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그리스와 덴마크의 왕자[br]{{{+1 그리스와 덴마크의 안드레아스}}}[br]Πρίγκιπας Ανδρέας της Ελλάδας και της Δανίας'''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Prince Andrew of Greece and Denmark.jpg|width=100%]]}}} || || '''이름''' ||그리스와 덴마크의 안드레아스[br](Ανδρέας της Ελλάδας και της Δανίας) || || '''출생''' ||[[1882년]] [[2월 2일]][br][[그리스 왕국]] [[아테네]] 타토이 궁전 || || '''사망''' ||[[1944년]] [[12월 3일]] (향년 62세)[br][[모나코]] [[몬테카를로]] 메트로폴 호텔 || || '''신장''' ||185cm || || '''배우자''' ||[[바텐베르크의 앨리스 공녀]] ,,(1903년 결혼),, || || '''자녀''' ||[[그리스와 덴마크의 마르가리타|마르가리타]], [[그리스와 덴마크의 테오도라|테오도라]], [[그리스와 덴마크의 케킬리아|케킬리아]], [[그리스와 덴마크의 소피아(1914)|소피아]], [[필립 마운트배튼|필리포스]] || || '''아버지''' ||[[요르요스 1세]] || || '''어머니''' ||[[올가 콘스탄티노브나 여대공]] || || '''형제''' ||[[콘스탄티노스 1세]], [[그리스와 덴마크의 요르요스|요르요스]], 알렉산드라, 니콜라오스, [[그리스와 덴마크의 마리아|마리아]], 올가, 크리스토폴로스 || || '''종교''' ||[[그리스 정교회]]|| [목차] [clearfix] == 개요 == [[그리스 왕국]]의 [[요르요스 1세]]와 [[올가 콘스탄티노브나 로마노바|러시아의 올가 콘스탄티노브나 여대공]]의 넷째 아들. [[콘스탄티노스 1세]]의 동생이다. [[필립 마운트배튼|필립 공]]의 아버지이자, 영국 여왕 [[엘리자베스 2세]]의 시아버지[* [[엘리자베스 2세]]의 아버지 [[조지 6세]]에게는 사돈 겸 진외당숙이기도 하다.]이기에 현 영국 국왕 [[찰스 3세]]의 '''친할아버지''' 이기도 하다.[* 필립 공의 차남이자 찰스 3세의 동생인 [[앤드루 왕자]]의 이름은 할아버지인 안드레아스 왕자에게서 딴 것이다.] == 생애 == === 어린시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640px-Princess_Princess_Maria_of_Greece_and_Denmark_with_her_parents_and_siblinsg_1880.jpg|width=100%]]}}} || || 요르요스 1세 일가, 1880년대 앞줄에서 맨 가운데가 안드레아스이다. || 1882년 2월 2일 아테네의 타토이 궁전에서 요르요스 1세의 4남으로 태어났다. 안드레아스는 조산아였기 때문에 태어날 당시 너무 조그맸었다. 하지만 성인이 된 안드레아스는 185cm로 가족들 중에 가장 컸다. 참고로 아버지는 약 170cm[* 에드워드 7세의 장례식장에서 174cm의 독일 황제 빌헬름 2세와 함께 찍은 사진을 보면 요르요스 1세가 조금 더 작았다.]고 아들은 183cm이다. [[그리스어]], [[덴마크어]], [[독일어]], [[프랑스어]], [[영어]], [[러시아어]]를 배웠다. 다른 형제들보다 그리스인이란 정체성이 강했던 안드레아스는 오직 그리스어만 쓰길 고집했다. 안드레아스는 불편한 구궁전에서 엄격한 아버지 밑에서 규칙적인 삶을 살았다. 안드레아스가 14살일 때부터 주 2회씩 아테네에 있던 사관학교에서 공부했으며 후에 군사독재 정부를 세우는 테오도로스 팡갈로스와 꽤나 친해지게 되었다. 지도하던 선생님은 안드레아스를 ’크고 빠르고 영리하지만 눈이 나쁘다.‘라고 평가했다. 20살 때 아버지, 형제들, 총리, 대주교, 국방부 장관, 사관학교의 선생님들 중 절반 정도에게 시험을 받고 나서야 기병대에 입대할 수 있었다.[* 부인 [[바텐베르크의 앨리스 공녀|앨리스 왕자비]]는 안드레아스가 자신의 직업을 사랑했기 때문에 자신의 의무를 매우 진지하게 받아들였고, 어느 다른 사람들처럼 승진하기를 간절히 원했다고 한다.] === 결혼 === 1902년 알렉산드라 왕비의 조카인 안드레아스는 고모부 [[에드워드 7세]]의 대관식에 참석했다. 