시아 제국군|| [목차] [clearfix] == 개요 == [[러시아 제국]]의 군인이자 [[러시아 내전|러시아 백군]] [[군벌]]. 스스로는 [[바이칼]] [[카자크]] 아타만이라고 칭하고 다녔다. == 초기 생애 == 동시베리아 [[자바이칼 지방]]에서 태어났으며 몽골과 부랴트인의 피가 섞여 있어서 다른 러시아 장교들과는 겉돌았다. [[제1차 세계 대전]]이 터지자 [[독일 제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을 상대로 활약하여 성 게오르기 훈장을 받았다. 이후 캅카스 지역에서 오스만 제국과 싸웠는데 여기서 '''[[로만 폰 운게른슈테른베르크]]'''와 만나게 된다. 당시 오스만 제국은 [[아르메니아인 대학살|소수민족들을 인종청소해서 수천 명의 소수민족들]]이 러시아로 도망치고 있었는데, [[로만 폰 운게른슈테른베르크]]와 세묘노프는 상부에 이 난민들을 부대로 조직하겠다는 제안을 했다. [[러시아 혁명]] 때문에 사기가 떨어진 러시아군에 모범으로 삼기 위함이었다. 운게른의 지휘 하에 [[아시리아인]] 부대는 소소한 승리를 거두었지만 전황에 보탬은 되지 못했다. 세묘노프는 아시리아인 부대를 조직했던 경험을 시베리아의 부랴트인을 대상으로 시도해 보자는 발상을 떠올렸고, [[알렉산드르 케렌스키]] 정부는 그 계획을 승인했다. 운게른과 세묘노프는 부랴트인 연대를 모집하러 동쪽으로 떠났다. == [[러시아 내전]] == [[10월 혁명]]이 일어나자 세묘노프와 운게른은 로마노프가 복위를 위한 봉기를 일으켰다. 그들은 1917년 말 중러국경의 동청철도를 거점으로 삼았다. 세묘노프와 운게른은 열렬한 [[반공]]주의자였고, 백군에 참여한 다른 군벌들도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이 둘은 백군 내부에서도 기괴한 이질분자였다. 상술했듯 이미 시대가 시대이기에 귀족들 역시 시대적 변화에 적응하려 노력하고 있었다. 예컨대 [[러시아국]]의 수장인 [[알렉산드르 콜차크]]는 백군이 승리하면 볼셰비키의 쿠데타로 해산당한 두마(의회)를 다시 열고 두마에서 [[왕정복고|제정복고]] 여부를 결정하자고 주장했으며, 제정복고파 중에서도 미하일 드로즈돕스키처럼 [[전제군주제]]에 반대하며 [[입헌군주제]]를 주장하는 자들도 있었다. 하지만 뼛속 깊이 왕권신수론자인 운게른은 이런 주장을 받아들일 수 없었다. 한편 세묘노프는 세묘노프대로 유목민들을 규합해 [[칭기즈 칸]]의 제국을 부활시키겠다는 또라이였다. 세묘노프는 그 목적을 이루기 위해 [[일본 제국]]과 결탁했는데, 콜차크와 [[안톤 데니킨]]은 이것을 외환죄라고 규정했다. [[다우르족|다우리아]] 일대에서 운게른이 군사적 성공을 거두자 세묘노프는 지멋대로 운게른에게 소장 계급을 주었다. 운게른은 다우리아에서 "아시아 기마사단"이라는 의용사단을 편성했다. 이 부대는 [[러시아인]], [[부랴트인]], [[타타르인]], [[바시키르인]], [[몽골인]], [[중국인]], [[만주인]], [[폴란드인]] 등까지 포함된 잡탕 부대였다. [[러시아어]]로 아시아(Азиатская)라는 말에 "야만"이라는 뜻도 있기 때문에 [[영어권]] 문헌에서는 이 사단명을 "야만사단"이라고 오역하는 경우가 많다. 운게른의 부대는 다우리아와 [[만주]]를 지나는 모든 열차를 세워서 약탈하여 보급을 충당했지만 [[강약약강|콜차크에게 보내지는 보급품은 건드리지 못했다]]. 