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메카니멀)] ||<-3> '''슈퍼 메카니멀[br]{{{+2 그리핑크스(Gryphinx)}}}'''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db2234d9c181534dbbe6473f417a77ee3647f07f0e6c0c19dd59bd2583849d6d.jpg|width=300]]}}} || || '''성별''' ||<-2> {{{#FFFFFF 남성}}} || || '''이름 모티브''' ||<-2> {{{#FFFFFF [[그리폰]]+[[스핑크스]]}}} || || '''변신 형태''' ||<-2> {{{#FFFFFF 합체 로봇}}} || || '''고유 속성''' ||<-2> {{{#FFFFFF '''복합 속성'''}}}[* {{{#0000ff '''블루랜드'''}}}+{{{#red '''레드홀'''}}}+{{{#000000 '''블랙미러'''}}}] || || '''컬러''' ||<-2> {{{#FFFFFF 화이트&레드&퍼플}}} || || '''주요 테이머''' ||<-2> {{{#FFFFFF [[그리폰(터닝메카드)|그리폰]] → [[반다인]][br][[스핑크스(터닝메카드)|스핑크스]] → [[나찬]]}}} || || '''No.''' ||<-2> {{{#FFFFFF 036}}} || || '''첫 등장''' ||<-2> {{{#FFFFFF 배틀로열[br](터닝메카드 시즌1 에피소드 50)}}}[* 등장'''만''' 했다. 말로만 언급된 에피소드는 35화, 나찬 일행의 최종병기로써 활약한 때는 51화.] || || '''마지막 등장''' ||<-2> {{{#FFFFFF 우리의 미래[br](터닝메카드 W 시즌1 에피소드 26)}}} || || '''성우''' ||<-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FFFFFF [[이호산]] & [[이상범(성우)|이상범]]}}} || [목차][clearfix] == 소개 == > '''“슈퍼 메카니멀, 그리핑크스!”''' > 나찬 & 반다인 : '''“힘을 모아 싸우자! {{{#dc143c '스핑크스'}}}! {{{#003399 '그리폰'}}}! 메카니멀 고!”''' 엘토포에 의해 개발된 신형 메카니멀인 그리폰과 스핑크스가 합체한 형태[* 그리폰이 상체로 이루어졌고 스핑크스가 하체로 구성되어 있는 상하합체로 되어있다.]이자 그리폰과 스핑크스의 진정한 힘. 이 모든 세상에 존재하는 자들을 무릎을 꿇게 만들고, 모든 메카니멀들을 지배할 수 있는 최강의 메카니멀. 그 아무도 막을 수 없는 상상을 초월한 무적의 미라클 파워를 가지고 있으며, 이 메카니멀을 소유한 자는 최강의 힘을 손에 넣어 모든 세상을 지배할 수 있는 [[무적]]의 메카니멀 테이머가 될 수 있다고 한다. '''현 시점에서 그리핑크스를 1:1로 싸워서 이길 수 있는 메카니멀은 없다.'''[* 하지만 디스크캐논은 그리핑크스를 극장판에서 한 번에 리타이어 시켰다.(...)] 일반 메카니멀 30대는 물론이고 점보 메카니멀 3대가 동시에 부딪혀도 그리핑크스가 압도적으로 강하다. 신형 메카니멀 2대가 결합한 형태이기에 앞으로도 나오기 힘들어 보인다. 합체시 별도로 우위에 있는 인격은 없다.[* 빠샤메카드에서도 마찬가지. 다만 헬로 카봇에서 유니티 카봇으로서 등장했을 때는 스핑크스가 메인 인격을 맡았다.] 