거기서 같은 마차에 탔던 [[바텐베르크의 앨리스 공녀]]와 사랑에 빠져 앨리스의 부모님이 별로 이 조합을 좋아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약혼해 1903년 10월 6일 다름슈타트에서 결혼식을 올렸다. 앨리스는 빅토리아 여왕의 증손녀였고 안드레아스 왕자는 크리스티안 9세의 손자였기 때문에, 유럽의 수많은 왕족들이 두 사람의 결혼식에 참석하였다. 두 사람 사이에서는 [[그리스와 덴마크의 마르가리타|마르가리타]], [[그리스와 덴마크의 테오도라|테오도라]], [[그리스와 덴마크의 케킬리아|케킬리아]], [[그리스와 덴마크의 소피아(1914)|소피아]], [[필립 마운트배튼|필리포스]]를 포함한 1남 4녀가 태어났다. === 지속된 혼란 === 1909년, 그리스의 정치 상황은 아테네 정부가 크레타(여전히 명목상 오스만 제국의 일부)와 그리스 본토의 연합을 요구했던 크레타 의회를 지지하기를 거부하면서 쿠데타로 이어졌다. 불만족했던 장교들은 민족주의 군사 연맹을 결성하며 여러가지 개혁을 요구했는데, 그중 왕자들을 군대에서 사임하기를 요구했다. 이는 안드레아스의 군대 사임과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베니젤로스]]의 권력 상승으로 이어졌다. 몇 년 후, 1912년 발칸 전쟁이 발발했을 때 안드레아스는 제3기병연대의 중령으로 군대에 복직되었고 야전 병원의 지휘를 맡았다. 전쟁 중에 아버지가 암살당하면서 안드레아스는 코르푸 섬에 있는 몬 레포스에 있는 별장과 일부의 재산을 물려받았다. 세계 1차대전 당시 형 [[콘스탄티노스 1세]]가 중립 정책을 주장했지만 그리스 정부는 연합군을 지지해 왕실과 베니젤로스 정부 간의 갈등이 생겼다. 결국 1917년 콘스탄티노스 1세가 퇴위하며 왕실 가족들은 처음으로 스위스로의 망명길에 올랐다. 그동안의 왕이이었던 조카 [[알렉산드로스 1세]]가 사망하자 콘스탄티노스 1세와 왕실 가족들은 다시 그리스로 돌아갈 수 있게 되었다. 안드레아스는 다시 한 번 군대에 복직되었다. 이번에는 소장으로 복직되었다.[* 사실 가장 어린 나이에 소장이 되어 왕자로서의 특혜 논란이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73FDFA6A-055F-430A-8411-F6A021F26854.jpg|width=100%]]}}} || || 1921 다른 소장들과 함께한 소장 안드레아스 왕자.[br]다른 소장들은 60대인 것에 비해 안드레아스는 40대에 소장이 되었다. || 안드레아스는 그리스-터키 전쟁(1919-1922)의 사카리야 전투에서 제 2군단의 지휘를 맡았다. 그는 터키의 위치를 공격하라는 명령을 받았지만 식량난으로 굶주림에 시달리고 탄약부족으로 고통받는 그의 부하들을 과도한 위험에 빠뜨리는 것을 거부하고 안드레아스는 자신의 전투 계획을 따랐다. 후퇴할 것을 명령 받은 이후 1922년 3월, 그는 에피로스와 이오니아 제도의 제5군단의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 여섯의 재판(Trial of Six) === 그리스-터키 전쟁의 결과는 너무나 참담했다. 그리스 민중들은 분노했다. 대중의 분노의 순간을 포착한 안티로열리스트 파벌은 왕당파 정부에 반대했고 아테네와 에게 제도에서 군사 쿠데타가 펼쳐졌다. 이들은 패배에 대한 책임으로 콘스탄티노스 1세의 퇴위와 왕당파 정부의 붕괴를 요구했다. 결국 콘스탄티노스 1세는 아들 [[요르요스 2세]]에게 양위했으며 왕당파 정부 장관들은 체포되었다. 6명의 고위장관들이 2주간의 재판만에 사형 판결을 받았다. 그들의 대부분은 사형판결을 받은 즉시 사형당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4296901-7048-43AF-A116-F5AEDF0841AB.jpg|width=100%]]}}} || || 재판을 받는 안드레아스 왕자[br]중앙의 아래쪽에 앉아있다. || 이외에 두 명의 피고인은 종신형을 선고받았다. 고위지휘관이었던 안드레아스는 코르푸에 있어 체포돼 아테네로 이송되었다. 며칠 후 다른 사람들과 같은 법정에서 재판을 받았고, 같은 범죄로 유죄 판결을 받고 사형을 선고받았다. 영국 외무부 장관 조지 커즌은 영국 정보부 요원 제럴드 타블롯을 보내 안드레아스 왕자의 처벌에 대해 신(新) 정권의 지도자들과 협상하게 했는데, 그 결과 다행히도 안드레아스 왕자의 사형 대신 ‘높은 군사 지휘 경험이 완전히 부족하다’라는 선고 후 일가에게 추방령이 내려져 안드레아스 왕자의 가족들은 또 다시 망명길에 올랐다. === 말년과 사망 === 1922년부터 거의 10년간 파리에서 가족들과 망명했다. 