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바덴의 변경백비[br]{{{+1 그리스와 덴마크의 테오도라 공주}}}[br]Πριγκίπισσα Θεοδώρα της Ελλάδας και της Δανίας'''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3C44DB88-C858-4864-8FB2-44D477F7920D.jpg|width=100%]]}}} || || '''이름''' ||그리스와 덴마크의 테오도라[br](Θεοδώρα της Ελλάδος και της Δανίας) || || '''출생''' ||[[1906년]] [[5월 30일]][br][[그리스 왕국]] 타토이 타토이 궁전|| || '''사망''' ||[[1969년]] [[10월 16일]] (향년 63세)[br][[서독]] [[콘스탄츠]]|| || '''배우자''' ||바덴 변경백 베르톨트 ,,(1931년 결혼 / 1963년 사망),,|| || '''자녀''' ||마르가리타, 막시밀리안, 루트비히 || || '''아버지''' ||[[그리스와 덴마크의 안드레아스]] || || '''어머니''' ||[[바텐베르크의 앨리스 공녀]] || || '''형제''' ||[[그리스와 덴마크의 마르가리타|마르가리타]], [[그리스와 덴마크의 케킬리아|케킬리아]], [[그리스와 덴마크의 소피아(1914)|소피아]], [[필립 마운트배튼|필립]] || || '''종교''' ||[[그리스 정교회]]|| [목차] [clearfix] == 개요 == 그리스의 안드레아스 왕자와 바텐베르크의 앨리스 공녀의 차녀. [[필립 마운트배튼]]의 둘째 누나로, [[엘리자베스 2세]]의 시누이이자 [[찰스 3세]]의 둘째 고모다. [[막시밀리안 폰 바덴]]의 며느리다. 슬하에 2남 1녀를 두었고, 장녀 마르가리타는 1남 1녀, 장남 막시밀리안은 3남 1녀, 차남 루트비히는 자녀가 없다. 현재(2022년 12월 29일 막시밀리안의 사망으로 승계) 바덴 가문 당주인 베른하르트(막시밀리안의 장남)는 3남을 두었다. 자녀수는 5남매 중 가장 적었지만 장남이랑 장손 등이 은근 알차게(?) 아들을 많이 낳았다. == 작위 == * 그리스와 덴마크의 테오도라 공주 전하 Her Royal Highness Princess Theodora of Greece and Denmark (1906년 5월 30일 ~ 1931년 8월 17일) * 바덴 변경백비 테오도라 공주 전하 Her Royal Highness Princess Theodora, Margravine of Baden (1931년 8월 17일 ~ 1969년 10월 16일) == 생애 == 1906년 타토이 궁전에서 [[그리스와 덴마크의 안드레아스|그리스와 덴마크의 안드레아스 왕자]]와 [[바텐베르크의 앨리스 공녀]]의 차녀로 태어났다. 테오도라가 태어날 때 아버지 안드레아스 왕자는 어머니의 앨리스의 사촌인 [[빅토리아 유지니|바텐베르크의 유지니]]와 [[스페인]]의 [[알폰소 13세]]의 결혼식에 참석 중이었다. 언니 [[그리스와 덴마크의 마르가리타|마르가리타]]와 연년생이였기 때문에 언니와 가장 가까운 사이였다. 테오도라의 애칭은 돌라(Dolla)였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7D96AC81-F711-44FE-836A-F5E33E89C4D3.jpg|width=100%]]}}} || || 언니 [[그리스와 덴마크의 마르가리타|마르가리타]](좌)와 테오도라(우) || 테오도라와 언니 [[그리스와 덴마크의 마르가리타|마르가리타]]는 동생들에 비해 평화로운 시기에 태어났기 때문에 어린 시절 유럽 각국의 친척들과 교류했다. 특히 어머니의 외가인 헤센에서 오촌인 [[에른스트 루트비히|헤센의 에른스트 루트비히 대공]]의 아들들과 러시아의 [[니콜라이 2세]]의 자녀들과 자주 교류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알렉세이테오도라.jpg|width=100%]]}}} || || 러시아의 [[알렉세이 니콜라예비치 황태자|알렉세이 황태자]], [[그리스와 덴마크의 마르가리타|마르가리타]], 헤센의 루트비히[br] 테오도라, 헤센의 [[게오르크 도나투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러시아여대공들테.jpg|width=100%]]}}} || || 좌측에 서있는 러시아 여대공들과 [[루이 마운트배튼]][br]우측에 앉아있는 [[알렉세이 니콜라예비치 황태자|알렉세이 황태자]], [[그리스와 덴마크의 마르가리타|마르가리타]], 테오도라 || 하지만 1913년 [[발칸전쟁]]을 시작으로 2번의 망명 생활과 지속된 전쟁으로 인한 힘듦이 있었다. 