주요 테이머는 '''그리폰 → [[반다인]]'''과 '''스핑크스 → [[나찬]]'''. 그리핑크스로 합체 시 테이머인 반다인과 찬이 함께 어빌리티(카드)를 발동한다.[* 다비남매도 다비와 다나 둘 다 같이 어빌리티를 사용한 전적이 있는데, 바로 바벨의 파이널 어빌리티 아마겟돈을 발동시킬 때 둘이 같이 사용했다.] 무인편 51화에서는 [[젤로시아]]의 본 모습인 [[블랙 미러(터닝메카드)|블랙미러]]에게 강제로 세뇌를 당한 적도 있다.[* 이때 성우는 블랙미러의 성우 [[정승욱]]이 맡았다.] 녹색이었던 눈이 적색으로 변한 것을 제외하고는 변화가 없다.[* 블랙미러에게 세뇌된 테이머들의 홍채 색상은 적색 또는 자색이었으며, 또한 블랙미러가 인간 형태를 하고 있을 때 역시 홍채색이 이와 동일했다.] 변신 시퀸스는 스핑크스 위에 그리폰이 올라타면 엄청난 빛을 내뿜으며 그리폰 쪽에서 날개와 팔이 생성되고 스핑크스의 얼굴이 분리됨과 동시에 앞발이 올라가고 그리핑크스의 다리가 생성되며 둘이 합체한 다음 그리폰의 얼굴이 밑으로 내려가고 숨겨진 그리핑크스의 얼굴이 드러나는 방식이다. W에선 뱅크씬이 생략된 것이 많다. 나찬과 반다인이 동시에 그리폰과 스핑크스를 슈팅시켜 메카니멀 모드로 변형시키면 그리핑크스 기준 왼팔만 생성이 되고 스핑크스는 똑같지만 왼쪽 다리만 생성되며 합체되고 숨겨진 얼굴만 드러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12화 한정으로 그리폰과 스핑크스가 단독으로 변신을 마친 후 합체하는 뱅크씬이 나왔다. == [[그리핑크스/작중 행적|작중 행적]]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그리핑크스/작중 행적)] == 사용 기술 == === 터닝메카드 === ||{{{#0000ff '''블루랜드'''}}}|| >'''“[[무적]]의 [[주먹]]! 로켓펀치!”''' * MC 036 - 3 로켓펀치(Rocket Punch) (기본 + 강화 기술) (블루랜드: 60 / 레드홀: 20 / 블랙미러: 10) 그리핑크스의 주먹을 발사한다.[* 이 기술은 어빌리티를 사용하고 다른 기술을 사용하기 전까지는 무제한 기술이다. 이 기술 하나로 메카니멀 6대를 쓰러뜨렸으니 이론상 이거 하나로 일반 메카니멀 30대 상대가 가능하다. 그리핑크스가 사이킥 파워를 사용하고 나서 젤로시아의 본 모습인 블랙 미러가 그리핑크스의 세뇌를 당한 다음 에반을 이걸로 쓰러트렸다.] >'''“세계를 정화시키는 눈부신 빛, 익스트림 포스!”''' * MC 036 - 6 익스트림 포스(Extreme Force) (기본 기술) (블루랜드: 60 / 레드홀: 40 / 블랙미러: 50) 눈부신 빛이 세계를 정화한다.[* 애니에서 단 한번도 나오지 못한 기술이다. 그리핑크스가 W에서 성능 개량되면서 사라진 기술이 되었으며 빠샤메카드에서는 이 기술만 빠져서 어떻게 사용되는지 조차 나오지 않는다.] ||{{{#red '''레드홀'''}}}|| >'''“[[마법진]]의 에너지! 매지컬 쉘링!”'''[* 후속작 W에서 추가된 기술. 12화부터는 시전시 스핑크스의 인격이 '''멸하라!''', 그리폰의 인격이 '''파이어!'''라고 한다. [[https://youtube.com/shorts/rdrFGmOQawI?feature=share]] ] * MC 036 - 1 매지컬 쉘링(Magical Shelling) (강화 기술) (레드홀: 60 / 블랙미러: 20 / 블루랜드: 40) 마법진을 펼쳐 엄청난 화력의 에너지를 발사한다. >'''“강력한 [[돌려차기]]! 