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크레용 신짱 - 극장판)] ||<-2> '''[[크레용 신짱/극장판|{{{#!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a1c1c; font-size:16px" {{{#fff 극장판}}}}}} {{{+1 {{{#!html 짱구는}}} {{{#!html 못}}}{{{#!html 말려}}}}}}]]{{{+1 {{{#fff :}}}}}}[br]{{{+1 {{{#!wiki style="text-shadow: 1px 0px #8703cb, 0px 1px #8703cb, -1px 0px #8703cb, 0px -1px #8703cb, 1px 1px #8703cb, 1px -1px #8703cb, -1px -1px #8703cb, -1px 1px #8703cb; color:#f6d51b; display:inline-block" 폭풍수면!}}} {{{#!wiki style="text-shadow: 1px 0px #efcc0c, 0px 1px #efcc0c, -1px 0px #efcc0c, 0px -1px #efcc0c, 1px 1px #efcc0c, 1px -1px #efcc0c, -1px -1px #efcc0c, -1px 1px #efcc0c; color:#d32d87; display:inline-block" 꿈}}}{{{#!wiki style="text-shadow: 1px 0px #efcc0c, 0px 1px #efcc0c, -1px 0px #efcc0c, 0px -1px #efcc0c, 1px 1px #efcc0c, 1px -1px #efcc0c, -1px -1px #efcc0c, -1px 1px #efcc0c; color:#0c97ef; display:inline-block" 꾸}}}{{{#!wiki style="text-shadow: 1px 0px #efcc0c, 0px 1px #efcc0c, -1px 0px #efcc0c, 0px -1px #efcc0c, 1px 1px #efcc0c, 1px -1px #efcc0c, -1px -1px #efcc0c, -1px 1px #efcc0c; color:#0ea00a; display:inline-block" 는}}} {{{#!wiki style="text-shadow: 1px 0px #efcc0c, 0px 1px #efcc0c, -1px 0px #efcc0c, 0px -1px #efcc0c, 1px 1px #efcc0c, 1px -1px #efcc0c, -1px -1px #efcc0c, -1px 1px #efcc0c; color:#cb3001; display:inline-block" 세}}}{{{#!wiki style="text-shadow: 1px 0px #efcc0c, 0px 1px #efcc0c, -1px 0px #efcc0c, 0px -1px #efcc0c, 1px 1px #efcc0c, 1px -1px #efcc0c, -1px -1px #efcc0c, -1px 1px #efcc0c; color:#0ea00a; display:inline-block" 계}}} {{{#!wiki style="text-shadow: 1px 0px #efcc0c, 0px 1px #efcc0c, -1px 0px #efcc0c, 0px -1px #efcc0c, 1px 1px #efcc0c, 1px -1px #efcc0c, -1px -1px #efcc0c, -1px 1px #efcc0c; color:#cb3001; display:inline-block" 대돌격}}}}}}''' {{{#fff (2016)}}}[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a1c1c; font-size:13px" {{{#fff 映画}}}}}} {{{#!wiki style="text-shadow: 1px 0px #fff, 0px 1px #fff, -1px 0px #fff, 0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color:#2c2cc4;display:inline-block" クレヨン}}}{{{#!wiki style="text-shadow: 1px 0px #fff, 0px 1px #fff, -1px 0px #fff, 0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color:#ea1c1c;display:inline-block" しんちゃん}}}{{{#fff :}}}[br]{{{#!wiki style="text-shadow: 1px 0px #8703cb, 0px 1px #8703cb, -1px 0px #8703cb, 0px -1px #8703cb, 1px 1px #8703cb, 1px -1px #8703cb, -1px -1px #8703cb, -1px 1px #8703cb; color:#f6d51b; display:inline-block" [ruby(爆睡, ruby=ばくすい)]!}}}{{{#!wiki style="text-shadow: 1px 0px #d32d87, 0px 1px #efcc0c, -1px 0px #efcc0c, 0px -1px #efcc0c, 1px 1px #efcc0c, 1px -1px #efcc0c, -1px -1px #efcc0c, -1px 1px #efcc0c; color:#e20a98; display:inline-block" ユ}}}{{{#!wiki style="text-shadow: 1px 0px #efcc0c, 0px 1px #efcc0c, -1px 0px #efcc0c, 0px -1px #efcc0c, 1px 1px #efcc0c, 1px -1px #efcc0c, -1px -1px #efcc0c, -1px 1px #efcc0c; color:#0c97ef; display:inline-block" メ}}}{{{#!wiki style="text-shadow: 1px 0px #efcc0c, 0px 1px #efcc0c, -1px 0px #efcc0c, 0px -1px #efcc0c, 1px 1px #efcc0c, 1px -1px #efcc0c, -1px -1px #efcc0c, -1px 1px #efcc0c; color:#0d9b6b; display:inline-block" ミ}}}{{{#!wiki style="text-shadow: 1px 0px #efcc0c, 0px 1px #efcc0c, -1px 0px #efcc0c, 0px -1px #efcc0c, 1px 1px #efcc0c, 1px -1px #efcc0c, -1px -1px #efcc0c, -1px 1px #efcc0c; color:#0ea00a; display:inline-block" ー}}}{{{#!wiki style="text-shadow: 1px 0px #efcc0c, 0px 1px #efcc0c, -1px 0px #efcc0c, 0px -1px #efcc0c, 1px 1px #efcc0c, 1px -1px #efcc0c, -1px -1px #efcc0c, -1px 1px #efcc0c; color:#cb3001; display:inline-block" ワ}}}{{{#!wiki style="text-shadow: 1px 0px #efcc0c, 0px 1px #efcc0c, -1px 0px #efcc0c, 0px -1px #efcc0c, 1px 1px #efcc0c, 1px -1px #efcc0c, -1px -1px #efcc0c, -1px 1px #efcc0c; color:#e20a98; display:inline-block" ー}}}{{{#!wiki style="text-shadow: 1px 0px #efcc0c, 0px 1px #efcc0c, -1px 0px #efcc0c, 0px -1px #efcc0c, 1px 1px #efcc0c, 1px -1px #efcc0c, -1px -1px #efcc0c, -1px 1px #efcc0c; color:#e20a98; display:inline-block" ル}}}{{{#!wiki style="text-shadow: 1px 0px #efcc0c, 0px 1px #efcc0c, -1px 0px #efcc0c, 0px -1px #efcc0c, 1px 1px #efcc0c, 1px -1px #efcc0c, -1px -1px #efcc0c, -1px 1px #efcc0c; color:#0ea00a; display:inline-block" ド}}}{{{#!wiki style="text-shadow: 1px 0px #efcc0c, 0px 1px #efcc0c, -1px 0px #efcc0c, 0px -1px #efcc0c, 1px 1px #efcc0c, 1px -1px #efcc0c, -1px -1px #efcc0c, -1px 1px #efcc0c; color:#cb3001; display:inline-block" [ruby(大突撃, ruby=だいとつげき)]}}}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30b1071fae7e14c9bf3629c5417ebd7875fe74f633567e493eec9795bea574d2.jpg|width=50%]][[파일:external/1b81a95a241f0ef33c74f4b6eceec083381474c863485783731473798a3622f1.jpg|width=50%]]}}} || ||<-2><^|1>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원판 키 비주얼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cdn2.natalie.mu/news_large_shinchanmovie_20160226.jpg|width=50%]][[파일:external/img.cinemacafe.net/191966.jpg|width=50%]]}}} ||}}}}}}}}} || ||<-2> {{{#!wiki style="margin: -16px -11px; word-break: keep-all" ||<-5>
'''[[짱구는 못말려/극장판|짱구는 못말려 극장판]] 시리즈''' || ||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나의 이사 이야기 선인장 대습격|극장판 짱구는 못말려:[br]나의 이사 이야기 선인장 대습격]] || → ||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br]폭풍수면! 꿈꾸는 세계 대돌격''' || → ||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습격!! 외계인 덩덩이|극장판 짱구는 못말려:[br]습격!! 외계인 덩덩이]] || ||<-5> ||}}} || || '''{{{#e611d9 감독}}}''' ||타카하시 와타루 (高橋 渉) || || '''{{{#e611d9 주연}}}''' || {{{#!wiki style="margin: -16px -11px; word-break: keep-all"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코바야시 유미코]], [[나라하시 미키]], [[후지와라 케이지]], [[코오로기 사토미]], [[마시바 마리]], [[하야시 타마오]], [[이치류사이 테이유우]], [[사토 치에]] 外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박영남]], [[강희선]], [[김환진]], [[여민정]], [[장경희(성우)|장경희]], [[정혜옥]], [[송하림]] 外 ||}}} || || '''{{{#e611d9 제작사}}}''' ||[[신에이 동화]][br][[테레비 아사히]][br][[ADK]][br][[후타바샤]] || || '''{{{#e611d9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px]] [[대원미디어]] || || '''{{{#e611d9 배급사}}}'''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px]] [[도호]][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px]] [[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 || || '''{{{#e611d9 개봉일}}}'''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6년]] [[4월 16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px]] [[2017년]] [[1월 25일]] || || '''{{{#e611d9 상영 시간}}}''' ||약 97분 || || '''{{{#e611d9 월드 박스오피스}}}''' ||$21,611,358 || || '''{{{#e611d9 수익}}}''' ||약 21.1억엔 || || '''{{{#e611d9 관객 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px]] 119,201명 || || '''{{{#e611d9 상영 등급}}}'''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영상물 등급 제도/일본|[[파일:영륜 G 로고.svg|height=30]]]]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전체 이용가|[[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2021.svg|width=30]] {{{#000000,#dddddd 전체 관람가}}}]]''' || || '''{{{#e611d9 공식 홈페이지}}}''' ||[[https://www.shinchan-app.jp/anime/detail/movie-024/|[[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2 (영화 정보)}}} || || '''{{{#e611d9 엠블럼}}}''' ||[[파일:shinchan_2016.png|width=60]] || [목차] [clearfix] == 개요 == >'''寝ねば。'''[* 자야 돼.][* 寝なきゃ의 아키타 벤 표기. 호리 타츠오(堀辰雄)의 소설 『風立ちぬ』에서 유래한 표현. 호리 타츠오는 프랑스의 시인 폴 발레리의 시구 “Le vent se lève. Il faut tenter de vivre.”를 「風立ちぬ。いざ生きめやも。」라고 번역했다.(한국어로는 흔히 '바람이 분다. 