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인천의 요리]][[분류:한국의 떡]][[분류:강화군]] [include(틀:떡/종류)]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근대떡.jpg|width=100%]]}}}|| || '''{{{+1 {{{#FFF 근대떡}}}}}}''' || [목차] [clearfix] == 소개 == 찹쌀가루와 멥쌀가루를 섞은 후 두해살이풀인 [[근대(채소)|근대뿌리]]를 넣고 버무려서 [[시루]]에 찐 설기떡이다. [[강화도]]의 별미떡으로 근대뿌리의 맛이 나는 [[떡]]이다. 초여름부터 근대의 새순이 나기 시작하면 떡을 만들어 먹었다고 한다. == 상세 == [[동의보감]](東醫寶鑑)과 [[증보산림경제]](增補山林經濟)에 [[근대(채소)|근대]]의 뿌리와 줄기를 이용하여 떡을 해 먹었다는 내용이 있는 것으로 보아 약용으로 쓰인 뿌리를 떡으로도 함께 해먹은 것으로 보인다. 간혹 가다 근대를 너무 많이 먹으면 빨간 오줌이 나오기도 한다. 자세한 건 [[근대(채소)]] 문서를 참조. == 만드는 법 == 재료로는 멥쌀과 찹쌀, 밀가루, 소금, 그리고 채소인 근대의 뿌리(400g)와 설탕이 필요하다. 아래는 자은당 강인희 선생의 조리법이다. >1. 멥쌀과 찹쌀을 씻어 일어 불린 뒤 건져 소금을 넣고 빻아 가루를 만든다. >2. 1.의 가루에 설탕물을 내려 체에 내린다. >3. 근대 뿌리를 씻어 건져 물기를 뺀 뒤 3-4cm 로 잘라 >2.에 고루 섞는다. >4. 3.의 것을 시루에 안쳐 설기 떡을 찌듯 푹 찐다.