세묘노프는 이후에도 [[시베리아 출병]]을 통해 기어들어온 [[일본군]]의 지원을 받아 계속적인 전투를 통해 영역을 크게 넓혔는데 세묘노프의 지배 지역은 서로는 [[바이칼호]], 동으로는 실카강에 이르렀고 이 지역의 [[철도]]역시 그의 손에 있게 된다. 얼마 안 가 [[알렉산드르 콜차크]]가 몰락하면서 사실상 백군 최후의 세력이 되었의나 콜차크는 백군 전체를 유지할 역량이 없었고 자연히 콜차크의 군대는 도적떼화 된다. 현지 민심이 박살난 건 덤이라 이후 적군에게 탈탈 털린다. 얼마 안 가 일본이 소련과 평화협상을 하면서 버려졌고 [[로만 폰 운게른슈테른베르크]] 역시 1920년 8월 7일 세묘노프를 배신하고 몽골로 가버린다. 결국 러시아 적군에게 패배하여 바이칼과 [[연해주]]를 상실하면서 그의 모험도 끝나게 된다. == 최후 == 연해주 상실 후 [[나가사키]]로 빠져나간 세묘노프는 거기서 적응을 실패하고 미국으로 갔다. 그러나 미국에서 병사를 폭행하여 기소되었다 풀려나고 중국으로 향한 뒤 [[만주국]]의 황제 [[선통제|푸이]]에게 직접 고용되어 그의 신하가 되었다. 만주국에서 세묘노프는 망명 러시아인과 카자크인을 규합하여 러시아 공산정권에 저항하는 시도를 계속했으며 이 과정에서 [[콘스탄틴 로자옙스키]]와 교류했다. 그러나 소련이 만주를 침공하면서 [[만주 전략 공세 작전]]을 행하여 [[만주국]]은 멸망하였고, 세묘노프는 [[소련]]에게 잡히고 총살당한다. == 기타 == [[시온 의정서]]를 일본에 번역해서 준 게 이 사람이다. 그런데 정작 본인은 [[유대인]]을 규합해서 유대인 부대를 만들거나 유대계 [[카바레]] 가수 [[https://cossackwarlords.weebly.com/principal-figures.html|마슈카 샤라반]][[https://cossackwarlords.weebly.com/principal-figures.html|#]]과 사랑에 빠진다. 마슈카는 세묘노프가 죽은 후 [[이집트]]에서 [[이집트인]] 장군과 결혼하고 죽었다. == 대중매체 == [youtube(BJWGFIbtx3c)] [[제독의 연인]]에서 등장, 백군 점령지 주민들을 무참히 학살하는 만행을 저지르고 [[알렉산드르 콜차크]]는 그의 지휘권을 박탈하지만 세묘노프를 지원하는 [[일본군]]이 그를 두둔한다.[[https://www.youtube.com/watch?v=JVCX1d1zpIc|#]] [[Hearts of Iron IV]]에서는 러시아 장군으로 [[소비에트 연방(Hearts of Iron IV)#s-3.2.1|세묘노프와의 접촉]]중점을 완료하면 쓸수있다. 3렙/3/2/2/3 기병 장군이며 레인저 특성이 있다. 그리고 패치로 인해 역사대로 [[만주국]]에서도 정치고문과 장군으로 고용 가능하다. 러시아가 세묘노프와 접촉하기 전까지만 쓸수 있으며 장군이 얼마없는 만주국의 경우 매우 쓸모있다. [[Hearts of Iron IV/카이저라이히]]에서는 [[Hearts of Iron IV/카이저라이히/국가/아시아#s-4.1|트란스아무르]]의 원수로 등장, 3레벨에 2/3/2/3 기병 장군이며 방어적 교리가 붙어 있다. [[무지갯빛 트로츠키]]에 나오는 야스에 노리히로 [[다롄]] 특무기관장은 세묘노프와 함께 소련과 싸운 적 있는 인물이다. [[The New Order: Last Days of Europe]]에서는 [[The New Order: Last Days of Europe/국가/구 소련|수많은 러시아 군벌]]중 한사람으로 등장한다. [[자바이칼 지방]] 군벌로 등장한다. 