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하위 문서, top1=FEBC FM)] ||
{{{#09003e '''[[파일:극동방송 아이콘.svg|width=30]] 관련 둘러보기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대한민국의 방송)] ---- [include(틀:대한민국의 종교방송)] ---- [include(틀:대한민국의 대북방송)] ---- }}} || ||<-3> {{{+1 '''Far East Broadcasting Company''' }}} || ||<-3> [[파일:FEBC 로고.png|width=200]] || ||<-3> [[https://febcintl.org|[[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px]]국제]] [[https://www.febc.org/|[[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px]]미국]] || ||<-3> {{{#!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극동방송 로고.svg|height=50]]||{{{#221e1f '''{{{+1 FEBC극동방송}}}'''[br]재단법인 '''극동방송'''[br]{{{-2 極東放送}}}[br]{{{-2 '''FEBC''' Korea}}}}}} ||}}} || ||<-3> '''대한민국 선교중심''' || ||<-2> '''설립''' ||[[1954년]] [[7월 27일]] ([age(1954-07-27)]주년) || || '''개국''' ||<|2> [[라디오|{{{#fff '''라디오'''}}}]] ||[[1956년]] [[12월 23일]]|| || '''채널''' ||[[FEBC FM|극동방송]]|| ||<-2> '''링크''' ||[[http://febc.net|[[파일:극동방송 아이콘.svg|width=20px]]]] [[https://www.facebook.com/febctv|[[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px]]]] [[https://www.instagram.com/febc_korea/|[[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px]]]] [[https://twitter.com/febcnet|[[파일:트위터 아이콘.svg|width=20px]]]] [[https://www.youtube.com/c/%EA%B7%B9%EB%8F%99%EB%B0%A9%EC%86%A1tv/|[[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px]]]] [[https://blog.naver.com/febcweb|[[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px]]]] || ||<-2> {{{#fff '''위치 및 소재지'''}}}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서울특별시 마포구 와우산로 56, 너비=100%)]}}} ---- {{{#!wiki style="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221e1f; color: white" '''{{{#white {{{-1 FEBC 한국극동방송}}}}}}'''}}}{{{-2 [[서울특별시]] [[마포구]] 와우산로 56}}}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대표자''' ||[[김장환]] ^^(이사장)^^[br]한기붕^^(사장)^^ || || '''업종명''' ||라디오 방송업[*s [[https://www.saramin.co.kr/zf_user/company-info/view?csn=WXJsdzRpU3hZVWtVWVRmVGM1alkxdz09]]] || || '''상장여부''' ||비상장기업 || || '''기업규모''' ||중견기업 || || '''직원 수''' ||69명 ^^(2020년)^^[*s] || }}}}}}}}} || ||<-3> {{{#!