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000000,#dddddd '''{{{+1 극적인 하룻밤}}}''' (2015)}}}[br]Love Guide for Dumpees || ||<-2> [[파일:love guide for dumpees 2015.jpg|width=100%]]|| || '''{{{#000000,#dddddd 장르}}}''' ||{{{#!wiki style="margin: 0px 10px" 로맨스, 코미디}}} || || '''{{{#000000,#dddddd 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하기호}}} || || '''{{{#000000,#dddddd 각본, 각색}}}''' ||{{{#!wiki style="margin: 0px 10px" 하기호[br]민예지[br]김수경[br]서유민}}} || || '''{{{#000000,#dddddd 원작}}}''' ||{{{#!wiki style="margin: 0px 10px" 황윤정의 희곡 '극적인 하룻밤'[* 이를 바탕으로 극단 연우무대가 2010년 이후로 동명의 '극적인 하룻밤'이라는 제목의 연극을 공연한다.][br](2009년 [[한국일보]] 신춘문예 희곡부문 당선작)}}} || || '''{{{#000000,#dddddd 제작}}}''' ||{{{#!wiki style="margin: 0px 10px" 한상범[br]유인수}}} || || '''{{{#000000,#dddddd 투자}}}''' ||{{{#!wiki style="margin: 0px 10px" 이상윤[br]신강영[br]이석주[br]오세영[br]이재우[br]권선주[br]유석하[br]어지연}}} || || '''{{{#000000,#dddddd 프로듀싱}}}''' ||{{{#!wiki style="margin: 0px 10px" 박대희, 오채진}}} || || '''{{{#000000,#dddddd 기획}}}''' ||{{{#!wiki style="margin: 0px 10px" 유인수}}} || || '''{{{#000000,#dddddd 출연}}}''' ||{{{#!wiki style="margin: 0px 10px" [[윤계상]], [[한예리]] 外}}} || || '''{{{#000000,#dddddd 촬영}}}''' ||{{{#!wiki style="margin: 0px 10px" 백윤석 (CGK), 김인석}}} || || '''{{{#000000,#dddddd 조명}}}''' ||{{{#!wiki style="margin: 0px 10px" 이제우 (리얼라이팅)}}} || || '''{{{#000000,#dddddd 편집}}}''' ||{{{#!wiki style="margin: 0px 10px" 이진 (JINPOST), 최기성 (JINPOST)}}} || || '''{{{#000000,#dddddd 음악}}}''' ||{{{#!wiki style="margin: 0px 10px" [[Mowg]][br]김나래}}} || || '''{{{#000000,#dddddd 미술}}}''' ||{{{#!wiki style="margin: 0px 10px" 배정윤 (상상공작소)}}} || || '''{{{#000000,#dddddd 소품}}}''' ||{{{#!wiki style="margin: 0px 10px" 전재욱 (달그락), 오유진 (달그락)}}} || || '''{{{#000000,#dddddd 의상}}}''' ||{{{#!wiki style="margin: 0px 10px" 신지영 (style s)}}} || || '''{{{#000000,#dddddd 분장}}}''' ||{{{#!wiki style="margin: 0px 10px" 박민희}}} || || '''{{{#000000,#dddddd 동시녹음}}}''' ||{{{#!wiki style="margin: 0px 10px" 임동석 (KPA)}}} || || '''{{{#000000,#dddddd 음향}}}''' ||{{{#!wiki style="margin: 0px 10px" 정지영 (웨이브랩)}}} || || '''{{{#000000,#dddddd 특수효과}}}''' ||{{{#!wiki style="margin: 0px 10px" 김광수 (익스트림에프엑스)[br]박제성 (익스트림에프엑스)}}} || || '''{{{#000000,#dddddd 시각효과}}}''' ||{{{#!wiki style="margin: 0px 10px" 박성진 (디지털 아이디어)}}} || || '''{{{#000000,#dddddd 무술}}}''' ||{{{#!wiki style="margin: 0px 10px" 허명행 (서울액션스쿨), 송민석 (서울액션스쿨)}}} || || '''{{{#000000,#dddddd 조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지민희, 황정우}}} || || '''{{{#000000,#dddddd 스틸}}}''' ||{{{#!wiki style="margin: 0px 10px" 김주영}}} || || '''{{{#000000,#dddddd 제작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스토리지, 극단 연우무대[* 연극 '극적인 하룻밤'을 공연하는 극단이기도 하다.]