사랑하는 고향을 떠나 고작 40대의 나이로 실직한 안드레아스와 지속적으로 스트레스를 일으키는 상황에 놓여있던 부인 앨리스 왕자비의 결혼생활은 앨리스 왕자비가 조현병 진단을 받아 정신병원에 입원한 때부터 사실상 끝났다. 딸들을 다 시집 보낸 후 안드레아스는 파리에서의 생활을 접고 프랑스 남부로 갔다. 새로운 삶을 시작한듯이 안드레아스는 애인을 만들었고, 술에 의존하며 살았다. 아들 필리포스 때문에 장모인 [[헤센의 빅토리아 공녀]]와 연락하고 지냈다. 장모와 만났을 때 빅토리아 공녀가 앨리스 이야기를 꺼내자 안드레아스는 울음을 참지 못해 무너지기 직전이었으며 50대의 나이에 벌써부터 귀가 멀기 시작했다고 빅토리아 공녀는 말했다. [[2차 대전]]이 발발하자 안드레아스 왕자는 [[모나코]]에서 나올 수 없었고 가족 누구와도 만날 수도 없었다.[* 외아들 필리포스는 영국 해군으로 참전했고 사위들은 독일 국방군으로 참전했다. 그 중 막내 사위 크리스토프 폰 헤센카셀은 전사했다.][* 그나마 전쟁 중반에 사촌인 덴마크의 악셀 왕자(1889~1964, 숙부 덴마크의 발데마르 왕자의 둘째 아들)가 잠시 찾아온 적이 있었다고.] 점점 건강이 나빠진 안드레아스는 2차 대전 종전 전인 1944년 12월 3일 62살에 심장마비로 밤중에 급사했다.[* 만일 전쟁이 끝나고 살아있었다면 아들인 [[필립 마운트배튼|필리포스]]와 며느리 [[엘리자베스 2세]]의 결혼은 못 봐도 장손인 [[찰스 3세]]를 비롯한 3명의 친손주들을 볼 수 있었다.] 시신은 처음에 니스의 정교회 묘지에 묻혔다가 1946년에 아테네 근교 타토이 왕실 묘지로 이장되었다. 그의 유품은 종전 후 안드레아스의 애인이었던 앙드레 드 라 비기니가 정리해 아들 [[필립 마운트배튼|필리포스]]에게 건네주었다. == 가족관계 == === 조상 === ||<#FFA3A5,#5c0001> 본인 ||<#FFDBAE,#512c00> 부모 ||<#FFFFAE,#505100> 조부모 ||<#AEFFC6,#005118> 증조부모 || ||<#FFE4E1,#330500><|13> 그리스와 덴마크의 안드레아스[br]{{{-2 (Princess Andrew [br]of Greece and Denmark)}}} ||<|6> [[요르요스 1세]][br]{{{-2 (George I)}}} ||<|3> [[크리스티안 9세]][br]{{{-2 (Christian IX)}}} || ||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베크 공작[br]프리드리히 카를 루트비히[br]{{{-2 (Frederick Charles Louis,[br]Duke of Schleswig-Holstein-Sonderburg-Beck)}}} || || 헤센카셀의 루이제 카롤리네[br]{{{-2 (Princess Louise Caroline of Hesse-Kassel)}}} || ||<|3> [[헤센카셀의 루이제]][br]{{{-2 (Princess Louise of Hesse-Kassel)}}} || || 헤센카셀의 빌헬름[br]{{{-2 (Prince William of Hesse-Kassel)}}} || || [[덴마크의 샤를로테|덴마크의 샤를로테 공주]][br]{{{-2 (Princess Charlotte of Denmark)}}} || ||<|7> [[올가 콘스탄티노브나 로마노바|러시아 제국의[br]올가 콘스탄티노브나 여대공]][br]{{{-2 (Grand Duchess Olga Constantinovna[br]of Russia)}}} || ||<|3> [[콘스탄틴 니콜라예비치 대공|러시아 제국의 콘스탄틴 니콜라예비치 대공]][br]{{{-2 (Grand Duke Constantine Nikolaevich of Russia)}}} || || [[니콜라이 1세]][br]{{{-2 (Nicolas I)}}} || || [[프로이센의 샤를로테|프로이센의 샤를로테 공주]][br]{{{-2 (Princess Sophie Dorothea of Württemberg)}}} || ||<|3> [[작센알텐부르크의 알렉산드라|작센알텐부르크의 알렉산드라 공녀]][br]{{{-2 (Princess Alexandra of Saxe-Altenburg)}}} || || [[요제프(작센알텐부르크)|작센알텐부르크 