이제 결혼할 나이가 된 테오도라와 언니 [[그리스와 덴마크의 마르가리타|마르가리타]]는 자주 영국으로 가 외할머니인 [[헤센의 빅토리아 공녀]]와 함께 살았다. 두 조카들의 샤프롱 역할을 해내던 이모 [[루이즈 마운트배튼|루이즈]]와 함께 버킹엄 궁전에서의 무도회와 춤, 생일, 정원 파티, 경마 등을 포함하여 1920년대에 영국 귀족의 대부분의 행사에 참석했다. 영국에서는 샌드링엄 궁에서 [[덴마크의 알렉산드라|알렉산드라 왕비]]의 단골 손님이었던 친할머니 [[올가 콘스탄티노브나 여대공|올가 왕비]]과 같이 많은 친척을 만날 수 있었다. 그러나 망명생활로 돈이 부족했던 테오도라는 구혼자가 거의 없었다. 대신 아직 미혼이었던 테오도라의 샤프롱이자 이모 루이즈가 스웨덴의 [[구스타프 6세 아돌프|구스타프 아돌프 왕세자]]와 결혼했다. 1920년대 말 어머니 [[바텐베르크의 앨리스 공녀|앨리스 왕자비]]가 정신병원에 입원하자 자매들은 황급히 결혼하기 시작했다. 테오도라는 자매들 중 가장 마지막으로 [[막시밀리안 폰 바덴]]의 아들이자 바덴가의 당주인 베르톨트와 결혼했다. 베르톨트와 테오도라는 덴마크의 [[크리스티안 9세]]를 통해 6촌이었다. 테오도라와 남편 베르톨트는 잘렘 학교를 운영했다. 부모의 부재로 갈 곳이 마땅치 않던 어린 동생 [[필립 마운트배튼|필립]]의 학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테오도라는 필립을 잘렘으로 데려와 같이 살았지만 독일에서 나치즘의 부상으로 인해 필립을 영국으로 돌려보낼 수 밖에 없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3A9482F6-143E-44F9-B6B8-6ABBF680DCDF.jpg|width=100%]]}}} || || 잘렘에서 동생 [[필립 마운트배튼|필립]](좌)과 테오도라(우) || 이후 테오도라는 그리스, 스웨덴, 덴마크, 독일, 영국 등에서 열리는 공식/가족 행사들에 참석하고 독일 적십자 활동, 자선활동을 하며 살아갔다. 1940년대 말부터 테오도라는 심장 문제로 고통받기 시작했다. 그 이후 점점 건강은 악화되었고 테오도라는 1962년 [[후안 카를로스 1세|후안 카를로스 왕자]]와 [[그리스와 덴마크의 소피아|소피아 공주]][* 오촌 당조카다.]의 결혼식에서 매우 약한 모습을 보였다. 테오도라는 다음 발작을 예상할 수 없었고, 항상 [[지팡이]]를 가지고 돌아다녀야 했다. 또 모든 치아를 뽑아 테오도라는 이상한 미소를 지었다. 어머니 [[바텐베르크의 앨리스 공녀|앨리스]]는 딸의 너무 늙어보이는 모습에 충격받았다. 남편 베르톨트는 1963년 10월 27일 아들 루트비히와 함께 운전하던 중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콘스탄츠]]에 있는 요양병원에 입원한 테오도라는 1969년 10월 16일에 사망했다. 테오도라의 장례식에는 조카 [[찰스 3세|찰스 왕세자]]를 포함한 많은 왕족들이 참석한 가운데 바덴 가문의 영묘에서 열렸지만, 캐나다 순방 중인 동생 [[필립 마운트배튼|필립 공]]은 참석하지 못했다. 테오도라가 사망한 지 5주 뒤 어머니 [[바텐베르크의 앨리스 공녀|앨리스 왕자비]]도 사망했다. == 가족관계 == === 조상 === ||
본인 || 부모 || 조부모 || 증조부모 || ||<|13> 그리스와 덴마크의 테오도라 공주[br]{{{-2 (Princess Theodora of Greece and Denmark)}}} ||<|6> [[그리스와 덴마크의 안드레아스|그리스와 덴마크의 안드레아스 왕자]][br]{{{-2 (Prince Andrew[br]of Greece and Denmark)}}} ||<|3> [[요르요스 1세]][br]{{{-2 (George I)}}} || || [[크리스티안 9세]][br]{{{-2 (Christian IX)}}} || || [[헤센카셀의 루이제|헤센카셀의 루이제 공녀]][br]{{{-2 (Princess Louise of Hesse-Kassel)}}} || ||<|3> [[올가 콘스탄티노브나 로마노바|러시아의 올가 콘스탄티노브나 여대공]][br]{{{-2 (Grand Duchess Olga Constantinova[br]of Russia)}}} || || [[콘스탄틴 