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그리스군)] ||<-2>
{{{#white {{{+2 '''그리스 육군'''}}}[br]Ελληνικός Στρατός}}} || ||<-2> 사진 || ||<-2> {{{#white '''그리스 육군기''' }}} || || {{{#white '''창설년도''' }}} ||1614년 11월 17일 || || {{{#white '''국가''' }}} ||[include(틀:국기, 국명=그리스)] || || {{{#white '''주임무''' }}} ||지상전 || || {{{#white '''소속''' }}} ||[[그리스군]] || || {{{#white '''군종''' }}} ||[[육군]] || || {{{#white '''전력''' }}} ||200,000명 || [목차] [clearfix] == 개요 == [[그리스]]의 [[육군]]. == 상세 == 그리스 육군의 공식적인 평칭은 엘리니코스 스트라토스이다. 즉, 명목상으로는 고대 그리스 도시국가들의 육군을 그대로 계승한 것. 실질적으로는 1821년에 설립되었으며, 공식적으로는 1828년을 건군년도로 삼는다. 중간의 로마군 시절은 아무래도 민족주의가 발달한 현대에서는 그리스가 로마의 식민지라는 오해가 발생할 여지가 있어서 명목상의 지속기간으로도 잘 생각하지 않는 모양.[* 같은 이유로 현대 그리스 공화국은 동로마 제국을 비잔티움 제국으로 부르고 있다.] 군 계급은 고대 그리스 군대와 동로마군의 호칭을 상당부분 계승하였으며, 고대 그리스 도시국가 사령관 및 동로마 군관구 사령관의 직위였던 스트라테고스는 현재 그리스 육군 4성 장군의 계급명으로 쓰이고 있지만 현대 그리스 왕정이 끝나고 1973년, 헬레닉 공화국으로 바뀌면서 스트라테고스 계급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명목상의 계급이며, 계급 자체는 남아있으나, 본래 군주에 의해 부여되는 계급이기 때문에 안 쓰고 있다. 마찬가지로 왕정 시절에는 스트라아르키스(원수) 계급도 있었으나 현재는 폐지되었다. 즉, 실질적으로는 텍시아르코스가 육군 최고 계급자이다. == 편제 == == 장비 == [include(틀:현대전/그리스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그리스 기갑차량)] ||||<-7>
{{{#FFF '''그리스 육군의 전차''' }}} || || {{{#ffffff '''이름''' }}} || {{{#ffffff '''종류''' }}} || {{{#ffffff '''제조국''' }}} || {{{#ffffff '''운용''' }}} || {{{#ffffff '''비축''' }}} || {{{#ffffff '''추가''' }}} || {{{#ffffff '''비고''' }}} || ||[[레오파르트 2|레오파르트 2A6 HEL]] || 주력전차 || 독일 / 그리스 || 170대 || - || - || || ||[[레오파르트 2|레오파르트 2A4]] || 주력전차 || 독일 || 183대 || - || - || || ||[[레오파르트 1|레오파르트 1A5/GR]] || 주력전차 || 독일 || 392대 || - || - || || ||[[M48 패튼|M48A5 MOLF]] || 주력전차 || 미국 || 520대 || - || - || || ||||<-7> {{{#FFF '''그리스 육군의 장갑차''' }}} || || {{{#ffffff '''이름''' }}} || {{{#ffffff '''종류''' }}} || {{{#ffffff '''제조국''' }}} || {{{#ffffff '''운용''' }}} || {{{#ffffff '''비축''' }}} || {{{#ffffff '''추가''' }}} || {{{#ffffff '''비고''' }}} || ||[[SPz 마르더|마르더 1A3]] || IFV || 독일 || 40대 || - || - || || ||[[BMP-1|BMP-1P Ost]] || IFV || 소련 / 동독 || 144대 || - || - || || ||레오니다스 II || APC || 그리스 || 491대 || - || - || || ||[[M113|M113A2]] || APC || 미국 || 648대 || - || - || || ||[[M113|M113A1G]] || APC || 미국 / 독일 || 313대 || - || - || || ||[[M113|M113A1]] || APC || 미국 || 1,034대 || - || - || || ||||<-7> {{{#FFF '''그리스 육군의 포병장비''' }}} || || {{{#ffffff '''이름''' }}} || {{{#ffffff '''종류''' }}} || {{{#ffffff '''제조국''' }}} || {{{#ffffff '''운용''' }}} || {{{#ffffff '''비축''' }}} || {{{#ffffff '''추가''' }}} || {{{#ffffff '''비고''' }}} || ||[[M270 MLRS]] || 다연장로켓 || 미국 || 36문 || - || - || || ||[[RM vz. 70|RM-70]] || 다연장로켓 || 체코슬로바키아 || 116문 || - || - || || ||[[PzH2000]] || 자주곡사포 || 독일 || 25문 || - || - || || ||[[M110|M110A2]] || 자주곡사포 || 미국 || 145문 || - || - || || ||[[M109|M109A5]] || 자주곡사포 || 미국 || 12문 || - || - || || ||[[M109|M109A3GEA2]] || 자주곡사포 || 미국 || 223문 || - || - || || ||[[M109|M109A3GEA1]] || 자주곡사포 || 미국 || 50문 || - || - || || ||[[M109|M109A2]] || 자주곡사포 || 미국 || 83문 || - || - || || ||[[M109|M109A1B]] || 자주곡사포 || 미국 || 51문 || - || - || || == 관련 문서 == * [[NATO군]] == 둘러보기 == [include(틀:그리스 관련 문서)] [include(틀:세계의 육군)]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그리스군, version=148)] [[분류:그리스군]][[분류:나라별 육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