왕당파로 일본의 도움을 받아 다시 자바이칼 지역을 회복했는데 같이 싸우던 [[콘스탄틴 로자옙스키]]가 [[나치즘]]을 옹호하자 배신, [[호주]]에 살던 항공기술자 [[https://en.wikipedia.org/wiki/Prince_Michael_Andreevich_of_Russia|미하일 로마노프]]를 러시아로 초청(?)하여[* 사실은 로마노프 가문 종친회라고 속이고 유일하게 종친회에 참석한 미하일을 [[납치]]했다.] '''미하일 2세'''라는 [[차르]]로 옹립했다.[* 원래대로라면 [[귀천상혼]] 때문에 차르가 될 수 없지만 아내가 호주에 있어서 별 문제가 안됐다.] 차르를 [[꼭두각시]]로 만들고 자신이 권력을 휘둘러서 러시아를 통일하겠다는 야심을 가지고 있으나 세묘노프의 무리한 군사 정책과 부하 보리스 니콜라예비치 셰푸노프의 태도 때문에 주변인물들[* 특히 블라디미르 아브라모프 장군의 경우 '''감히 세묘노프와 셰푸노프 "따위"가 러시아의 차르에게 버릇없이 군다'''고 단단히 화난 상태.]에게 평가가 개판인 상황, 이후 이반 미하일로프 재무장관이 우연히 차르의 속마음[* 러시아 차르라는 자리고 뭐고 고향 호주로 돌아가고 싶은데 셰푸노프와 세묘노프가 협박해서 [[납치]]&[[감금]]당해있으며 자기는 러시아 같은 춥고 좆같은 곳에 있기 싫다고 화를 낸다.]을 알게 되고 다른 백군 장군들이 미하일 2세가 자발적으로 온게 아니라 납치, 이후 세묘노프의 꼭두각시로 있다는 걸 알자 '''진짜배기 근왕파'''[* 대부분 러시아 내전 때부터 차르에 충성한 인물& 그 후손들이라서 차르 말이면 무조건 따라야 한다는 생각으로 가득 차 있었다. 당연히 차르를 납치&꼭두각시로 만들었으니 분노할 수밖에 없다.]였던 다른 백군 장성들에게 머리에 총알이 박힌다. 해방된 '''미하일 2세'''는 호주로 돌아갈까 하지만, 자기에게 충성해주는 백군들을 보고 돌아갈 생각을 접는다. 차르로써의 삶이 준비된 미하일 2세는 자유주의 국가인 [[호주]]의 정치체제들을 러시아에 접목시키려 하는데 진짜배기 근왕파들만 모인 백군 장성들은 차르가 [[개혁]]과 [[민주주의]]를 선택하겠다니 순순히 따른다. 이후 일본인들을 몰아내고 자유국가들과 수교도 하고 러시아를 입헌군주제에 비슷하게 만들면서 [[해피엔딩]]. 하지만 미하일의 친위 쿠데타가 실패한다면 미하일을 다시 호주로 추방보내고, 미하일의 삼촌인 니키타 알렉산드로비치를 데려와 니키타 1세로 즉위시킨다. 대충 상황을 눈치 챈 니키타는 고분고분 말을 들으며 실익을 챙기자는 주의여서, 세묘노프의 의도대로 행동한다. [[Hearts of Iron IV/Red Flood]]에서도 [[자바이칼 지방]]에서 죽치고 있으며 [[Hearts of Iron IV/Red Flood/국가/서아시아|자바이칼에 카자크 국가를 만드려고 한다.]] 세묘노프의 지도 아래 완벽한 카자크 국가가 될 수도 있지만, 세묘노프를 재판에 넘겨 처형하고 소수민족을 존중해 민주국가가 될 수도 있다. [[조선, 혁명의 시대]]에서는 [[로만 폰 운게른슈테른베르크]]와 수꼴왕당파를 대표하며 소련과 미친듯이 싸운다. 역사의 변화로 존재하게된 [[대한제국]]에 지원을 요청하나 이들의 이름을 본 [[이선(조선, 혁명의 시대)|주인공]]이 바로 거절, 역사대로 몽골로 향하고 다른세력의 통제를 받지 않고 독자적으로 싸운다.[[러시아]]와 [[부랴티야]], [[내몽골]]과 [[외몽골]], [[탄누 투바]]와 [[티베트]], [[위구르]], [[대한제국]]을 포함하는 유라시아 제국을 세우려 했으나 운게른의 배신으로 지휘권을 빼앗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