살아야겠다' 정도로 번역된다)] >'''굿 나잇, 꿈에서 만나!''' >---- >'''オラが寝るから大丈夫!'''[* 내가 자니까 괜찮아!][br]'''악몽과 한판승부 퐈이어!''' 크레용 신짱의 24번째 극장판. 일본에서 2016년 4월 16일 개봉하였다. 한국에서는 작년과 마찬가지로 겨울방학 시즌인 2017년 1월 27일에 개봉하였다. 이번 극장판의 감독은 [[정면승부! 로봇아빠의 역습|22기]]를 맡았고 이후 [[아뵤! 쿵후 보이즈 ~라면 대란~|26기]]를 맡게 된 타카하시 와타루. 참고로 이전부터 꿈에 대한 흥미를 가져왔다는 [[게키단 히토리]]가 타카하시 와타루와 각본에 참여하여 공동으로 집필하였다. 꿈 속 세계를 표현하는데는 애니메이터 [[미하라 미치오]]가 깊게 관여하였다. 이번 극장판에서는 꿈속 세계를 주무대로 하여 [[카스카베 방위대]]와 노하라 일가가 비중있게 나왔지만 전체적인 주인공은 [[카스카베 방위대]]다. 이 극장판 주요 인물인 누바타마 사키가 악몽에서도 또 다른 인물로 등장하면서 1인 2역으로 등장했다. 2016년 1월 22일부터 2월 12일까지 애니메이션의 첫 파트에 1~2분짜리로 꿈에 대한 에피소드를 편성해서 방영하였다. * [[1월 22일]] - [[노하라 신노스케]] * [[1월 29일]], [[4월 15일]][* 원작 25권에 있던 내용을 사용하여 전후편으로 방영하였다.][* 국내에서는 18기 6화에서 '아빠가 안 일어나요 '편으로 방영되었다.] - [[노하라 히로시]] * [[2월 5일]] - [[시로(크레용 신짱)|시로]] * [[2월 12일]] - [[노하라 미사에]] 이번 극장판의 제목에 오랜만에 폭풍이 들어갔다. 하지만 이것은 국내판 한정이며 원판의 제목에 들어 간것은 '폭수(爆睡)'이다. 이것을 직설적으로 번역하면 '폭발적인 수면', [[의역]]하자면 '기절잠' 정도가 된다. '폭풍(태풍)을 부르는(嵐を呼ぶ)' 이라는 표현을 제목에 사용하는 기존 극장판들과는 전혀 연관이 없다. [[오프닝 낚시|예고편과 본편의 차이가 매우 큰 편이다]]. 히마와리가 건물을 부숴서 미사에가 도망친다거나 방위대가 단체로 변신하여 물고기한테 돌격하는 등의 장면은 전혀 나오지 않았다. 본편에서도 방위대가 변신하는 모습이 나오지만 예고편처럼 단체로 변신하지 않고 신짱을 시작으로 한 명씩 변신한다. 좀 더 감성적이고 섬세한 전개를 위해 여러모로 손을 많이 댄 듯 하다... 한국에서는 [[대원미디어]]가 수입 및 판권을 가지고 있는 마지막 극장판이다.[* 또한 [[후지와라 케이지]]가 [[노하라 히로시]] 역을 맡은 마지막 극장판이다.] 25기부터는 수입 및 판권사가 [[CJ ENM]]으로 변경 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기타에서. == 예고편 == [youtube(pkDBZMrfxDU)]티저 예고편 [youtube(n_e1DPwfMC4)]1차 예고편 [youtube(qWaAKz2P2ZE)]2차 예고편 [youtube(Qidaiek1PkA)]국내판 예고편 == 시놉시스 == >어느 날 카스카베 사람들 모두가 거대한 물고기가 나오는 꿈을 꾸고, 얼마 지나지 않아 [[후타바 유치원]]에 '''[[누바타마 사키|사키]][* 한국명은 유보라]'''라는 여자 아이가 전학을 온다. 그런데 그 후 갑자기 많은 사람들이 기괴한 꿈을 꾸기 시작했다. [[노하라 신노스케|신노스케]]가 한 소녀의 운명을 바꾸어 나가며 친구들과 필사적으로 소녀를 구하려는 모험을 하게 되는데... == 등장인물 == === 레귤러 등장인물 === * '''[[노하라 신노스케]]'''/'''신짱구''' - CV.[[야지마 아키코]]/[[박영남]] * '''[[노하라 미사에]]/봉미선'''[* 부주인공 치고는 후반부에 나오는 명대사가 의미있는데다가, 행적이 주연급이기 때문에 볼드 처리.] - CV.[[나라하시 미키]]/[[강희선]] * [[노하라 히로시]]/신형만 - CV.[[후지와라 케이지]][* 이 작품을 끝으로 [[오세홍]]에 이어서 2020년 해에 별세하면서 일본의 영원한 노하라 히로시 목소리를 듣는 마지막 극장판이 되었다.]/[[김환진]] * [[노하라 히마와리]]/신짱아 - CV.[[코오로기 사토미]]/[[여민정]] * [[시로(크레용 신짱)|시로]]/흰둥이 - CV.[[마시바 마리]]/[[장경희(성우)|장경희]][* 그녀가 맡은 마지막 짱구는 못말려 극장판 이며, 이후 수입사가 [[CJ ENM]]으로 바뀐 이후 TV 시리즈를 담당하던 [[정유미(성우)|정유미]]로 교체됐다.] * [[카자마 토오루]]/김철수 - CV.[[마시바 마리]]/[[여민정]] * '''[[사쿠라다 네네]]/유리'''[* 미사에와 마찬가지로 부주인공 치고는 활약을 많이했기 때문에 볼드.] - CV.[[하야시 타마오]]/[[장경희(성우)|장경희]] * [[사토 마사오]]/훈이 - CV.[[이치류사이 테이유우]]/[[정혜옥]] * [[보오]]/맹구 - CV.[[사토 치에]]/[[송하림]] * [[요시나가 미도리]]/채성아 - CV.[[테라다 하루히]]/[[송하림]] * [[마츠자카 우메]]/나미리 - CV.[[토미자와 미치에]]/[[윤은서]] * [[타카쿠라 분타]]/원장 - CV.[[모리타 준페이]]/[[현경수]] * [[오오하라 나나코]]/지혜 - CV.[[이토 시즈카]]/[[장예나]] * [[카와구치(크레용 신짱)|카와구치]]/고뭉치 - CV. [[나카무라 다이키]]/[[김민주(성우)|김민주]] === 누바타마 일가 === * [[누바타마 사키|{{{#800080 누바타마 사키}}}]] (貫庭玉 サキ(ぬばたま さき))/{{{#800080 유보라}}} - CV.[[카와타 타에코]][* [[부리부리 왕국의 보물]]에서 '''슨노케시 왕자'''를 맡았다.]/[[김연우(성우)|김연우]][* 이쪽은 [[정면승부! 로봇아빠의 역습]]에서 '''문제희'''를 맡았다.] [[파일:누바타마_사키.png|width=600]] 국내에서는 '유보라' 라고 로컬라이징되었다. 유 씨는 '유메' 의 '유'를 따온 것으로 추정되며, 머리색이 보라색인 것과 함께 사키를 무라사키(자색)의 사키로 해석하여 보라로 로컬라이징한 듯 하다. 여담으로 상당한 미소녀로 추정된다. 연상이 취향인 신짱을 제외한 해바라기반의 모든 남자아이들이 사키를 보고 큰 관심을 보이며 주변에 몰려들 정도. 악몽에 시달릴땐 정말 괴로워하며 두려워하는데, [[마리 앙투아네트 증후군|너무 두려워서 머리카락이 새하얗게 질릴 정도다.]] 자세한 내용은 [[누바타마 사키|문서]] 참고. * 누바타마 유메히코 (貫庭玉 夢彦(ぬばたま ゆめひこ))/유몽해 - CV. [[야스다 켄]]/[[박영화]] [[파일:누바타마_유메히코.png|width=600]] 사키의 아버지로 꿈 연구자이다. 과거 꿈 실험 실패로 인한 폭발사고의 영향으로 생긴 [[빨간색]]과 [[파란색]]의---닌텐도 스위치--- 투톤머리가 특징이다. [[꿈]] [[에너지]]는 알록달록한 색깔의 무언가가 뭉쳐있는 모습으로 나오는데, 이게 머리에 묻어서 그렇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로 사고가 일어나기 전의 회상을 보면 평범한 갈색머리였다.] 국내에서 이름이 '유몽해'라고 로컬라이징되었다. '몽' 자가 꿈 몽(夢)자라는 걸 보면 의미있게 지었다. 사키를 위하는 모습이 보이나 너무 지나친 나머지 그녀를 지킨다는 이유로 다른 사람들에게 냉소적인 모습을 보인다.