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카드캡터 사쿠라)] ||<-2>
{{{#ffffff,#fafafa '''{{{+2 극장판 카드캡터 사쿠라}}}''' (1999)[br]카드캡터 체리: 마법의 카드[br]''Cardcaptor Sakura: The Movie''[br]''カードキャプターさくら''}}}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rolwqjfeioqjtrow.jpg|width=100%]]}}} || || '''장르''' ||[[애니메이션]], [[모험]], [[가족물|가족]] || || '''감독''' ||[[아사카 모리오]] || || '''각본''' ||[[CLAMP|오오카와 나나세]] || || '''원작''' ||[[CLAMP]] || || '''제작''' ||이케구치 카즈히코, 오노 타츠야(小野達矢) || || '''주연''' ||[[탄게 사쿠라]], [[하야시바라 메구미]], [[히사카와 아야]] || || '''캐릭터 디자인''' ||[[타카하시 쿠미코]] || || '''작화감독''' ||[[타카하시 쿠미코]][br]사쿠라이 쿠니히코[br][[우에다 히토시]] || || '''음악''' ||네기시 타카유키 || || '''주제곡''' ||카이타니 나오미 - 「遠いこの街で」 [br](머나먼 이 거리에서) || || '''제작사'''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매드하우스|[[파일:매드하우스 로고.svg|height=20]]]][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반다이 남코 필름 워크스|[[파일:반다이 비주얼 로고.svg|height=35]]]] || || '''수입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Nelvana[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온미디어|[[파일:온미디어 로고.svg|height=20]]]] || || '''배급사'''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쇼치쿠|[[파일:쇼치쿠 로고.svg|height=20]]]][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Nelvana[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온미디어|[[파일:온미디어 로고.svg|height=20]]]] || || '''개봉일'''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1999년]] [[8월 21일]][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00년]] [[1월 1일]] [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01년 12월 24일 {{{-2 ([[투니버스]] 방영)}}} || || '''화면비''' ||1.85:1 || || '''상영 시간''' ||80분 || || '''제작비''' ||- || || '''월드 박스오피스''' ||- || || '''북미 박스오피스''' ||- ||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 || || '''상영 등급''' ||'''[[전체 이용가|[[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2021.svg|width=30]] {{{#373a3c,#dddddd 전체 관람가}}}]]''' || || '''공식 홈페이지''' || || [목차] [clearfix] == 개요 == [[1999년]] 제작된 [[일본 영화|일본]]의 [[애니메이션 영화]]. [[카드캡터 사쿠라]]의 [[극장판]]이다. == 예고편 == [youtube(rAMC72NoJiE)] == 시놉시스 == >[[키노모토 사쿠라]](체리)는 토모에다 초등학교에 다니는 활발하고 운동신경이 뛰어난 여자아이. 우연한 기회에 [[크로우 카드]]를 모으는 카드캡터가 되었다. 크로우 카드는 마력을 가지고 있는 카드. 봉인이 풀리면 이 세상에 재앙을 가져온다는 것이다. 카드의 수호자 본인의 파수꾼 케로([[케르베로스(카드캡터 사쿠라)|케르베로스]])와 함께 카드를 찾는다. 평소와 다름없이 크로우 카드를 쫓는 사쿠라(체리). 