}}} || || '''{{{#000000,#dddddd 투자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CGV아트하우스]][br]타임와이즈 인베스트먼트 (공동제공)[br][[이수창업투자]] (공동제공)[br][[KT알파|kth]] (공동제공)[br]유니온투자파트너스 (공동제공)[br][[IBK기업은행]] (공동제공)[br][[IBK캐피탈]] (공동제공)}}} || || '''{{{#000000,#dddddd 배급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CGV아트하우스}}} || || '''{{{#000000,#dddddd 개봉일}}}'''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5년 12월 3일}}} || || '''{{{#000000,#dddddd 화면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1.85:1}}} || || '''{{{#000000,#dddddd 상영 시간}}}''' ||{{{#!wiki style="margin: 0px 10px" 107분}}} || || '''{{{#000000,#dddddd 대한민국 총 관객 수}}}''' ||{{{#!wiki style="margin: 0px 10px" 321,641명}}} || || '''{{{#000000,#dddddd 상영 등급}}}''' ||{{{#!wiki style="margin: 0px 10px" '''[[청소년 이용불가|[[파일:영등위_18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ddd 청소년 관람불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2015년 로맨틱 코메디 영화. 하기호가 연출하였다. == 원작 == 원작은 2009년에 한국일보 신춘문예 희곡부문 당선작으로 씌여진 작가 황윤정의 희곡 '극적인 하룻밤'이다. 이 희곡을 바탕으로 극단 연우무대가 2010년부터 연극을 한다. == 예고편 == || [youtube(kzRvNsVrWpI)] || || '''예고편''' || == 시놉시스 == > 각자 전 애인 결혼식장에서 만난 정훈(윤계상)과 시후(한예리). > 술잔을 기울이며 실연의 고통을 함께 나누던 두 사람은 몸까지 나누는 극적인 하룻밤을 보내고 만다. > 하지만 이대로 끝내기엔 너무나 기막혔던 하룻밤! > “딱 [[섹스파트너|몸친]], 거기까지만. 열 개 다 채우고 빠이빠이. 어때?” > 시후는 커피 쿠폰 10개 채울 때까지, 딱 아홉 번만 더 자자는 당돌한 제안을 하고, > 속타는 연애에 지친 연애 ‘을(乙)’ 정훈과 시후의 ‘섹’다른 만남이 시작된다. > 하지만 쿠폰 도장이 늘어갈수록 두 사람의 마음은 미묘해 지고, > 시후의 전 남친 준석(박병은)은 자꾸 시후 곁을 맴돌며 정훈(윤계상)의 심기를 건드린다. > 연애 ‘을(乙)’ 정훈과 시후, 원나잇 쿠폰 열 번 찍고 약속대로 쿨하게 굿바이 할 수 있을까? > ---- > 출처: [[KMDb]] == 등장인물 == * [[윤계상]] - 정훈[anchor(정훈)] 역 * [[한예리]] - 시후 역 * [[박병은]] - 준석 역 * [[박효주]] - 주연 역 * [[조복래]] - 덕래 역 * [[정수영(배우)|정수영]] - 김 선생 역 * [[김창환#배우]] - 도장알바생 역 * [[김의성]] - 의사 역 * [[김재화]] - 돌숙 역 * [[이지훈(1979)|이지훈]] - 황작가 역 * [[공상아]] - 한상연 역 {{{#!folding [ 단역 펼치기ㆍ접기 ] * 김준범 - 담임/기도남 역 * 김서원 - 구조대원 역 * [[진선규]] - 커피남 역 * 한우열 - 주식남 역 * [[오정세]] - 맞선남3 역 * 이주한 - 맞선남4 역 * 강경우 - 맞선남5 역 * 최연호 - 맞선남6 역 * 김도준 - 맞선남7 역 * 성일[* 무술 스턴트 출신 배우. 크래딧에는 본명인 신성일로 나온다.] - 야구장 남 역 * 김수정 - 야구장 여 역 * 박상훈 - 야구장 청소부 역 * 차수린 - 헤어디자이너 역 * 이병준 - 홈쇼핑PD 역 * 김정연 - 쇼호스트1 역 * 박성희 - 쇼호스트2 역 * 정수연 - 수화통역사 역 * 이창규 - 한우집 회식선생님1 역 * 하정완 - 한우집 회식선생님2 역 * 한정국 - 한우집 회식선생님3 역 * 한지은 - 화보모델1 역 * 최영신 - 화보모델2 역 * 박현지 - 예식장매니저 역 * 소준형 - 체육시간학생1 역 * 소상섭 - 체육시간학생2 역 * 이영나 - 체육시간학생3 역 * [[박지영(1987)|박지영]] - 체육시간학생4 역 * 권민주 - 체육시간학생5 역 * 조영균 - 체육시간학생6 역 * 이효상 - 체육시간학생7 역 * 유성공 - 체육시간학생8 역 * 고재운 - 결혼식 주례 역 * 정승원 정훈 - 요가대역 역 * 정상연 (목소리출연) - 라디오 DJ 역 * 석호진 (목소리출연) - 시후 모 역 * 강문경 (목소리출연) - 결혼식 주례 역 ※ 그 외 휠체어 농구 장면은 고양 홀트 휠체어 농구단이 출연했다.}}} == 설정 == 준석이 결혼 후에 시후를 그리워하며 시후의 집에 와서 "차라리 내 세컨이 되는 것이 정훈의 아내가 되는 것보다 낫다."며 [[네토라레|정훈에게 행패를 부리는 내용]]이나, 덕래가 정훈에게 '연애에서의 사회 계층' 관련 썰을 푸는 내용이 나온다. 이렇듯 이 작품 내에서는 '기간제 교사였다가 그만둔 정훈'과 '요리 보조 계약직 직원인 시후'의 연애에 대해 사회적 계층에 따른 제약이 하나의 설정으로 나오는데, 이 설정은 원작 연극의 바탕이 된 희곡에는 없는 이 영화만의 고유 설정이다. == 평가 == [include(틀:평가/IMDb, code=tt4471608, user=6.2)]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love-guide-for-dumpees, user=3.2)] == 흥행 == 한국 관객 321,641명의 성적을 냈다. [[분류:2015년 영화]][[분류:한국의 로맨스 영화]][[분류:한국의 코미디 영화]][[분류:희곡 원작 영화]][[분류:가치봄]][[분류:청소년관람불가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