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극동방송 아이콘.svg|width=100]]||{{{#221e1f '''{{{+1 febc 극동방송}}}'''[br]극동AM방송국[br]{{{-2 (극동표준FM방송국)}}}}}} ||}}} || ||<-2> {{{#fff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2> '''개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21e1f; font-size: 0.75em" '''[[중파방송|{{{#ffffff AM(MW)}}}]]'''}}} [[1956년]] [[12월 23일]][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21e1f; font-size: 0.75em" '''[[표준FM|{{{#ffffff 표준FM}}}]]'''}}} [[2000년]] [[12월 23일]] || ||<-2> '''{{{#FFFFFF 구분}}}''' ||[[지상파 방송|지상파 라디오]] || ||<-2> '''{{{#FFFFFF 분야}}}''' ||[[종교방송|개신교 선교 채널]] || ||<-2> {{{#fff '''호출부호'''}}}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21e1f; font-size: 0.75em" '''[[중파방송|{{{#ffffff AM(MW)}}}]]'''}}} HLKX (수도권)[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21e1f; font-size: 0.75em" '''[[표준FM|{{{#ffffff 표준FM}}}]]'''}}} HLKX-SFM (수도권) || ||<-2> {{{#fff '''주파수'''}}}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21e1f; font-size: 0.75em" '''[[중파방송|{{{#ffffff AM(MW)}}}]]'''}}} '''1188㎑''' (수도권 기준)[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21e1f; font-size: 0.75em" '''[[표준FM|{{{#ffffff 표준FM}}}]]'''}}} '''106.9㎒''' (수도권, 백령도) || ||<-2> {{{#ffffff '''방송품질'''}}}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21e1f; font-size: 0.75em" '''[[중파방송|{{{#ffffff AM(MW)}}}]]'''}}} 1채널 모노[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21e1f; font-size: 0.75em" '''[[표준FM|{{{#ffffff 표준FM}}}]]'''}}} 2채널 스테레오^^(파일럿 톤 방식)^^ || ||<-2> '''언어''' ||[[한국어]] || ||<-2> '''가청취권역'''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 지역 || ||<-2> {{{#FFF '''운영주체'''}}} ||[[파일:극동방송 아이콘.svg|width=30]] 편성국 || ||<-2> {{{#fff '''방송책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21e1f; font-size: 0.75em" {{{#ffffff '''편성책임'''}}}}}} 이인성[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21e1f; font-size: 0.75em" {{{#ffffff '''광고책임'''}}}}}} 최혜심 || ||<-2> {{{#FFF '''소유'''}}} ||재단법인 극동방송 || [목차] >'''극동방송을 듣게 하세요. 기적이 일어납니다!''' >'''우리는 지금 생명을 전하고 있습니다.''' >'''하나님을 찬양하라!''' >---- >[[2022년]] 사역표어 >'''아름다운 찬양과 기쁜 소식 전하는 극동방송''' >---- >극동방송 로고송. 이전에는 남자 두명이 부른 사장조의 징글을 사용하였다 >'''아름다운 찬양과 기쁜 소식 전하는 우리의 극동방송''' >'''FEBC Mission FM'''[* 이 멘트는 지역 방송국마다 나오는 곳도 있고 안 나오는 곳도 있다.] >---- >극동방송 로고송. 시보 전에 한 번씩 나온다. [clearfix] == 개요 ==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부'''를 둔 [[개신교]] 선교 방송이다. [[대한민국]]을 비롯해서 세계 32개국에 방송국을 두고 있다. 