[* 아래 나오듯 경찰도 병원도 다 소용 없다고 하는걸 보면 그 전에도 온갖 방법을 다 써봤지만 사키의 상태가 나아지지 않자 최악의 수임을 알면서도 타인의 꿈 에너지를 갈취하는 방식을 택하게 된 것과도 관련이 있어보인다.] 딸에게 친구들을 사귀지 말라는 이유도 악몽을 방지할 꿈 에너지를 다 흡수하고 나면 마을을 떠나야 하기 때문. 딸이 악몽을 꾸지 않게 해주기 위해 나름 여러모로 손을 써본 것 같지만 최종적으로 남은 방법은 타인의 꿈 에너지를 흡수해 딸이 악몽을 안 꾸게 하는 미봉책 밖에 없었기에 결국 경찰도 병원도 다 소용없다고 윽박지르는 모습이 나온다. 더불어 꿈 속 세계에서 히로시와 미사에에게 방해를 받던 중 미사에가 딸의 마음을 생각해보긴 했냐고 하자 ''''"내 딸을...내 딸을 지키기 위해서라면, 난 무슨 짓이든 할 수 있어. 만약 세상 사람들이 다 불행해 진다 해도, 어떻게 해서라도! 내 딸을 지킬 거야!"'''라고 악에 받쳐 소리치는데, 그의 말을 듣는 순간 히로시와 미사에가 주춤하며 타고 있던 자전거가 작아지는 씬은 인상적인 장면으로 꼽힌다. [* 이는 두 사람이 유메히코와 같은 부모로써 그를 이해함으로 인해 [[어른|동심을 잃은 것]]을 상징한다.] 흘러가기 쉽지만, 딸을 위하여 결국 자신도 엄청 몸과 마음으로 고생해야 했다. 결국 경제적 문제도 겹치는 바람에 먹는 걸 봐도 딸에게는 서투르지만 그래도 제대로 된 요리를 주는 반면 자신은 거의 3끼를 컵라면으로 때우는 지경이다. 딸인 사키에겐 그렇게 하지 않겠지만, 사키가 악몽을 꿀까봐 잠도 꿈에너지 장치를 준비한 곳에 의자에 앉아 자고 있었고 주변에 가득한 먹고 남은 컵라면이 그의 생활도 결코 편치 않음을 잘 보여준다. 사키가 스스로 꿈에너지 장치를 안 쓰고 자서 악몽에 시달릴때도, 자다가 화들짝 경보에 놀라 달려오던 걸 봐도 딸이 악몽에 시달릴까봐 그도 편하게 잠을 못 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카스카베 방위대와 노하라 일가가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악몽을 이겨내는 모습에 사키의 상처를 제대로 보듬어주는 것이 아닌 악몽을 그냥 안 꾸게 하는 방법만 계속 생각했던 행보를 성찰한다.[* 자신을 딸을 지키기 위해 한 행동이 자신의 딸을 불행하게 만들고, 자신이 멀리했던 카스카베 방위대가 자신을 고생시키고 악몽을 꾸게 했음에도 사키를 감싸주고 그녀를 위해 단합해서 잠을 자는 모습을 보며 '''"나는 사키의 현실도 악몽으로 물들이고 있었던 건가...?"''' 하며 자책하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히로시 또한 '''부모로서''' 그의 마음을 이해해주는 모습도 명장면.] 물론 그에게 있어서는 이게 최선이었을 수도 있지만 '악몽을 물린다' 에 집착한 나머지 진짜로 중요한 걸 놓쳐버려 보지 못했던 것이다. 그 후 개심해 다시 과거의 다정한 아버지로 돌아와 사키처럼 악몽에 시달리는 사람들을 위해 해외로 이사가 대학에서 연구를 한다. 비록 악역이지만 아내가 죽은 후 매일 악몽에 시달리는 어린 딸을 위해 악역을 자처했기에 많은 관객들의 동정표를 샀다. 거창한 이유를 가진 것도 아니고 악몽에 시달리는 자신의 딸을 구하기 위해서라는, 순수하게 [[부성애|부모로서 아이를 구하기 위해]] 악역이 된 것이다. 본인 역시 수많은 사람들을 악몽에 시달리게 만들었다는 것을 자각하고 있다. 그러나 '''딸을 지키기 위해서라면 세상 사람들이 불행해져도 좋다'''고 본인 입으로 말한 것처럼 부성애의 방향이 잘못 되었으며, 일부러 진실을 외면하며 본인과 아무 관련도 없는 무고한 사람들에게 트라우마를 만드는 행동을 몇 번이고 반복해 온 것은 명백한 잘못이기도 하다.[* 사태의 특성과 규모로 보면 의도가 나쁘지 않았을 뿐 결국 불특정 다수에게 장기간, 다지역에서 진행한 테러 행위와 다를 게 없다. 무슨 결과가 나올지 알고 있었는데도 계속 자행했으며 그 대상에 자기 딸과 같은 또래나 더 어린 아이들까지 포함되어있었고 피해자들의 정신에만 피해가 갔기에 심증은 있을지언정 물증 잡기가 거의 불가능하다.] 사실상 카스카베 방위대와 노하라 일가가 문제를 해결해주며 이해하고 용서해 주는 [[대인배]]의 면모를 보여줬기에 대학교에서 계속 일할 수 있던 것이다. 그나마 한 가지 확실한 점은 결국 딸 문제 때문에 이 짓을 한 것인 만큼 딸 사키의 악몽 문제가 해결된 결말부 이후라면 이런 식으로 사고칠 일은 없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그래도 확실히 18기와 다음 작인 25기에 나오는 악역인 다른 아빠 캐릭터(아예 돈의 망자로 수식되는 황금왕, 파파덩덩)에 비교하면 확실히 자기 자식을 사랑하는 마음이 크다. * 누바타마 사유리(貫庭玉 サユリ(ぬばたま さゆり))/[[한수연]] - CV.[[키치세 미치코]]/[[장미(성우)|장미]] [[파일:누바타마_사유리.png|width=600]][* 근데 이 장면 다다음에 나오는 게 이 극장판에서 가장 섬뜩한 외모를 한 '''사유리 악몽'''이다.] 포스터에서 사키의 아빠 유메히코와 함께 서 있는 보라색 머리의 [[여자]]. 사키의 어머니. 남편 유메히코와 마찬가지로 꿈 연구자이다. 사키와 비슷한 머리가 특징.[* 자세히 보면 딸인 사키(보라)와 같이 머리색이 보라색이지만, 모양은 서로 비대칭으로 비슷하게 그려진걸 볼수있다.] 이야기 개시 시점에서는 고인이다. 카스카베로 오기 전 꿈 연구 중 폭발사고가 났을 때 사키를 지키다[* 기계가 폭발할 위기에 처했는데, 셔터를 내리려던 중에 사키가 기계에서 빛이 나는 걸 보고 예쁘다면서 다가가서 만지려고 했다.] 사망하였다. '''크레용 신짱의 모든 작품을 통틀어서 죽음이 묘사된 얼마 안되는 인물'''.[* 게다가 사망장면이 애들 보기엔 꽤 섬칫하다. 폭발사고가 일어난 후 어린 사키가 입구 쪽으로 들어서는데 푸른 꿈 에너지와 붉은 꿈 에너지가 피 떨어지듯 뚝뚝 떨어지는데다가 붉은 꿈 에너지가 벽면에 묻은 자국은 꼭 '''핏자국'''같이 묘사되었고, (폭발 사고로 인해 전등이 나가서) 어두침침한 실험실 속에서 꿈 에너지를 뒤집어쓰고 사망해서 쓰러진 사유리를 유메히코가 흔들어 깨우려는 장면까지 적나라하게 다 보여준다. 게다가 이걸 눈앞에서 목도한 사키의 경우, 당시 엄청나게 어린 나이였으니 트라우마가 안 생기는게 더 이상하다.] 생전에 사키에게 악몽을 잡아먹는다면서 [[맥(동물)#s-2|바쿠]] 인형을 주었으며, 극장판 후반부에 신노스케의 꿈과 연결된 사키의 꿈 안으로 들어와 악몽을 해치워준 미사에에게 오버렙되어 생전의 모습으로 다시 한 번 등장하며 사키를 격려해주는 말을 한 후 사라진다. 이 장면은 의도하지는 않았지만 사키에게 있어서 죄책감을 야기하는 대상이 되었던 어머니 사유리가 다시 사키를 지지해주는 어머니로 마음 속에 다시 자리잡는 것을 의미한다. 참고로 미사에에게 오버랩 된 사유리가 사키를 끌어안아주다가 사라진 후 사키를 끌어안고 있던 사람은 미사에였다. 등장분량은 짧지만 작품 전체를 관통하는 사키의 악몽이 시작된 원인이며 사키가 악몽을 극복하고 정신적으로 성장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비중만 적을 뿐 엄연한 핵심 인물이다.''' 