스핀킥!”''' * MC 036 - 5 스핀킥(Spin Kick) (기본 기술) (레드홀: 70 / 블랙미러: 20 / 블루랜드: 40) 그리핑크스의 발이 강력한 돌려차기를 날린다. ||{{{#000000 '''블랙미러'''}}}|| >'''“날아올라 [[누르기|힘껏 눌러라]]! 스카이 프레스!”'''[* 후속작 W에서 추가된 기술.] * MC 036 - 2 스카이 프레스(Sky Press) (강화 기술) (블랙미러: 50 / 블루랜드: 40 / 레드홀: 30) 공중으로 뛰어오른 후 가속도를 이용해 상대방을 찍어 누른다. >'''“[[정의]]의 일곱가지 광선! 사이킥 파워!”''' * MC 036 - 4 사이킥 파워(Psychic Power) (기본 + 강화 기술) (블랙미러: 60 / 블루랜드: 50 / 레드홀: 30) 온몸에서 강력한 기를 내뿜어 상대를 제압한다.[* '''그리핑크스의 기술들 중 가장 강력한 기술이자 일명 필살기.''' 이 기술을 사용하려면 에너지를 모아야 하기에 사실상 파이널 어빌리티 전용이다. 실제로도 파이널 어빌리티로만 사용되었고 상대 메카니멀들이 몇 대든 한번에 리타이어시킬 수 있는 강력한 기술이지만 반대로 모든 에너지를 소모하기에 이후에 공격당하는 상황에서는 대처할 방법이 없게 된다. 즉 이 기술로 배틀을 끝내야 한다.] === 빠샤메카드 === ||{{{#0000ff '''블루랜드'''}}}|| >'''“마법진의 에너지! 매지컬 쉘링!”''' BSM 041 - 1 매지컬 쉘링(Magical Shelling)= 마법진을 펼쳐 엄청난 화력의 에너지를 발사한다.[* 빠샤메카드 그리핑크스의 필살기이다.] [블루랜드: 70 / 레드홀: 20 / 블랙미러: 40] >'''“날아올라 힘껏 눌러라! 스카이 프레스!”''' BSM 041 - 2 스카이 프레스(Sky Press) 공중으로 뛰어오른 후 가속도를 이용해 상대방을 찍어 누른다. [블루랜드: 60 / 레드홀: 30 / 블랙미러: 10] ||{{{#red '''레드홀'''}}}|| >'''“무적의 주먹! 로켓펀치!”''' BSN 041 - 3 로켓펀치(Rocket Punch)= 그리핑크스의 주먹을 발사한다. [레드홀: 50 / 블랙미러: 40 / 블루랜드: 10] ||{{{#000000 '''블랙미러'''}}}|| >'''“정의의 일곱가지 광선! 사이킥 파워!”''' BSM 041 - 4 사이킥 파워(Psychic Power)= 온몸에서 강력한 기를 내뿜어 상대를 제압한다.[* 유일하게 터닝메카드의 [[그리핑크스]]와 속성이 같은 기술이다. 빠샤메카드에서는 터닝메카드와는 다르게 일반 기술로 사용했고 오히려 매지컬 쉘링이 필살기로 쓰인다.] [블랙미러: 60 / 블루랜드: 20 / 레드홀: 30] >'''“강력한 돌려차기! 스핀킥!”''' BSM 041 - 5 스핀킥(Spin Kick)= 그리핑크스의 발이 강력한 돌려차기를 날린다. [블랙미러: 30 / 블루랜드: 20 / 레드홀: 10] == 평가 == '''설정에 비해 큰 활약이 없었던 메카니멀'''이라는 평을 받는다. 등장과 언급만 잦았지 막강한 힘과 능력을 가졌음에도 무인편 이외에 큰 활약을 선보이지 못했고,[* 무인편에서도 51화에 첫등장이니까 활약상이 눈부셨다고 할 수도 없다.] W부터는 다른 메카니멀을 상대로 우위를 점하는 경우도 드물어졌다. 