물론 대한민국에서는 극동방송(FEBC)이라고 부른다. 본디 개국 당시 이름은 '국제복음방송국'이었다. 1956년 12월 23일에 호출부호 HLKX로 인천 남구(당시 [[경기도]] [[인천광역시|인천시]], 현 [[미추홀구]]) [[학익동]] 588번지[* 방송국이 이전한 이후 옛터 일대에 [[OCI|동양제철화학]] 공장이 들어서면서 공장 부지에 편입되었다. 현재의 [[경인방송]] 위치와 근접해 있으며, 이후에도 공장 노동조합 사무실로 쓰이다가 OCI 이적지 재개발로 철거될 뻔 했으나 인천시의 노력에 의해 [[http://www.kyeongin.com/main/view.php?key=20181021010007352|인천뮤지엄파크 내에 그대로 보존]]되어 전시실 등으로 활용될 예정이다.]에서 첫 전파를 발사한다. 개국 당시에는 북한을 상대로 하는 방송위주로 편성되어 하루 두 시간 남짓 한국어방송을 진행했다고 전한다. 이후 [[1961년]]에 인천 [[중구(인천)|중구]] 북성동으로 사옥을 옮겨[* 이 사옥은 현재도 남아있는데 [[자유공원]]에서 차이나타운 방향으로 가는 길에 있다. 현재는 레스토랑으로 사용 중.] 방송을 진행하다, [[1967년]]에 지금의 마포구 사옥으로 이전하여 '극동방송국'이 되었고, 1979년에는 상호명을 '(재)극동방송'으로 바꾸어 비영리재단법인으로 바꾸었다. 송신소도 인천에 있다가 1987년에 침수된 후, 1988년에 경기 [[시흥군]] 소래읍 방산리(현 [[시흥시]] 방산동)로 이전했다. 1987년에 AM 송신소 출력을 100kW로 증강하여 현재까지 송출 중이다. 2012년 4월 초에 사옥을 [[영등포구]] [[영등포동|영등포동6가]]의 극동빌딩으로 이전했고, 구 사옥을 재건축했다. [[2013년]] [[10월 26일]]에 상수동 신 사옥을 완공했다.[* 참고로 이 사옥에서 TV방송을 한다.] [[서울특별시|서울]] 본사는 [[마포구]] 와우산로 56(구주소로는 [[상수동]] 89-1번지)에 있으며, [[홍익대학교]] 정문에서 매우 가깝다. [[상수역]] 2번 출구에서 [[홍익대학교]] 정문 방향으로 조금 걸어가면 나온다. [[홍익대학교]] 정문에서 [[상수역]] 쪽으로 300m 가량 걸어가면 있다.[* 크리스마스 시즌에는 건물에 크리스마스 별을 번쩍번쩍하게 달아놓기도 한다.] [[상수역]] 근처에서 약속을 잡는 경우에는 극동방송 본사를 이정표로 사용하기도 한다. 대한민국에서는 개신교 신자가 아닌 이상 인지도가 낮고 전국화도 조금씩 진행했기 때문에 모르는 사람이 많지만, [[1956년]] [[12월 31일]]에 허가를 받아 개국했기 때문에 [[기독교방송|CBS]]만큼이나 역사가 오래된 방송이다. '[[민영방송]]'이라든가 '외국인 선교사에 의해 설립된 기독교 선교방송'의 '[[대한민국]] 최초'라는 타이틀은 죄다 CBS가 가져가 버렸으니[* CBS는 1954년에 개국했다.], 이것도 [[콩라인]]일까? [[시흥시]]로 AM 송신소를 이전하고 있을 무렵에 서울, 부산, 광주, 대전, 대구, 전주, 강릉, 포항, 창원, 충주, 제주, 춘천, 청주, 목포 등지에 FM 허가를 신청했지만... 정말 느릿느릿하게 지방에 허가를 받아 FM으로, 그것도 대부분 저출력으로 허가받아 송출하고 있다. 표준FM이 가장 먼저 개국한 곳은 [[대전광역시|대전]]으로, 1989년에 개국했다. [[서울특별시|서울]]은 2000년 12월 23일에 표준FM이 개국했으며, 5kW로 허가받았다. 최근에 표준FM이 개국한 지역은 [[제주시]]로 2017년 10월 21일에 1kW로 개국했다. 경기도 시흥시 방산동에 있던 송신소가 [[2020년]] [[10월 12일]]에 [[안산시]] [[단원구]] 천신로2길 27([[대부도|대부남동]]([[https://mdw.iansan.net/cwboard/skin/download.jsp?id=346&fileId=474154|참조]]))로 이전했다. 송신소 관계자의 말에 따르면 송신장비를 전면적으로 새 것으로 교체했다고 하며, 이날 오전 10시에 대부도 송신소 헌당 예배를 라디오로 생중계했다. 송신소 이전 과정에서 음색의 변화가 있었다. 이전의 음색은 예전의 야외용 나팔형 스피커와 비슷했는데, 현재는 평균적인 중파방송 수준이다. 중파송출이다보니 낮에도 통영앞바다에서 신호가 미세하게 입감될 정도다. 또한 지향성 안테나가 설치되어 있어서 한국 시간 기준으로 오전 7시부터 오후 7시까지는 남향, 오후 7시부터 다음 날 오전 7시까지는 북향(북한향)으로 송출한다. 전파방송이 송출되는 나라마다 종교방송의 내용이 달라지기도 한다. 한국 극동방송에는 한국어로 된 찬송과 찬양이 흘러나오고 가끔씩 영어 찬송도 들려오는 편이다. === 역대 사역표어 및 주제성구 === ||
