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사비교언어학)] [목차] [clearfix] == 개요 == {{{+1 Grimm's Law}}} [[인도유럽조어]](Proto-Indo-European)가 [[게르만조어]](Proto-Germanic)로 발달하는 과정에서 생긴 일종의 자음추이에 관한 법칙. [[게르만어파]]의 파열·마찰음과 다른 언어의 파열·마찰음 사이의 상관관계를 설명한다. 제1차 자음추이라고 한다. 현대의 언어학자가 가장 먼저 발견한 대규모 음운추이로 여겨지며, '''이 법칙을 발견했기에 [[비교언어학]]이 발전할 수 있었다'''고 해도 될 정도로 중요한 법칙이다. 이름에서 연상되는 것과는 달리 [[그림]](畵)과는 관계없고, 이 법칙을 밝혀낸 언어학자인 [[그림 형제]]의 이름을 딴 것이다. [[그림 동화]]로 유명한 그 [[그림 형제]] 맞다. == 역사 == 그림의 법칙이라고 불리는 이 자음추이는, 법칙화되기 이전부터 이미 예전부터 여러 사람들이 어렴풋이 인식하고 있는 현상이었다. 특히 [[라틴어]]와 [[독일어]] 간의 차이가 돋보였는데, 1806년에 [[독일]]의 프리드리히 슐레겔(Karl Wilhelm Friedrich von Schlegel)은 라틴어의 p와 독일어의 f 사이의 상관관계를 지적했다. 가령 '아버지'는 라틴어로 "'''p'''ater", 독일어로는 "'''V'''ater"[* 독일어에서 'v'는 /f/로 발음된다.]라고 하며, '발'은 라틴어로 "''''p'''ēs", 독일어로는 "'''F'''uß", 영어의 'for'에 해당하는 단어는 라틴어로 "'''p'''er", 독일어로는 "'''f'''ür"이라고 한다. 이런 대응 관계는 다른 고대 언어와 함께, 그리고 다른 [[파열음]], [[마찰음]]과 함께 보면 더 명확해진다. || 단어 || [[산스크리트어]] || [[라틴어]] || [[고전 그리스어]] || [[게르만조어]] || [[영어]] || [[독일어]] || || 아버지 || पितृ (pitṛ) || pater || πατήρ (patḗr) || fadēr || father || Vater || || 발 || पद् (pád) || pēs || πούς (poús) || fōts || foot || Fuß || || 셋 || त्रि (tri) || trēs || τρεῖς (treîs) || þrīz || three || drei || || 개 || श्वन् (śvā́)[* 자음이 k가 아니라 s인 이유는, 산스크리트어가 [[인도유럽어족#켄툼, 사템|Satem 계열의 언어]]이기 때문이다.] || canis || κύων (kúōn) || hundaz || hound || Hund || || 뿔 || शृङ्ग (śṛṅga) || cornū || κέρας (kéras) || hurną || horn || Horn || || 심장 || हृदय(hṛdaya) || cor || καρδιά (kardiá) || hertô || heart || Herz || 1818년에 [[네덜란드]]의 학자 라스무스 라스크(Rasmus Rask)는 위와 같은 식으로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여러 언어를 비교하며, 최초로 현재 그림의 법칙이 다루는 전 범위의 자음들의 대응관계를 정리했다. 그러나 야코프 그림(Jacob Grimm, [[그림 형제]]의 형쪽)이 이 대응관계를 법칙화하여 자신의 저서 Deutsche Grammatik(독일어 문법)에 실음으로써 이 법칙이 유명해졌기 때문에, 오늘날 이 법칙은 일반적으로 '라스무스의 법칙'이라고 불리지 않고 '그림의 법칙'이라고 부른다. 이 법칙은 자체로 완전한 법칙이라고 보기에는 예외가 많다. 예를 들어 게르만조어에서 위에서 든 '아버지'가 이 법칙대로라면 faþēr이 되었어야 맞았지만 실제로는 fadēr였다. 여러 단어들이 그림의 법칙이 발표된 이후 한동안은 불규칙적인 예외로 처리되었다. 이는 그림이 강세를 진지하게 고려하지 않았고 완벽한 "3단 변화"에 집착했기 때문이다. 그러다가 후에 이 중의 상당수를 설명할 수 있는 규칙이 추가로 발견되었는데, 이를 [[베르너의 법칙]](Verner's law)라고 한다. 베르너는 단어의 강세의 위치에 따른 변화를 포착했다. == 법칙의 상세 == 그림의 법칙은 다음과 같다. * [[인도유럽조어]]의 [[유성음|유성]][[유기음|유기]][[파열음]]은 [[게르만조어]]의 유성무기파열음·[[마찰음]]이 됐다. * 인도유럽조어의 유성무기파열음은 게르만조어의 [[무성음|무성]]파열음이 됐다. * 인도유럽조어의 무성파열음은 게르만조어의 무성마찰음이 됐다. 이를 표로 표현하면 이렇게 된다. ||<-5> 유성 유기음 || ||<|2> 인도 유럽 조어 || bʰ || dʰ || gʰ || gʷʰ || || *bʰréh₂tēr(형) || *médʰu(꿀) || *ǵʰh₂éns(거위) || *séngʷʰeti(노래하다) || ||<-5> ↓ || ||<|2> 게르만 조어 || b || d || g || gʷ || || *brōþēr || *meduz || *gans || *singwaną || ||<-5> 유성 무기음 || ||<|2> 인도 유럽 조어 || b || d || g || gʷ || || *h₂ébōl(사과) || *déḱm̥t(10) || *goltós(차다) || *gʷih₃wós(살아있다) || ||<-5> ↓ || ||<|2> 게르만 조어 || || *aplaz || *tehun || *kaldaz || *kwikwaz || ||<-5> 무성 무기음 || ||<|2> 인도 유럽 조어 || p || t || k || kʷ || || *pṓds(발) || *tréyes(3) || *ḱwn̥tós(개) || *kʷód(무엇) || ||<-5> ↓ || ||<|2> 게르만 조어 || ɸ || θ || x || xʷ || || *fōts || *þrīz || *hundaz || *hwat || [[분류:비교언어학]][[분류:게르만어파]][[분류:그림 형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