공작 요제프]][br]{{{-2 (Joseph, Duke of Saxe-Altenburg)}}} || || 뷔르템베르크의 아말리 여공작[br]{{{-2 (Duchess Amelia of Württemberg)}}} || === 자녀 === || '''자녀''' || '''이름''' || '''출생''' || '''사망''' || '''배우자 / 자녀''' || || '''1녀''' || [[그리스와 덴마크의 마르가리타|호엔로에랑엔부르크 공비 마르가리타]][br]{{{-2 (Margarita, Princess of Hohenlohe-Langenburg)}}} || [[1905년]] [[4월 18일]] || [[1981년]] [[4월 24일]] || 호엔로에랑엔부르크 공작 고트프리트[* [[빅토리아 여왕]]의 손녀인 에든버러의 알렉산드라의 아들. [[빅토리아 멜리타]]와 [[마리 알렉산드라 빅토리아|루마니아의 마리 왕비]]의 조카][br]슬하 4남 1녀 || || '''2녀''' || [[그리스와 덴마크의 테오도라|바덴 변경백비 테오도라]][br]{{{-2 (Theodora, Margravine of Baden)}}} || [[1906년]] [[5월 30일]] || [[1969년]] [[10월 16일]] || [[바덴]] 변경백 베르톨트[* [[막시밀리안 폰 바덴]]의 아들] [br]슬하 2남 1녀 || || '''3녀''' || [[그리스와 덴마크의 케킬리아|헤센의 대공세자비 체칠리아]][br]{{{-2 (Cecilie, Hereditary Grand Duchess of Hesse)}}} || [[1911년]] [[6월 22일]] || [[1937년]] [[11월 16일]] || [[게오르크 도나투스|헤센의 대공세자 게오르크 도나투스]][* 촌수로는 체칠리아와 5촌이다. 체칠리아의 어머니 앨리스 왕자비의 외사촌이기 때문.] [br]슬하 3남 1녀 || ||<|2> '''4녀''' ||<|2> [[그리스와 덴마크의 소피아(1914)|하노버의 게오르크 왕자비 소피아]][br]{{{-2 (Sophie, Princess George of Hanover)}}} ||<|2> [[1914년]] [[6월 26일]] ||<|2> [[2001년]] [[11월 24일]] || [[헤센]]의 크리스토프 공자[* [[프리드리히 카를|헤센카셀 방백 프리드리히 카를]]과 [[마르가레테 폰 프로이센|마르가레테 공주]]의 5남이다.][br]슬하 2남 3녀 || ||<#FFF0F5,#330011> [[하노버]]의 게오르크 빌헬름 왕자[*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3세|브라운슈바이크 공작 에른스트 아우구스트]]와 [[빅토리아 루이제 폰 프로이센|빅토리아 루이제 공주]]의 차남으로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4세]]의 남동생이자 [[프리데리케 루이제|그리스의 왕비 프레데리키]]의 오빠이다.][br]슬하 2남 1녀 || || '''1남''' || [[필립 마운트배튼|에든버러 공작 필립]][br]{{{-2 (Prince Philip, Duke of Edinburgh)}}} || [[1921년]] [[6월 10일]] || [[2021년]] [[4월 9일]] || [[엘리자베스 2세]][br]슬하 3남 1녀[* [[찰스 3세]], [[앤 엘리자베스 앨리스 루이즈|프린세스 로열 앤]], [[앤드루 앨버트 크리스티안 에드워드|요크 공작 앤드루 왕자]], [[에드워드 안토니 리처드 루이|에든버러 공작 에드워드 왕자]]] || == 여담 == [[파일:로마노프 왕조와 영국 왕실.jpg]] * 외가쪽이 [[러시아 제국]]의 [[로마노프 왕조]]이기에 안드레아스 본인과 자손들은 로마노프 왕조의 후손이다. 현 영국 국왕인 [[찰스 3세]]는 안드레아스의 장손이고 [[윌리엄 아서 필립 루이|윌리엄 왕세자]]는 장증손인 동시에 [[조지 알렉산더 루이|조지 왕세손]]은 장현손이다. [[분류:그리스의 왕자]][[분류:덴마크의 왕자]][[분류:글뤽스부르크 가문(그리스)]][[분류:1882년 출생]][[분류:1944년 사망]][[분류:아테네 출신 인물]][[분류:심장마비로 죽은 인물]][[분류:러시아계 그리스인]][[분류:타토이 왕실 묘지 안장자]][[분류:로열 빅토리아 훈장]][[분류:독일계 그리스인]][[분류:덴마크계 그리스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