우선 1기에서 그리폰과 스핑크스가 초반에 배틀을 할 때 매번 무승부가 났고 마지막 대결에서는 스핑크스가 승리했지만 나찬이 그리폰을 가져가지 않았고 급기야 세뇌가 풀린 반다인이 블랙미러와 싸우는 것을 거부하고 그리폰을 데리고 원래 세계로 돌아가버렸기 때문에 등장할 수 있는 기회를 번번히 놓치게 된다. 그래도 50화의 배틀로열 위기에 순간에서 합체하는 것에 성공하고 슈퍼 메카니멀이라는 이명답게 어빌리티 하나하나 굉장한 위력을 보여주면서 게리온을 제외한 모든 메카니멀들을 전부 압도적인 힘으로 쓰러트리는 무쌍을 찍는 모습을 보여준다. 하지만 마지막 순간에 최종 보스인 블랙미러가 직접 난입해서 세뇌를 당해 몸을 빼앗겨버리고 결국에는 적의 전력으로 이용당해버리는 좋지 못한 끝마무리를 내고 만다. 분명 대단한 활약을 했고 슈퍼 메카니멀의 강하고 멋진 모습을 충분히 보여주긴 했으나 하필이면 배틀이 끝나가는 순간에 최종 보스가 직접 난입하는 사태가 벌어진 탓에 결국 배틀로열은 승리로 마무리하지 못했다. 그리고 52화에서는 그리폰과 스핑크스가 무적의 메카니멀이라고 언급한것이 무색하게 최종화에 등장한 메가 드래곤에게 순식간에 제압당해버리는 못하는 모습을 보이며 궁극의 힘을 깨워낸 메가 드래곤이 그리핑크스보다 월등히 강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이건 상대가 넘사벽인 것도 있었는데, 30대의 구형 메카니멀의 힘을 손에 넣어 수백 배로 증가시킨 궁극의 메카니멀 메가 드래곤이었고 블랙미러조차 홀리 브라이트 하나로 소멸시키는 무시무시한 힘을 가진 초월적인 존재에 가까웠으니 이정도면 후속작 W의 [[윙라이온]]의 샤이닝 브레이크보다도 강하다고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그리핑크스의 데뷔전이 2연패로 끝마무리 되었지만 따지고보면 활약이 없는것은 아니었다. 등장도 화려했고 불리했던 배틀 로열을 순식간에 유리하게 바꿔놓으며 사이킥 파워를 발동시켜 적에게 넘어간 메카니멀들을 전멸시키는 활약을 하는 등 미친 존재감도 보여주었다. 하지만 등장했던 시기가 너무 늦어버린 탓에 마지막에 주인공 일행이 상대해야 했던 사람들의 악한 마음이 모여 탄생한 집합체인 블랙 미러가 직접 등장하고 그에게 빙의당해 이용당해버리고 게다가 모든 메카니멀의 힘을 전해받아 궁극의 힘을 깨워낸 메가 드래곤이라는 초월적인 존재 앞에서는 아무리 그리핑크스라도 작아질 수 밖에 없었다. 그래도 이런 것들을 상쇄시키려는 듯 W 예고편에서 폭풍간지 넘치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이전의 1기에서 아쉬웠던 모습들을 떨쳐낼 수 있을지 기대되는 부분. 그렇지만 W 오프닝에서 점보 메카니멀들에게 총공격을 당하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엑스와 네오에게 매지컬 쉘링 공격을 하지만 그 공격을 엑스가 에너지 드레인으로 흡수하고 미라쥬 커튼으로 공격하며 추가로 요타가 버닝 플레어로 가세해서 그리핑크스를 공격한다. 이 때문에 불안한 요소가 생겨난 상황이다. 그렇지만 W 극초반에 미래의 메카니멀인 쿠루기를 로켓 펀치 한 방에 쓰러뜨리며 불안했던 점들을 불식시켜가는듯 했으나... 결국 W 9화에서 점보 메카니멀 3대와의 싸움에서 패배하고 말았다. 상황적으로도 류가 한눈을 판 바람에 그리핑크스가 우위를 점하고 있었으며 초반에는 어빌리티를 사용하지 않고도 전처럼 엑스와 요타를 상대하였다. 