{{{#ffffff ''' 연도 ''' }}} || {{{#ffffff ''' 문구 ''' }}} || {{{#ffffff ''' 연도 ''' }}} || {{{#ffffff ''' 문구 ''' }}} || || [[2017년|{{{#ffffff ''' 2015년 ''' }}}]] ||{{{#221e1f ''' 주여, 통일을 앞당겨 주옵소서 ''' }}} || [[2018년|{{{#ffffff ''' 2016년 ''' }}}]] ||{{{#221e1f ''' 복음 60년, 또 복음 60년[* 이 표어는 [[2076년]]까지 [[재림]]은 없을 것이라는 신학적 주장을 함의하기 때문에 교계에서 비복음적이라는 논란이 있었다.] ''' }}} || || [[2017년|{{{#ffffff ''' 2017년 ''' }}}]] ||{{{#221e1f ''' 깨어 있으라! ''' }}} || [[2018년|{{{#ffffff ''' 2018년 ''' }}}]] ||{{{#221e1f ''' 살아나리라! ''' }}} || || [[2019년|{{{#ffffff ''' 2019년 ''' }}}]] ||{{{#221e1f ''' 자유케 하리라! ''' }}} || [[2020년|{{{#ffffff ''' 2020년 ''' }}}]] ||{{{#221e1f ''' 승리하리라! ''' }}} || || [[2021년|{{{#ffffff ''' 2021년 ''' }}}]] ||{{{#221e1f ''' 여호와께로 돌아가자! ''' }}} || [[2022년|{{{#ffffff ''' 2022년 ''' }}}]] ||{{{#221e1f ''' 하나님을 찬양하라! ''' }}} || == 역대 임원 == === 이사장 === * [[황성수]] 목사 (1954~1963) * [[오재경]] 목사 (1963) * 강태국 목사 (1963~1967) * 김홍전 목사 (1967~1970) * 김원전 목사 (1971~1976) * 이환수 목사 (1976~1980) * [[최순영(기업인)|최순영]] (1980~1999) * 강민구 장로 (1999~2008) * [[김장환]] 목사 (2008~ ) === 대표 === ==== 방송국장 ==== * 톰 왓슨(화도선) (1956~1959) * 윌리엄 S. 윈첼(우인철) (1959~1961/1968~1974) * 로드릭 H. 펜스(변의수) (1961~1963/1965~1968) * 로버트 리빙스턴(이활석) (1963~1965) * 존 레스번 국장대리 (1974~1977) * [[김장환]] 목사 (1977~1979) ==== 사장 ==== * [[김장환]] 목사 (1979~2008) * [[김은기(군인)|김은기 장로]] (2009~2011) * 민산웅 장로 (2011~2015) * 한기붕 장로 (2015~ ) == 지역 방송국 == [include(틀:극동방송의 지역 방송국)] == 성향 == 극동방송은 공식적으로 정치적인 견해나 다른 종교에 대한 비방은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있다. 또한 [[복음주의]] 계열 방송이다 보니 당연히 동성결혼 법제화를 반대하는데 이걸 잘 알 수 있는 게 바로 1분 칼럼이다. 서울여자대학교의 승현우 총장, 한국국제크리스천스쿨의 유용국 목사 등 미션스쿨의 목사들이 진행하는 1분 칼럼은 관련된 내용이 없지만[* 실제로 신앙에 도움이 되는 일화나 비유를 방송해 준다.] 문제는 [[에스더기도운동본부]]의 이용희 교수가 내보내는 `1분 칼럼이다. 대부분의 내용이 동성애를 반대하는 내용이며 그외에는 북한, 낙태와 같은 종교적 현안들을 다루기도 한다. 특히 2021년 설 특집방송 때는 제례를 비판하기도 하였다. 2015년 들어서는 매일 몇 번 꼴로 반복해서 [[진화생물학]]과 동성애에 비판적인 내용을 방송하고 있다. 이에 진보 개신교계는 CBS, 중도~보수 개신교계는 극동방송과 CTS로 자연스레 갈리고 있다. 2016년에는 퀴어퍼레이드가 개최될 즈음에 1주일 간 특집방송식으로 주요방송 송출시간에 동성애를 반대하는 내용의 방송을 내보냈다.[* 강의 형식의 방송을 내보냈는데 하루 종일 같은 내용의 방송을 내보냈다고 보면 된다.] == 논란 == === 출연자 출연료 관련 논란 === 그동안 출연자들에게 출연료를 지급하지 않는 관행으로 논란이 되었다.