사키는 그녀의 죽음에 죄책감을 품고 오랫동안 괴로워했지만, 사유리가 사고 당시 사키를 감싸고 죽었던 이유는 사키에 대한 '''[[모성애|어머니로써의 애정]]'''이었으며 미사에에게 오버렙되어 나타난 사유리 역시 사키에 대한 애정을 드러내며 사키를 격려해줬다는 점에서 사실은 사키를 사랑하고 있었다는 걸 알 수 있다. 영상포스터에서 유메히코의 옆에 있어 상영 전에 빌런 캐릭터가 아니냐는 추측도 있었다. === 꿈 속 인물들 === * 사유리 악몽(영혼) - CV.[[키치세 미치코]]/[[장미(성우)|장미]][* 둘 다 위에 있는 사유리와 중복] [[파일:사유리(악몽).png|width=600]] [br]{{{#!folding [ 스포일러 주의 ] [include(틀:짱구는 못말려 극장판의 중간보스)] 사키가 자신 때문에 어머니가 돌아가셨다는 트라우마로 생겨난 [[악령]]이다. 때문인지 사키의 심경 변화에 따라 힘이 계속 변한다. 모습은 자주색 얼굴에 늙은 백발 귀신이다. 백발의 머리를 길게 늘이며 공격한다. 아이들은 물론 어른이 봐도 소름끼치는 얼굴과 목소리의 소유자. 특히 눈으로 추정되는 구멍에서 촉수가 나오는 장면은 가히 압권. }}} * [[사키 악몽]](영혼)/보라 악몽 - CV.[[카와타 타에코]]/[[김연우(성우)|김연우]] * 어쨌든 밝은 야스무라(とにかく明るい安村)[* 활동명은 '토니카쿠 아카루이 야스무라'로 본명은 야스무라 쇼고(安村昇剛). [[요시모토 흥업]] 소속 개그맨으로 2000년에 2인조 그룹 '암스트롱'으로 데뷔했으나, 2014년 해체 후 현재 활동명으로 활동 중이다. 2015년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에도 참가해서 한국어로 본인 특유의 개그를 한 적도 있다. 2016년 3월 [[주간문춘]]에서 불륜 스캔들을 터트린 이후 나락으로 간다.] - CV.'''본인'''/[[김현욱(성우)|김현욱]], [[박요한(성우)|박요한]], [[황창영]], [[이기성(성우)|이기성]] [[파일:어쨌든_밝은_야스무라.png|width=600]] >'''"안심해주세요! 입고 있습니다!"'''[* 2015년에 일부 매체에서 올해의 유행어라고 선정되었을 정도로 야스무라의 상징과도 같은 대사. 작중 해당 캐릭터와 실제 본인의 아이덴티티와 같은 주대사.] 유메히코가 낳은 악몽 중 하나이다. 안심해주세요! 라고 말하지만 정작 아무것도 입지 않은 알몸. 실제 야스무라는 [[포즈]]를 취해 [[팬티]] 부분만 가려서 알몸인 것처럼 보이게 한 뒤, "안심해주세요! 착용하고 있습니다!"(더빙판은 "걱정하지 마세요!! 어때요, 멋지죠??")라고 하는 식의 개그를 하는데[* 실제 야스무라가 개그를 칠 때는 비키니 하의를 입고 있다.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에서는 심의 문제로 살색 타이즈에 팬티를 입고 했다.], '''문제는 이 영화에서는 '진짜 [[알몸]]'이다. 그것도 혼자가 아니라 여러 명이 무리지어서 등장하니 그 충격은 수십 배로...'''[* 이밖에도 '''"걱정해주세요!"'''라는 별도의 대사도 있다.] 초반에 꿈 속에서 카스카베 방범대와 히마를 추격하기도 하였고 막판에도 등장하여 신노스케 앞에 사방팔방으로 등장해 [[안구테러]]시키며 멘붕시켰다. 신노스케 왈: '''"우옷~ 최악의 악몽이야...!!"''' * 야마다(山田)[* 극장판 25기에서 카메오로 등장한다.] - CV.[[유키노 사츠키]][* 본편에서 [[카타코리 스기오]]를 맡았다.]/[[장예나]][* [[유키노 사츠키]]와 [[장예나]] 모두 [[원피스]]에서 [[코알라(원피스)|코알라]]를 맡았다. 단, 장예나는 [[대원방송]]판 한정으로 [[투니버스]]판 코알라 성우는 본편에서 [[사토 마사오|훈이]]를 맡은 [[정혜옥]] 성우다.] [[파일:야마다(짱구).png|width=600]] 마사오의 꿈 속에서 등장한 액션 출판의 사원. 악몽의 세계에서는 채찍을 휘두르며 원고 마감을 제촉하는 모습을 보인다. 모델은 [[후타바샤]]의 직원. 나중에는 꿈 속에서 자기 만화에 용기를 얻은 마사오와 [[스타워즈 시리즈|광선검으로 함께 싸우다가]] 보오의 소행성에 둘 다 쓸려나간다. * 훈조리(紛剃) - CV.[[쿠로다 타카야]]/??? 히로시의 꿈 속에 등장한 회사 사장. * 시로사키 진(城咲 仁)[* 지금은 배우지만 연예계에 진출하기 이전만 해도 상당한 수입을 올리던 호빠였다고 한다.]/김준 - CV.'''본인'''/[[이기성(성우)|이기성]] || [[파일:시로사키_진_악몽(짱구).jpg|width=300]] || [[파일:시로사키_진(짱구).png|width=300]] || || 악몽의 세계에서 첫 등장 했을 때 || 다시 등장했을 때 || 미사에의 꿈 속에 등장했던 꽃미남 호스트. 미사에의 악몽 속에서 빚쟁이로 나온다. 나중엔 사키의 악몽 속에서 다시 등장해 [[맥(동물)#s-2|바쿠]]가 있는 곳을 알려준다.[* 하지만 이때 아이들은 그곳으로 가질 않아서 그곳에 진짜 바쿠가 있었을진 의문.] 이땐 악몽이 아니라 실제 인물인 듯하다. * 오오와다 바쿠(大和田獏)[* 배우 겸 MC로 2020년에 [[코로나 19]]로 사망한 일본 여배우 [[오카에 쿠미코]]의 남편이다.]/양진맥 - CV.'''본인'''/[[김민주(성우)|김민주]] [[파일:오오와다_바쿠(짱구).png|width=600]] 방위대가 악몽을 제거하는 방법이라 생각했던 바쿠의 존재를 악몽의 세계에서 찾던 중 보가 발견한 '''이름만 바쿠'''인 연예인. 보가 팬이어서 싸인까지 받아간다. 어디까지나 이름만 '바쿠'인 사람이어서 악몽을 해치울 수 없다고 했으나, 아이들의 요청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나서서 악몽을 해치우려고 했지만 살짝 깨물었다가 악몽이 멀리로 던져버리는 바람에 순식간에 등장 종료. 한국판 더빙에선 이름이 '''양진맥''', 애칭이 '''맥'''이라고 로컬라이징되었다. 여담으로 [[인맥|인'''맥''']]으로 먹고사는 양진'''맥'''이라는 아재개그 같은 초월번역이 되었다. ==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폭풍수면! 꿈꾸는 세계 대돌격/줄거리|줄거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폭풍수면! 꿈꾸는 세계 대돌격/줄거리)] ==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폭풍수면! 꿈꾸는 세계 대돌격/명대사|명대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폭풍수면! 꿈꾸는 세계 대돌격/명대사)] == [[짱구는 못말려/극장판/엔딩곡 #s-24|주제가]] == [youtube(J6La1sGG4mo)] [youtube(IV7usfiEbms)] [[케츠메이시]](ケツメイシ)가 부른 친구야 앞으로도 계속...(友よ~この先もずっと…) [[카스카베 방위대]]와 [[누바타마 사키|사키]]의 우정을 닮은 진솔한 노래가사, 오랜 세월이 지나도 친구를 소중하게 생각한다는 [[우정]]을 묘사한 노래와 본 극장판의 테마 싱크로율이 엄청났고 곡도 상당한 호평을 받아서 '''짱구는 못말려 극장판 최고의 엔딩곡 반열에 올랐다'''. 