케로와 [[리 샤오랑|샤오랑]]의 도움으로 무사히 에로우 카드를 손에 넣는다. 그러던 어느 날, 사쿠라는 문구점의 추첨 이벤트에서 당첨되어 난생 처음인 홍콩여행을 가게 된다. 동행은 오빠 [[키노모토 토우야|토야]]와 사쿠라가 짝사랑하는 [[츠키시로 유키토|유키토]]. 그리고 사쿠라의 친구 [[다이도우지 토모요|토모요]]. 눈부신 홍콩의 거리들. 차례차례 눈에 들어오는 진기한 풍경들에 들뜬 일행들. 하지만 그들 앞에 이상한 새가 나타나고. 사쿠라는 매일 같은 꿈을 꾼다. 물로 가득한 공간. 고요한 적막, 무섭지만 어딘지 슬픔을 간직한 마녀의 모습. 다음날 이상한 새를 쫓아간 사쿠라는 골동품 가게에 있는 책에 이끌린다. 그리고 그 낡은 책의 표지에는 꿈속에서 본 마녀의 모습이 있다. 신비한 힘에 이끌려 책을 열어버린 사쿠라. 그녀를 뒤쫓아 온 일행들도 그 속으로 빨려 들어간다. >---- >출처 - [[네이버 영화]] == 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카드캡터 사쿠라/등장인물)] == 평가 ==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gekijo_ban_kadokaputa_sakura, tomato=없음, popcorn=84)] [include(틀:평가/IMDb, code=tt0301082, user=7.2)]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cardcaptor-sakura-the-movie, user=3.5)]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188877, presse=없음, spectateurs=없음)]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56038, user=7.3)]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159367, user=4.2)] [include(틀:평가/Filmarks, code=36832, user=3.8)]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107981, user=없음)]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3117775, user=8.6)] [include(틀:평가/왓챠, code=mWye26W, user=4.0)]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66360, light=86.67)]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36669, expert=없음, audience=없음, user=없음)]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39161, user=8.1)] [include(틀:평가/TMDB, code=26945, user=77)] [include(틀:평가/라프텔, code=14433, user=4.3)] [include(틀:평가/MyAnimeList, code=371, user=7.62)] 팬들을 위한 최고의 영상이란 소리를 들으며 팬 사이에선 평이 좋다. 다만 이해하려면 원작 만화나 TV판을 봐야한다. 작화는 극장판 2작 봉인된 카드가 액션 작화와 애니메이팅에 집중하고 이쪽은 캐릭터의 귀여움에 집중했다. [[타카하시 쿠미코]]가 총작화감독을 맡았고 애니메이터론 [[하마다 쿠니히코]], [[야나기사와 마사히데]], [[니시다 아사코]], [[오치 신지]] 같은 미소녀 전문 애니메이터가 주로 투입되었다. 사람에 따라선 이쪽 작화가 더 예쁘다고 느낄 수도 있다. 액션 신도 있으며 이쪽은 [[카와사키 히로츠구]], [[코이케 타케시]], [[나가노 노부아키]]가 맡았다. 영화 내용 상 물이 사정없이 튀는데 이 물은 [[우에다 히토시]]가 그렸다. 한편 그 유명한 '''비행기 탈 때 신발벗고 타라''' 짤이 여기에서 나왔다. == 흥행 == === [[북미]] === [[파일:LFmg4Zi.jpg|width=450]] [[2000년]] [[1월 1일]] [[미국 영화]] [[영화 시장|시장]]에 [[제한적 상영]]으로 개봉하였다. === [[대한민국]] === 한국에서는 개봉되지 못했다.[* 당시 일본 대중문화 개방은 초기단계로 아직 극장용 애니메이션을 개봉할 수 없었다. 극장용 애니메이션을 개봉할 수 있게 된 건 3차 개방인 2000년 6월부터이며, 그나마 해외(일본 제외) 영화제 수상작에 한정되었다. 