이후 파이널 어빌리티로 사이킥 파워를 사용하지만 1기때는 사이킥 파워로 셋을 완전히 압도했었는데, 역시 파워면에서는 성능 개량이 안된 탓인지 '''무려 사이킥 파워가 네오의 리플렉트 한방에 막히는 말도 안되는 일이 일어났다.'''[* 그리핑크스는 모든 에너지를 이 공격에 사용하였지만 반면에 네오는 그렇지 않았다. 일반 어빌리티 하나에 모든 에너지를 쏟아부은 어빌리티가 막혔으니 말 다했다. 때문에 모든 에너지가 소모된 그리핑크스는 이후 저항도 하지 못한채 그대로 패배하고 만다.] 이전에는 메가 슈터 메가 스파이더와 메가 테릭스를 사용해 슈팅되어서 파워가 올라간 상태였지만 W에서는 16화의 슈터 VS 슈터를 만들기 위해 메가 슈터를 성능 개량 중이라는 설정으로 만들어 16화 전까지 미등장시켰으니 슈터에 슈팅되지 않은 그리핑크스는 점보 메카니멀보다 위력이 떨어졌을 것이다. 그리고 곧바로 다음 화에 나찬과 반다인이 그리핑크스를 되찾아 가기 위해 패배를 누적하는 것까지 합해 다시 한번 2연패를 당하게 되었지만, 패배 원인이 업그레이드 된 점보 메카니멀 다수를 상대로 슈터의 서포트도 없이 한 배틀이니 만큼 불리하게 작용한 것도 있고, 재대결에서는 '류와 데미안의 팀워크가 맞지 않아 본래의 힘을 발휘할 수 없었다' 라는 합당한 설정 부여도 있었다.[* 로켓 펀치 공격이 하이드론의 알바트로 쉴드 공격에 막힐 정도였다.] 절대 그리핑크스가 미래의 메카니멀에게 파워가 밀려서 그런것이 아니다.[* 당시 시점으로 미래에서 개발된 최신형 메카니멀인 가고토스를 상대로 수월하게 승리한것을 통해서 확인할수 있다.] 류와 데미안이 팀워크가 맞았다면 그리핑크스를 되찾아오지 못하고 [[ZZ|이겼다! 터닝메카드 W 끝!]]이 돼버린채 순식간에 데미안의 계락대로 메카니멀들이 전부 전멸될 수도 있었던 상황으로, 그리핑크스 파워 서열 지키기와 나찬과 반다인에게 그리핑크스 돌려주기를 '메카니멀은 테이머의 정신력에 비례하여 강해진다'는 설정으로 해결한 것이다. 다음 배틀에서는 점보 메카니멀 요타, 엑스와 다시 한번 맞붙었지만 이번에는 무승부로 끝나게 되었다.[* 이때 또한 파이널 어빌리티를 사이킥 파워가 아닌 매지컬 쉘링으로 대체했지만 역시나 힘에서 압도하지 못했다.] 22화에서는 위기에 빠진 도깨비단을 돕기 위해 배틀에 난입하나 가고토스에 의해 투스코가 먼저 쓰려져버린 탓에 힘도 쓰지 못하고 패배한다. 23화에서 윙라이온에 2번째로 카이온이 아닌 다른 메카니멀 그리폰이 슈팅되어 악영향으로 인해 마지막에 스파크가 일어나면서 사이킥 파워가 끊기고 그대로 패배한다. 이때 윙라이온에 카울을 슈팅하고 그리폰과 스핑크스는 메가 스파이더와 메가 드래곤으로 슈팅했으면 거의 100% 승리를 보장한다고 봐도 됐다. 24화에서 윙라이온을 매지컬 쉘링으로 공격하지만 완전한 힘을 개방한 윙라이온의 파워에 밀려 날아가고 샤이닝 브레이크를 맞고 또다시 패배를 누적한다. 여기까지의 작중 행적을 보면 설정상 최강의 메카니멀 치고는 활약도 하지 못하고 패배밖에 하지 못한 매우 좋지 못한 상황이지만 이것은 그리핑크스가 싸우는 환경이 좋지 않았던 상황이었던 것과 부작용을 가지고 배틀한 것, 1기 마지막 메가 드래곤에게 패배한 것과 비슷하게 새로운 힘을 깨워낸 윙라이온의 파워가 상상 이상이었던게 컸다. 극장판에서는 허무하게도 디스크 캐논의 공격 한방에 패배. 그래도 마지막에 카이온, 가고토스와 함께 활약을 펼쳤다. 그리고 그리핑크스의 파워가 절대 약한건 아니지만 '''본인이 그레이트 합체라서''' 또 다른 파워업 이벤트가 없는 한 2기까지 그대로 버텨내야 한다. 