짱구 극장판 엔딩곡 중에서도 최고로 꼽히는 15기 엔딩[* SEAMO - Cry baby], 21기 엔딩[* SEKAI NO OWARI - RPG]과도 비견될 정도. 가사가 매우 좋다는 점에서도 해당 엔딩곡들과 비슷하다. 호평을 받으며 롱런한 끝에 2016년 연간 음원차트 상위권에 올랐다. 케츠메이시의 참여에는 뒷이야기가 있는데, 원래 [[게스노키와미오토메]]가 주제가를 담당할 예정이였지만, 해당 팀의 메인보컬인 카와타니 에논과 [[베키(연예인)|베키]]의 불륜사실이 들통나는 바람에 바로 취소되었고 얼마 후 케츠메이시가 담당하는 것이 결정되었다. 이후 공개된 엔딩곡이 상당한 호평을 받은 것을 생각하면 그야말로 '''[[전화위복]]이자 [[신의 한 수]]'''라고 볼 수 있다. 뮤직비디오에 참여한 3인조는 일본의 개그맨 그룹 [[타조 클럽]]이다. 극장판으로 곡을 처음 접한 후 뮤비를 본 이들에게 투닥거리는 모습이 엉뚱하면서도 정말 진한 우정을 보여주어 극장판과 매칭이 잘 된다며 호평을 받았다. 2022년 5월 11일, 타조 클럽의 멤버 중 한명인 [[우에시마 류헤이]]가 자살로 생을 마감하게 되면서[* 위의 뮤직비디오 썸네일에서 상의를 탈의하고 있는 멤버다.] 타조클럽이 3인조로 있는 추억의 장면들이 다시 일본에서 상기되게 되었고 곡의 제목과 가사들이 타조클럽과의 모습과 겹치면서 댓글은 추모행렬을 이루게 되었다. 2022년 기준 조회수 1억뷰를 돌파했다. {{{#!folding [ 풀버전 가사 ] >あの場所めがけ みなで駆け出せ >그 장소를 향해 다 같이 뛰어나가 > >見てる前だけ 顔は晴ればれ >앞만 보고 있는 얼굴은 해맑아 > >当たり前 かわりばえない日々が > 당연히 변하지 않은 날들이 > >実は大事 かけがえない意味が >사실은 소중해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의미가 > >君が明かした 夢の話が >네가 털어놓은 꿈의 이야기가 > >いつの間にか 僕の目をさました >어느새인가 나의 눈을 뜨게 했어 > >デカい世界へと 願い描いて >커다란 세계를 향한 소원을 그리며 > >この冒険を共に続けてこう >이 모험을 함께 계속해나가자 > >もし君があても無く >만약 네가 정처 없이 > >遠ざかる 星空を眺めてたら >사라져가는 별하늘을 바라본다면 > >言葉なく君の側にいるから >말없이 너의 옆에 있을 거야 > >けして一人にはしないから >절대로 혼자 두지 않을 거야 > >何十年先も 君を友達って思ってる >몇 십 년이 지나도 너를 친구로 생각할게 > >辛い時は 何でも話してよ >괴로울 때는 얼마든지 말해줘 > >いい事ばかりじゃない この先の僕らの毎日に >좋은 일만 있지는 않을, 이 앞의 우리들의 매일에 > >これだけはずっと言える 本当ありがとう…友よ >이것만은 계속 말할 수 있어 정말 고마워 친구여 > >ここはいつもと同じ 誰かが待ってる >여긴 언제나 똑같이 누군가를 기다리고 있어 > >君はふざけて またみんな笑ってる >네가 장난치면 다시 함께 웃고 있지 > >ひとつひとつ どれもたわいない >하나하나 어느 것이나 다 시시하지만 > >でも色々あっても 温かい >여러 가지 있긴 했지만 따뜻해 > >みんなで出来る事をたし算 >다 같이 할 수 있는 걸 덧셈 > >すればもう何も怖くないさ >하면 아무것도 무섭지 않아 > >時が経っても 遠く離れても >시간이 지나도 멀리 떨어져 있어도 > >ずっと変わらない僕ら かけがえない友さ >계속 변하지 않을 우리들은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친구야 > >もし君が辛い時 >만약에 네가 힘들 때 > >すぐ側に いつも同じ仲間達 >바로 네 곁에는 언제나 같은 친구들 > >何も無い様に振舞うから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할 테니까 > >けして一人にはしないから >절대로 혼자 두지 않을 거야 > >何十年先も 君を友達って思ってる >몇 십 년이 지나도 너를 친구로 생각할 거야 > >夢の続き 何度も話してよ >꿈의 다음을 몇번이고 말해줘 > >いい事ばかりじゃない これまでの僕らの毎日に >좋은 일만 있지는 않을, 이 앞의 우리들의 매일에 > >今だからきっと言える 本当ありがとう…友よ >지금이라서 분명히 말할 수 있어 정말 고마워 친구여 > >言いたい事言い合って >하고 싶은 이야기를 서로 말하고 > >言いたいだけ言い合って >하고 싶은 이야기만을 서로 말하고 > >分かりたいから争って >알고 싶으니깐 싸우고 > >互いの気持ち分かり合って >서로의 기분을 이해해주고 > >次会う時はまた皆で笑ってたいから >다음 만날 때 다시 서로 웃고 싶으니깐 > >夢の中でも謝っておくよ >꿈 속에서라도 사과해둘게 > >何十年先も 君を友達って思ってる >몇 십 년이 지나도 널 친구라고 생각할게 > >辛い時は 何でも話してよ >괴로울 때는 뭐든지 말해줘 > >いい事ばかりじゃない この先の僕らの毎日に >좋은 일만 있지는 않을, 이 앞의 우리들의 매일에 > >これだけはずっと言える 本当ありがとう…友よ >이것만은 계속 말할 수 있어 정말 고마워 친구여 }}} == 평가 == [include(틀:평가/IMDb, code=tt5526456, user=6.4)]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354523, user=4.12)] [include(틀:평가/Filmarks, code=66045, user=3.6)] [include(틀:평가/왓챠, code=m5XMQx1, user=3.5)]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149050, expert=없음, audience=8.77, user=8.86)]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102580, expert=없음, user=8.7)] [include(틀:평가/라프텔, code=33298, user=4.2)] 일본 야후 평점을 보면 5점 만점에 4.1로 평가는 [[http://movies.yahoo.co.jp/movie/%E6%98%A0%E7%94%BB%E3%82%AF%E3%83%AC%E3%83%A8%E3%83%B3%E3%81%97%E3%82%93%E3%81%A1%E3%82%83%E3%82%93%E3%80%80%E7%88%86%E7%9D%A1%EF%BC%81%E3%83%A6%E3%83%A1%E3%83%9F%E3%83%BC%E3%83%AF%E3%83%BC%E3%83%AB%E3%83%89%E5%A4%A7%E7%AA%81%E6%92%83/354523/|매우 좋은 편이다.]] 22기로 부활하고 23기로 이어받은 짱구 극장판의 황금기 바통을 멋지게 이어받았다고 할 수 있는 작품. 본작의 스토리를 관통하는 주제는 [[PTSD]]와 그로 인해 망가진 인간관계의 극복이다. 쉽게 다룰 수 있는 가벼운 소재가 아닌만큼 어린아이들이 주소비층인 영화치고는 상당히 어둡고 진지한 분위기다. 사고로 어머니를 잃고 마음의 문을 닫은 사키가 [[카스카베 방위대|우정]]과 [[노하라 미사에|모성애]]를 깨닫고 [[사키 악몽|자신의 죄의식]]을 직시하여 과거의 트라우마에서 도망치지 않고 받아들이며 성장하는 것으로, 다소 무거운 테마를 [[악몽]]이라는 컨셉으로 깊이감을 잃지 않으면서도 아이들의 위치에서 잘 풀어낸 점이 호평 요소다. 영화 결말부에서 전해주는 교훈과 이야기는 어른 제국의 역습, 전국대합전, 로봇아빠의 역습과 비견 될 정도. 