완전히 개방된 것은 4차 개방인 2004년부터.] [[온미디어]]에서 수입하였으며, [[2001년]] [[12월 24일]]~[[12월 25일]]에 [[투니버스]]에서 '카드캡터 체리 TV 스페셜'이라는 제목으로 한국어 더빙되어 방영되었다. 극장용 애니메이션이 아닌 특별편으로 위장한 것인데, 이는 [[일본 대중문화 개방]] 이전부터 여러 국내 방송사에서 사용하던 유서깊은 수법이다. 연출은 [[최방옥]] PD가 맡았다. 성우진의 경우 주요 배역은 [[SBS]]와 마찬가지로 그대로 유지되었으나[* 이때 유지된 배역은 [[키노모토 사쿠라|체리]]의 [[문선희]], [[케르베로스(카드캡터 사쿠라)|케로]]의 [[박은숙]], [[다이도우지 토모요|지수]]의 [[이현선(성우)|이현선]], [[리 샤오랑|샤오랑]]의 [[임은정(성우)|임은정]], [[츠키시로 유키토|청명]]의 [[강수진(KBS 성우)|강수진]]이다.], 그 외의 배역은 [[CJ ENM 성우극회|자사 소속 성우]]로 교체하였다. 한국에서 방영될 때는 부제로 '마법의 카드'가 붙었다. 또한 [[전숙경]]이 [[KBS 성우극회]]로 이적하기 전에 마지막으로 더빙한 작품이다.[* 이후 전숙경은 [[몬스터(만화)/애니메이션|몬스터]]에서 게스트로 나온 것을 거쳐 같은 작가의 작품인 [[츠바사 크로니클]]로 다시 투니버스에 출연하였다.] 이후 [[마이씨앗TV]]에서 이 극장판을 재수입하여 [[유튜브]] 채널에 공개하였다. 그래서인지 [[극장판 카드캡터 사쿠라 봉인된 카드]]는 2019년 [[투니버스]]에서 재더빙되어 방영되었던 거랑 달리 아직도 투니버스에서 제작한 SBS판 기반 음성 외에 재더빙된 적이 없다. === [[일본]] === [[1999년]] 개봉하였다. == 수상 == ||<-5>
'''[[애니메이션 고베|{{{#e5d85c 역대 애니메이션 고베}}}]]''' || ||<-5> [[파일:external/i1.wp.com/kobe-2.png|width=200]] || ||<-5> {{{#e5d85c '''작품상 - 극장 부문'''}}} || || '''제3회[br]([[1998년]])''' || {{{+1 →}}} || '''제4회[br]([[1999년]])''' || {{{+1 →}}} || '''제5회[br]([[2000년]])''' || || [[뮤츠의 역습|포켓몬스터 뮤츠의 역습]] || {{{+1 → }}} || '''극장판 카드캡터 사쿠라''' || {{{+1 → }}} || [[극장판 카드캡터 사쿠라 봉인된 카드#수상|극장판 카드캡터 사쿠라[br]봉인된 카드]] || ||<-5> || == 기타 == * 주제가는 카이타니 나오미(皆谷尚美)[* 현재는 도쿠시마에서 활동중이며, 유튜브에서 가끔씩 이곡을 커버하거나 라이브영상이 종종 있다.]가 부른 [[https://youtu.be/-ZHUFofwwN4|'머나먼 이 거리에서(遠いこの街で)']]. 싱글앨범의 커플링곡인 [[https://youtu.be/CPR-l4lovgE|'세피아의 날(セピアの日)']]은 [[아사히 방송]] '열투 고시엔(熱闘甲子園)'의 1999년 방영분 엔딩곡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 투니버스에서 방영했을때는 주제가를 [[https://youtu.be/DSe_Ys2-3WY|'It's my life']]로 번안하여 방영하였다. [[노래를 찾는 사람들]]의 김은희씨가 불렀다고 한다.[[https://www.seouland.com/arti/society/society_general/3618.html|#]] * 본 작에서 출연한 샤오랑의 누나들은 [[카드캡터 사쿠라 클리어 카드 편/애니메이션|19년 뒤에 방영된 후속작]]의 TVA판에서 성우진 그대로 재출현하며, 역시 본 작에서 출연했던 리 가문의 당주 리 예란은 21년이 지난 뒤, [[카드캡터 사쿠라 클리어 카드 편|후속작 코믹스 42화]]에 모습을 보이면서 정사에 편입된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카드캡터 사쿠라, version=1226)] [[분류:카드캡터 사쿠라/애니메이션]][[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1999년 애니메이션 영화]][[분류:일본의 애니메이션 영화]][[분류:일본의 모험 영화]][[분류:일본의 가족 영화]][[분류:매드하우스]][[분류:쇼치쿠]][[분류:일본 만화 원작 애니메이션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