니콜라예비치 대공|러시아 제국의 콘스탄틴 니콜라예비치 대공]][br]{{{-2 (Grand Duke Konstantin Nikolayevich[br]of Russia)}}}[* [[니콜라이 1세]]의 차남이다.] || || [[작센알텐부르크의 알렉산드라|작센알텐부르크의 알렉산드라 공녀]][br]{{{-2 (Princess Alexandra of Saxe-Altenburg)}}} || ||<|7> [[바텐베르크의 앨리스 공녀]][br]{{{-2 (Princess Alice of Battenberg)}}} || ||<|3> [[바텐베르크의 루트비히 공자]][br]{{{-2 (Prince Louis of Battenberg)}}} || || [[알렉산더 루트비히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에밀|헤센의 알렉산더 공자]][br]{{{-2 (Prince Alexander of Hesse and by Rhine)}}} || || [[율리아 하우케|율리아 하우케 여백작]][br]{{{-2 (Countess Julia von Hauke)}}} || ||<|3> [[헤센의 빅토리아 공녀]][br]{{{-2 (Princess Victoria[br]of Hesse and by Rhine)}}} || || [[루트비히 4세(헤센)|헤센 대공국 대공 루트비히 4세]][br]{{{-2 (Louis IV, Grand Duke[br]of Hesse and by Rhine)}}} || || [[앨리스 모드 메리|영국의 앨리스 공주]][br]{{{-2 (Princess Alice[br]of the United Kingdom)}}}[* [[빅토리아 여왕]]의 차녀이다.] || === 자녀 === ||
'''자녀''' || '''이름''' || '''출생''' || '''사망''' || '''배우자/자녀''' || || '''1녀''' || 바덴의 마르가리타 공녀[br]{{{-2 (Princess Margarita of Baden)}}} || [[1932년]] [[9월 20일]] || [[2013년]] [[6월 14일]] || --유고슬라비아의 토미슬라브 왕자[* [[페타르 2세]]의 동생]-- [br] 슬하 1남 1녀 || || '''1남''' || 바덴의 변경백 막시밀리안[br]{{{-2 (Maximilian, Margrave of Baden)}}} || [[1933년]] [[10월 25일]] || [[2022년]] [[12월 29일]] || 오스트리아의 발레리 여대공[* [[합스부르크 가문]] 방계인 [[토스카나 대공국]] 가문 출신으로 [[마리 발레리]]의 손녀이기도 하다.] [br] 슬하 3남 1녀 || || '''2남''' || 바덴의 루트비히 공자[br]{{{-2 (Prince Ludwig of Baden)}}} || [[1937년]] [[4월 14일]] || || 아우어슈페르크-브루너의 안나 마리엔느 공녀 [br]슬하 1남 2녀 || == 기타 == * 자매 중 외모는 어머니 [[바텐베르크의 앨리스 공녀]]와 가장 많이 닮았다. * 테오도라의 아들 막시밀리안은 언니 [[그리스와 덴마크의 마르가리타|마르가리타]]의 딸 베아트리체와 잠시 약혼했었다. * [[니콜라이 2세]]의 딸 [[마리야 니콜라예브나 여대공]]의 1916년 영어 연습장에 나의 사랑하는 [[바텐베르크의 앨리스 공녀|앨리스]]에게로 시작하는 편지가 적혀 있다. 편지에서 마리야는 앨리스와 그녀의 아이들이 런던에서 보낸 시간에 대해 묻고 있다. 여기서 앨리스는 마리야의 사촌인 테오도라의 어머니 앨리스 왕자비, 아이들은 테오도라와 자매들일 가능성이 높다. 또한 2021년 언니 마르가리타와 테오도라가 함께 [[올가 니콜라예브나 여대공]]에게 쓴 편지가 공개됐다. * [[엘리자베스 2세]]의 대관식에 참석했다. 어머니 앨리스를 선두로 서열에 따라 바덴 변경백 내외, 언니 호엔로에랑엔부르크 공 내외, 동생 하노버 공 내외 순으로 걸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30C6DB8-360C-4A37-898F-5E106D2B6D17.jpg|width=100%]]}}} || || [[엘리자베스 2세]]의 대관식 || [[분류:1906년 출생]][[분류:1969년 사망]][[분류:그리스의 공주]][[분류:덴마크의 공주]][[분류:글뤽스부르크 가문(그리스)]][[분류:체링겐 가문]][[분류:아티키주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