평소 짱구 극장판에선 남편에게 가려져 메인으로 자주 부각되지 않던 미사에가 활약하는 극장판 중 하나로, 비록 후반부가 돼서야 그 비중이 커졌다고는 하지만 가히 어머니를 위한, 어머니의 사랑을 담은 영화라고 볼 수 있다. 마지막에 미사에가 사키에게 하는 이야기를 들으면[* 이때 연출상 미사에에게 사키의 어머니가 오버랩 되는데 각본 퀄러티까지 더해져 사람의 눈물을 쏙 빼놓는다.] 그간의 미사에의 이미지가 달라질 정도로 미사에가 주연으로서, 더욱 나아가 어머니로서의 이미지를 가장 잘 표현해주는 작품이다. 우정 또한 잘 표현되었는데, 이 교훈의 주인공은 다름 아닌 '''네네.''' 방범대 중 유일하게 사키와 같은 여자였기에 '''여자아이들끼리의 우정'''이 강조되었다. 보통 극장판에서 방범대원 중 한 명이 특히 부각되는 건 항상 토오루였는데,[* 12기에서 레귤러 악역들과 유사한 구도에서 준주역급으로 나오고 18기에서 신노스케와 대척점에 있는 역할을 맡았다.] 네네가 토오루 이후 처음으로 그 주인공이 되었다. 또한 [[이 녀석도 사실은 불쌍한 녀석이었어|사연 있는 악역이 나오는]] 극장판이기도 한데, 분명 사키의 아버지가 악역으로서 존재하지만 그 또한 상처를 가진 한 가장이자 딸을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아버지. 그가 행한 일들은 분명히 악행이지만 관객들에게 동정과 안타까움을 자아내는 인물이다.[* 다만 미사에의 모성애와 다르게 아이를 이해하지 않고 옭아매는 부성애라서 중간에 신형만이 같은 아버지로서 유메히코를 비판한다.][* (사키에게 필요한 건 사랑이라는 미사에의 외침에 동의하며) "아빠라는 사람이 어떻게 그런 걸 모를 수 있지!?"] 물론 비판 또한 제법 있는 편인데, 아이들이 많이 보는 가족영화치고는 상당히 공포스럽고 기괴한 장면이 많다. 14기를 제외하면 가장 호러스러운 분위기가 강한 극장판으로[* 23기는 스릴러, 14기가 스멀스멀 올라오는 분위기로 압박한다면 24기는 잔잔한 장면에서 갑툭튀하는, 공포영화에서나 볼법한 점프 스케어가 종종 등장해 넋놓고 보고 있다 놀랄 수 있다.] 처음부터 끝까지 호러스러운 분위기가 이어지며 특히 종반부의 사키의 악몽인 사유리는 그 극을 달릴 정도이며[* 사유리가 죽은 장면은 폭발로 인해 튄 물감이 마치 피를 연상시켜 도저히 아동용으로는 볼 수 없는 장면이다.] 극장에서 부모님과 같이 보러갔다가 보다가 나왔다는 어린아이들도 종종 있을 정도. 성인도 보다가 '아 이건 아동애니치고 과하지 않나?' 같은 씬이 많다. 때문에 수익은 아주 좋은 편이지만 여러모로 주 타겟인 어린아이들을 위한 영화에서는 다소 멀어지고 있는 것 같아 타겟층 공략에는 실패라는 의견이 있기도 하다. 또 짱구 꿈 관련으로 자극적인 성적 요소도 여럿 나온다. == 흥행 == === [[대한민국]] === ||<-7>
'''{{{#ffffff 대한민국 누적 관객수}}}''' || || '''{{{#ffffff 주차}}}''' || '''{{{#ffffff 날짜}}}''' || '''{{{#ffffff 관람 인원}}}''' || '''{{{#ffffff 합계 인원}}}''' || '''{{{#ffffff 순위}}}''' || '''{{{#ffffff 일일 매출액}}}''' || '''{{{#ffffff 합계 매출액}}}''' || || {{{#ffffff 개봉 전}}} || || 2,708명 || 2,708명 || -위 || 21,664,000원 || 21,664,000원 || ||<|7> {{{#ffffff 1주차}}} ||2017-01-25. 1일차(수) || 8,967명 ||<|7> 94,003명 || 8위 || 61,103,000원 ||<|7> 717,156,500원 || ||2017-01-26. 2일차(목) || 7,644명 || 8위 || 53,014,000원 || ||2017-01-27. 3일차(금) || 13,025명 || 9위 || 102,195,800원 || ||2017-01-28. 4일차(토) || 10,168명 || 9위 || 82,972,200원 || ||2017-01-29. 5일차(일) || 19,385명 || 8위 || 153,413,400원 || ||2017-01-30. 6일차(월) || 27,080명 || 7위 || 210,733,200원 || ||2017-01-31. 7일차(화) || 7,734명 || 8위 || 53,724,900원 || ||<|7> {{{#ffffff 2주차}}} ||2017-02-01. 8일차(수) || 2,283명 ||<|7> 21,473명 || 9위 || 15,700,700원 ||<|7> 159,898,600원 || ||2017-02-02. 9일차(목) || 1,557명 || 13위 || 10,750,300원 || ||2017-02-03. 10일차(금) || 1,431명 || 14위 || 10,629,000원 || ||2017-02-04. 11일차(토) || 7,355명 || 11위 || 55,527,300원 || ||2017-02-05. 12일차(일) || 7,624명 || 11위 || 58,823,400원 || ||2017-02-06. 13일차(월) || 606명 || 16위 || 4,238,000원 || ||2017-02-07. 14일차(화) || 617명 || 22위 || 4,229,900원 || ||<|7> {{{#ffffff 3주차}}} ||2017-02-08. 15일차(수) || 299명 ||<|7> 887명 || 29위 || 2,004,500원 ||<|7> 6,235,500원 || ||2017-02-09. 16일차(목) || 16명 || 77위 || 104,000원 || ||2017-02-10. 17일차(금) || 18명 || 62위 || 125,000원 || ||2017-02-11. 18일차(토) || 215명 || 35위 || 1,621,000원 || ||2017-02-12. 19일차(일) || 254명 || 31위 || 1,936,000원 || ||2017-02-13. 20일차(월) || 61명 || 50위 || 313,000원 || ||2017-02-14. 21일차(화) || 24명 || 72위 || 132,000원 || ||<|4> {{{#ffffff 4주차}}} ||2017-02-15. 22일차(수) || 13명 ||<|4> 126명 || 77위 || 65,000원 ||<|4> 657,000원 || ||2017-02-16. 23일차(목) || 57명 || 60위 || 312,000원 || ||2017-02-17. 24일차(금) || 0명 || -위 || 0원 || ||2017-02-18. 25일차(토) || 56명 || 67위 || 280,000원 || || '''{{{#ffffff 합계 }}}''' ||<-6> '''누적관객수 119,197명, 누적매출액 905,611,600원'''[* ~ 2017/02/18 기준] ||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 1위일 경우 볼드체 칠해주시기 바랍니다. [[2017년]] [[1월 25일]] 개봉하였다. [[박스오피스]] 순위는 8위로 출발하여, [[터닝메카드 W 블랙미러의 부활]]을 앞섰다. 10만명을 조금 넘긴 수준에서 [[IPTV]]로 치워질 듯. [[2017년]] [[2월 2일]] 13위까지 내려오면서, 10만명 초반에서 마무리되고 2주차 끝난 직후에 [[IPTV]]로 넘어갈 걸로 보인다. [[2월 18일]]을 마지막 상영으로 내려갔다. === [[일본]] === [[구마모토 지진]]의 영향으로 일부 스크린 개봉이 이루어지지 못했지만 개봉당일 2위를 차지하였다.