[[http://www.newsnjoy.or.kr/news/articleView.html?idxno=222511|#]] 그렇다고 극동방송이 가난한 게 아니라 3369억 원의 자산을 가지고 있기에 더더욱 논란이 되었다. [[http://www.newsnjoy.or.kr/news/articleView.html?idxno=222245|#]] 극동방송은 방송제작비가 상당히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김장환 목사의 개인사상에 따른 것인데 웬만한 출연자에게는 무보수를 강요하는 관행이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극동방송의 회계를 보면 2018년 매출액 대비 방송제작비가 고작 2.7%에 불과하다.[* 그것 때문에 회계에서 프로그램 제작비를 프로그램 제작비 항목에 둔 게 아니라 판매관리비에 포함시켜 방통위에서 주의를 준 바가 있다.] 그리고 철저하게 후원에 의존하는 절약정신이 있어서 그렇기도 하고 케이블 방송을 통한 TV방송을 포기하였기 때문이다.[* 김장환 목사가 서울 사옥을 재건축할때 TV방송을 목적으로 시설을 건설하였지만, 생각보다 비용이 많이 든다는 것을 알고 2000년대 초중반부터 준비한 TV방송을 고사하였다는 것이다. 그래서 영상물의 경우엔 유튜브로의 송출만 이루어진다.] 이러한 영업실태(?) 덕분인지 극동방송은 부채가 없고 재산이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극동방송의 자산은 2018년 기준으로 전년대비 8.9%가량 증가한 약 3670억 원으로 지상파 3사를 제외한 4위를 기록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짠돌이' 경영은 업계에서 향후 극동방송의 발전 가능성을 의심하게끔 한다. == 여담 == * [[대한민국]] 경영학 중 조직론 분야에서 최고로 꼽혔던 [[김인수]] 전 [[고려대학교]] 교수는 한때 이 방송국의 사장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 [[구원파]]와 관련해 [[유병언]]이 이 방송사에 부국장으로 있었다. 구원파의 다른 한 축인 [[박옥수]] 또한 여기에서 '기쁜 소식'이라는 프로그램을 맡아 설교한 전력이 있다. * [[나는 꼼수다]]의 PD이자 고정 출연자였던 [[김용민(1974)|김용민]] 평화나무 이사장이 극동방송 [[PD(방송)|PD]] 출신이다. 극동방송 근무 당시 [[여의도 순복음교회]]의 [[조용기]] 목사와 그 아들에 대한 비판글을 개인 홈페이지에 업로드하고 나서([[http://legacy.www.hani.co.kr/section-014005000/2000/p014005000200010191151010.html|김용민이 쓴 비판글 전문]]) 순복음교회 측이 극동방송에 압력을 넣었고, 사장인 [[김장환]] 목사가 "[[종교개혁]]을 하려면, [[마르틴 루터]]처럼 밖에 나가서 하라"고 말하자 바로 사표를 썼다고. [* 또는 말단 직원인 지방 송신소 청원경찰로 보내려다가 맞는 [[제복]]이 없어서 그냥 해고했다고도 한다. 그만둔 상황에 대해서는 말이 오락가락 하는 편이다. 다만, 자신의 책인 보수를 팝니다에서는 극동방송에서 해고된 게 김장환 목사의 압력에 의해 잘린 걸로 나와 있다. 송신소 얘기는 후의 CTS에서 해고됐을 때 이야기일 가능성이 높다. 그런데 CTS는 지상파 방송이 아니라 별도의 송신소가 없다. 따라서 결국 본인이 확실히 밝혀야 모든게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이후 페이스북에서 김장환과 극동방송을 비판하는 글들을 작성하고 있다.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 || 정류소 명칭 || 노선 번호 || ||<|1> 극동방송국 || [[서울 버스 7011]] || ||<|2> 상수역 || [[서울 버스 7013]] || || [[서울 버스 마포07]] || ||<|2> 로데오거리 || [[서울 버스 마포08]] || || [[서울 버스 마포16]] || === 지하철 === || 역 이름 || 노선 || ||<|1> [[상수역]] || [[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6호선]] || [[분류:극동방송]] [include(틀:포크됨2, title=극동방송, d=2022-07-04 15:4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