게다가 이 상태로도 궁극의 힘을 깨운 메카니멀이 아니면 사실상 자신이 모든 메카니멀 서열중 위에 있는 것이나 다름없기에 그리핑크스의 성능강화 이벤트는 2기 후반의 더 강력한 적, 메카니멀이 등장해야 일어날 듯하다. 그리고 강하다는 이유로 불리했던 배틀에 너무 많이 참가한 탓인지 그리핑크스의 전적을 보면 굉장히 좋지 않다. 2기 2화에서는 이겼지만 배틀 도중에 난입했던 것이고 정식으로 배틀에서는 다수를 상대로 혼자 상대하거나 팀단위 배틀밖에 없어서인지 패배하거나 무승부로 끝나게 된다. 참고로 모든 메카니멀 중 패배 횟수도 그리핑크스가 제일 많다. 마지막에 데미안과의 결전에서 활약하며 체면치레를 하며 마지막은 승리로 장식하긴 했다. 그렇지만 아무리 불리한 싸움환경, 제대로 되지 못한 싸움이나 합당한 설정 부여가 있다고 하더라도 패배 수가 상당히 많이 누적되었다.(게다가 w 시즌2 에서는 점보 메카니멀과 함께 아예 나오지도 못했다.) 다행이도 빠샤메카드는 패배한 적이 없는 것을 감안하면 꼭 나쁜 대우만 하는 것은 아니다. 1기 51화: 게리온을 제외한 모든 메카니멀을 쓰러뜨리지만 블랙미러에 의해 강제로 몸을 빼앗기고 만다. 1기 52화: 메가 드래곤의 홀리 브라이트 공격에 의해 패배. W 2화: 쿠루기를 상대로 승리. 다만 미리내와 쿠루기의 배틀 도중에 참가. W 9화: 점보 메카니멀 3인방을 몰아붙이며 우위를 점했으나 네오의 리플렉트에 사이킥 파워가 막히고 에너지가 모두 소모되어 황당히 패배한다. 이때 오히려 이소벨이 배틀에 참가했으면 적어도 무승부라도 나왔을 것이다. W 10화: 류와 데미안의 마음이 맞지 않아 합체가 해제된 상태에서 하이드론과 프린스콩에게 패배. W 12화: 요타와 엑스의 배틀에서 무승부. W 22화: 도깨비단을 도우려 중간에 배틀 참가. 그러나 투스코가 쓰러져 아무것도 못하고 어이없게 패배. W 23화: 이소벨의 미리내, 류의 카울과 배틀했으나 그리폰이 윙라이온에게 슈팅된 부작용으로 마지막에 발작을 일으켜 패배. W 24화: 윙라이온의 샤이닝 브레이크를 맞고 패배. W 26화: 가고토스에게 사이킥 파워로 치명타를 입힌다. 이때 배틀이 끝나지 않았어도 분명 가고토스는 이미 리타이어 한 것이나 마찬가지라서 승리로 표기한다. 극장판: 중반부에 디스크 캐논을 상대하나 결국 패배. 이후 블랙 미러와의 배틀에서는 승리했다.(물론 전개상 당연히 정해진 승리이지만..) 총 계산하면 '''12전 3승 1무 8패'''다. === 반론 === 사실 그리핑크스의 힘은 결코 우습게 볼만한 것이 아닌 것이 1기 시점에서는 메가 드래곤을 제외하면 명백한 최강의 메카니멀이며, W 시점에서도 에반을 쓰러뜨릴 정도로 강력한 미래 메카니멀을 상대로 압승을 거둘 정도로 막강한 모습을 보였다. 작중에서 보인 모습을 보면 적어도 현재까지 나온 미래 메카니멀 중 1:1로 그리핑크스를 이길 수 있는 미래 메카니멀은 없다고 할 수 있다. 심지어 미래 메카니멀 중 최강이라 일컬어지던 그 가고토스조차 1:1로 맞붙었을 때에는 모든 어빌리티의 파워가 그리핑크스에게 압도당해 완패당한다. 괜히 데미안 일당이 그리핑크스를 상대할 때마다 점보 메카니멀을 꺼내는게 아니다. 하지만 1기보다 파워업한 상태에서 3대1으로 싸운 배틀에서도 네오의 리플렉트가 없었다면 그대로 패배할 가능성이 높았고, 2:1 상황에서도 그리핑크스의 공격을 막아냈던 네오가 없었던 상황이어서 사이킥 파워를 썼다면 그리핑크스가 이겼을 수도 있다. 