[[http://www.kogyotsushin.com/archives/topics/t8/201604/18192652.php|관련링크(일본어)]] 참고로 일본 개봉 당시에 4억엔을 벌었는데, 이는 23기와 같은 흥행성적이다. 덕분에 23기와 더불어 '''또 20억엔을 돌파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었고,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그리고 결국 6월 13일 20억엔을 돌파했다.]]''' 최종적인 흥행수익은 21.1억엔. == 기타 == * 22기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정면승부! 로봇아빠의 역습|정면승부! 로봇아빠의 역습]]이 '[[아버지]]'라는 키워드로 감동을 주었다면 이번 극장판의 메인 키워드는 '[[어머니]]'와 '[[우정]]'이라고 할수있을 정도로 [[노하라 미사에]]와 누바타마 사유리를 통한 [[모성애]][* 이는 과거 극장판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포효하라! 떡잎 야생왕국|포효하라! 떡잎 야생왕국]]에서 모성애를 표현한 명장면을 탄생시켰음에도 작품 자체의 문제점이 수두룩했던 바람에 묻혀버렸던 것을 7년만에 만회에 성공한 것이기도 하다.]와 [[사쿠라다 네네]]와 [[누바타마 사키]]를 통한 어린아이들의 우정이 중시됐다. * 그간 TV시리즈에서 부정적인 이미지로 등장되었던 [[노하라 미사에|미사에]]와 [[사쿠라다 네네|네네]]가 사키를 위로해주고 악몽을 치유해주는 이타적인 인물로 그려지며 이미지 개선에 한몫했다. 또한 그간 극장판에서 자주 공기화됐던 [[노하라 히마와리|짱아]]와 [[시로(크레용 신짱)|흰둥이]]는 특수한 공간을 제대로 활용해 카스카베 방위대의 조력자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 * 이 작품의 메인 악당인 유메히코(유몽해)는 전형적인 빌런의 모습을 많이 보이는 신짱 극장판 악당들 중에서도 드물게 안타까운 사연이 있어서 작중 후반부에 신짱가족들과 카스카베 방위대 아이들에게 동정받는 모습이 그려진다. 엔딩에서는 개심하여 딸인 사키(유보라)와 다시 행복하게 지내는 모습을 보이기도. 신짱 극장판의 악당들이 대개 벌 받는 모습으로 최후를 장식하는데에 비해, 이런 개심한 모습이 오랜만에 나온 악당이라 할수 있다.[* 이런 개심한 악당의 다른 예로 9기 어른제국의 역습의 켄&챠코를 들 수 있다.] * 그동안 극장판에서 [[카스카베 방위대|떡잎마을 방범대]]가 활약한다면 단체 느낌으로 다같이 모여서 활약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알게 모르게 한명 한명의 행적이 잘 드러난 몇 안되는 극장판. [[사쿠라다 네네|네네(유리)]]는 말 할 것도 없고 [[카자마 토오루|토오루(철수)]]의 경우 그가 운전하는 자동차가 많이 등장했기도 하지만 꿈 속 세계에서 사키를 찾으며 멤버들을 이끌어 나간 것도 그였고, 추측을 통해 악몽 사태에 대해 사키를 의심하자 네네와 신짱이 사키를 감싸주며 사키가 친구들의 따뜻한 마음을 느끼게 해줬다. 반대로 말하면 철수가 추측과 의심을 하지 않았다면 도달하지 않았을 일. [[보오|보오(맹구)]]는 취미가 돌 모으기라는 설정이 반영되어 돌로 변신하는 장면을 많이 보였는데, 무거운 돌로 변신해 사키의 악몽을 잠시 멈추게 만들었는가 하면, 마지막엔 소행성으로 나타나 [[폭발 엔딩]]을 일으킨다. 심지어 작중 언급을 보면 이 여파가 너무 세서 악몽도 힘을 많이 잃은 모양. 허나 [[사토 마사오|마사오(훈이)]]는 후반부에 자신의 악몽과 싸우거나 처음으로 꿈을 펼쳤다가 악몽의 첫 희생자가 되는 등 활약상이라기엔 다소 아쉬우면서도 장족의 발전인 편이었다. * 사키의 악몽은 지금까지 나온 최종보스 중에서도 인간이 아닌 사념 캐릭터. * 노하라 일가 모두 같은 꿈을 꾼 것은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태풍을 부르는 장엄한 전설의 전투|10기 극장판]]과 비슷하다. 또한 짱구가 엉덩이 힘으로 악몽에 붙어있는 장면도 10기 극장판에서 떡잎마을 방범대가 한 상황극과 비슷하다. * 꿈속 세계에서의 흰둥이의 모습은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부리부리 3분 대작전|13기 극장판]]에서 흰둥이가 변신한 모습과 비슷하다. * TV 등지에서 공개중인 한국어 더빙판 예고편과 TV 방영판에서는 무슨 이유에선지 바지를 벗은 짱구의 엉덩이 부분이 그대로 나온다.[* 그동안 블러 처리되거나 옷을 입히는등, 검열을 해왔다는 점을 생각하면 아이러니한 일. 다만 TV 방영판에서는 너무 대놓고 나올 땐 검열되었다. 엉덩이로 젓가락을 쪼개는 것은 팬티로 수정하면 말이 전혀 안되고 블러처리하면 젓가락이 제대로 안보여서 불가피하게 검열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 이 영화가 개봉되기 전에 [[서울 지하철 5호선]] 열차 내부에 영화 랩핑이 되어 있었다. * 최초로 동갑내기 히로인이 등장하는 극장판이다. 여타 극장판 히로인들은 중학생~성인 연령이었고 가장 나이가 어렸던 레몬도 신노스케보다 두 살 정도 위였다. * [[대원미디어]]에서 수입 및 판권을 가지고 있는 마지막 극장판. 이후 25기인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습격!! 외계인 덩덩이|습격!! 외계인 덩덩이]]부터는 짱구는 못말려의 TVA를 방영하는 [[투니버스]]/[[CJ ENM]]에서 수입하고 있다. 또한 노-주-파의 짱구는 못말려의 로고가 마지막으로 사용되었으며 차기작부터 원작 로고와 비슷한 파-빨에 흰색과 검은색의 테두리가 적용된 로고가 사용된다. * 이 극장판에 등장했었던 야마다는 이후 25기 극장판 [[습격!! 외계인 덩덩이]]에 카메오로 등장하였다. * 훗날 2020년에 [[후지와라 케이지]]가 별세하면서 본작은 후지와라 케이지가 [[노하라 히로시]] 역을 맡은 마지막 극장판이 되었다. * 2020년 9월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서 이 작품을 방영한 [[애니원]]에게 행정지도권고지시를 내렸다. 그 이유는 여성에게 홍일점과 꽃이라는 표현을 썼다는 것. 얼마 전 [[디지털 교도소]]건에 대해서는 공익성 운운하며 차단하지 않던 방통위가 이런 것엔 엄격하게 법을 적용한다는 것에 대한 비판이 거세다. * [[넷플릭스]]에서 처음으로 서비스한 짱구 극장판이다. * 국내 더빙판에선 떡잎마을 방범대가 떡잎마을 방위대로 원어 그대로 번역되었다. [[분류: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폭풍수면! 꿈꾸는 세계 대돌격]][[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