그리고 점보 메카니멀이라고 해도 수적 우위없이 단일 개체로만 맞붙는다면 당연히 패배할 것이다. 하지만 1기 때는 15대의 일반 메카니멀들 + 3대의 점보 메카니멀 모두를 상대해서 게리온을 제외하곤 압도한 사이킥 파워가[* 정확히는 점보 메카니멀 3대 + 일반 메카니멀 8개, 6대는 로켓 펀치로 쓰러뜨렸다.] 겨우 리플렉트 어빌리티 하나에 막히는 건 점보 메카니멀의 너무 심하게 받은 버프였다.[* 사이킥 파워가 그리핑크스의 에너지를 전부 사용하는 기술라는 점을 생각하면 확실히 심한 버프이다.] 그리핑크스는 사이킥 파워 에너지 충전시간 단축, 배틀 중간 참여만 생겼지 성능 개량은 없었다. 애초부터 신형 메카니멀 이었기 때문에 더 상향할 만한 요소가 적었고, 구형 메카니멀들이 신형 메카니멀처럼 상향이 되면서 파워인플레로 격차가 줄어든 셈. 추가 성능 업그레이드가 있어야만 예전 1기 때의 위상을 보여줄 것 같지만, 이는 아무래도 벨런스를 고려한 조치에 가깝다보니 그럴 가능성은 없다. 애초에 1기에서는 최후의 절체절명의 순간에 등장했기에 무한한 강함을 뽐내기에 좋았지만, 이후 시점에서도 저런 성능을 내면 벨런스 붕괴 문제가 있으므로 W 시점에서는 타 메카니멀과의 넘사벽의 격차를 좀 줄일 수 밖에 없었던 것. 또한 모든 메카니멀의 회로를 파괴해 기능이 정지되게 하는 윙라이온의 샤이닝 브레이크를 맞고도[* 점보 메카니멀들 조차 망가질 정도로 강한 공격이었다.] '''에너지만 바닥났다는 것''' 자체가 그리핑크스가 얼마나 강력한지 보여준다.[* 물론 샤이닝 브레이크가 그리폰과 스핑크스에게 분산된 탓에 상대적으로 데미지가 덜 들어갔긴 하지만 이러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는 것만으로도 내구도 보존에 큰 도움이 된다.] == 여담 == 합체, 간지나는 외형, 사기적인 강함[* 무인편 한정.] 덕에 인기가 매우 많다. 그리고 50화에서 그리핑크스가 아군으로서 합체한 장면은 그야말로 온몸에 전율이 흐르게 한 명장면이었다. 극중에서의 묘사를 보면 테이머의 팀워크가 맞아야 합체가 유지되며 사이킥 파워 에너지 충전이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W 10화에서 류와 데미안이 그리핑크스를 사용해서 배틀할 때 류는 데미안을 신뢰하지 못하고 있던 상황이라 기술의 위력이 매우 약했고 의견차이로 인해 두번째 기술은 제대로 발동되지도 못했다.[* 두번째 어빌리티로 데미안은 매지컬 쉘링을 사용하려 했는데 류는 스카이 프레스을 사용하려 했다.] 결국 갈등이 일어났고 에너지가 떨어지다 합체가 풀렸다.이렇듯 두 테이머 간의 상호작용이 잘 이루어질수록 그리핑크스의 위력도 강력해지며, 서로 전혀 호흡이 맞지 않는다면 일반 메카니멀에게도 밀릴 정도로 약해져버린다. 만약 데미안이 류가 아닌 카밀라와 함께 배틀을 했다면 나찬 일행은 승리할 수 없었을 것이다. 완구로도 합체기믹이 재현되었다. 물론 수동 변형이며 재현율이 좋은 편은 아니다. 가격은 2만원대 후반으로 매우 비싸다. 한때 단종되어서 프리미엄이 붙었지만 2021년에 재출시되면서 가격이 내려갔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메카니멀(빠샤메카드), version=10424)] [[분류:메카니멀]][[분류:빠샤메카드/메카니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